공룡메카드
[image]
1. 개요
초이락컨텐츠팩토리에서 제작하며 터닝메카드 시리즈에 이은 새로운 메카드 시리즈로, 공룡을 소재로 한다. 어린이들한테는 공룡덕후 입문 애니. 공개된 시기는 터닝메카드 시리즈의 리부트작과 비슷하게 2017년 7월 12일이다. 기존의 미니카가 동물이나 로봇으로 변신하는 원작과 달리, 이번 시리즈는 캡처카라고 하는 미니카에 타이니소어(본작 공룡들)를 집어넣는 방식으로 배틀이 진행된다. 2017년 11월 23일 KBS 1TV에서 첫방송된다. 이번 공룡메카드 담당PD는 덕후 PD인 심정희가 맡았다가 16화부터 지민정PD로 교체되었다.
공식 홈페이지
공식 홈페이지(티빙 투니버스)
공식 홈페이지(손오공)
공룡메카드 네이버 TV 공식채널
공룡메카드 유튜브 공식채널[1]
2. 스토리
3. 관련 영상
3.1. 예고편
3.2. 주제가
4. 등장인물 및 캡쳐카
자세한 사항은 '''등장인물''' 및 '''캡쳐카''' 참고.
5. 공룡메카드/전적일람
자세한 사항은 '''전적일람''' 참고
6. 타이니소어
개별 '''타이니소어''' 및 배틀기술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고.
7. 설정
- 타이니소어 : 본작의 핵심 개념. 작은 공룡으로 메카니멀과 본작의 캡처카와 달리 말을 할 수 없다.그리고 채집가로부터 150M 떨어진 상태에서 36시간 안에 잡지 않으면 다시 야생상태로 돌아간다. 어원은 아주 작다는 뜻의 Tiny(타이니)와 고대생물 중 공룡의 연결형인 Saur(소어)의 합성어로 풀이하면 Tinysaur(아주 작은 공룡)
- 타이니 배틀: 메카드를 3장 던지고 그 다음 캡쳐카의 키 부분을 열어 타이니소어를 넣고 카드에 접촉시킨 뒤 타이니소어를 거대화 시키고 싸우는 방식이다. 전작들처럼 기술을 3개밖에 사용을 못한다. 3번째 기술을 사용 시에는 '마지막 기술이다'라고 외친다. 배틀에서 이긴 사람은 배틀필드에서 현실로 돌아가는 10초간 동안 상대방의 타이니소어를 가져갈지 가져가지 않을지 정할 수 있다.
- 캡쳐카: 타이니 배틀 도구이자 채집가(주 등장인물)의 동료. 같은 메카드 시리즈인 터닝메카드의 윙피닉스, 웡나이트, 윙레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타이니소어를 채집한다. 그리고 메카니멀과 달리 변형, 합체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보인다.
- 카슈터: 전 작의 슈터. 캡쳐카를 이 안에 넣으면 캡쳐카가 슈팅된다. 현재 레드, 블루, 그린 3종류가 출시되었다.
- 슬로프: 캡쳐카가 슬로프를 통과하면 슬로프가 공룡으로 변한다. 전작의 대형 슈터와 비슷한 역할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나온 건 메가트리케라와 메가티라노, 메가스피노
- 속성: 전작의 메카니멀처럼 타이니소어들에게도 3가지 색상별 속성이 존재한다. 파랑은 "민첩함", 빨강은 "날카로움", 노랑은 "단단함"으로 3가지 색상별 속성이 존재한다.[2]
- 다이노사우로이드(Dinosauroid): 알키온과 캡처카들이 타이니소어를 모아 되돌려 보내려는 최종목표이자 임무점. 2화의 공박사 설명으로는 포유류의 최종진화가 인간이라면 인류보다 앞서 수천년을 지구의 지배자로 군림한 공룡들의 진화점의 가능성에 따라서 추측되는 공룡의 최종 진화형태인 공룡인간. 캡처카들이 타이니소어를 이 다이노사우로이드가 사는 곳으로 돌려 보내는 것이 현재의 임무. 확실하진 않지만 티라라, 수오, 진짜 칼로비스, 스테노가 다이노사우로이드일 가능성이 없진 않다.[3] 파충류에서 진화했기에 랩틸리언처럼 생긴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티라라와 수오가 다이노사우로이드로 밝혀짐에 따라 이들도 인간과 비슷한 외형으로 진화한 듯.
- 차원이동장치: 29화부터 나오는 장치로 공박사가 차원파동의 원리를 깨닫고 만든 이동장치이다. 본격적으로 전 세계곳곳에 흩어져 있는 타이니소어를 채집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장치.
- 큐브: 티라라, 수오가 타고 다니는 일명 우주선 같은 이동선 티라라는 달걀형이고 수오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1인용이라 한사람 밖에 탈 수가 없다. 제이가 수오의 큐브를 훔쳐 개조함으로서, 그것으로 순간 이동을 하고 있다. 반면 수오는 졸지에 큐브를 잃어버러셔 앞으로 세계 타이니소어를 찾는 일이 힘들어지는 상황이다.
- 개조 공룡: ???.
8. 방영 목록
8.1. 2017년
2017년 11월 23일 목요일 '''13시 50분''' 첫방송.
각 화의 시청률은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기준이다.
8.2. 2018년
9. 극장판
10. 평가
- 갑작스레 3D 리부트로 바꿨던 터닝메카드 R과 마찬가지로 첫 반응은 그다지 좋지 않은 편[4] 이며 방영 후에도 호평보다는 혹평이 더 강한 편이다.[5] 일단 터닝메카드 2기 2쿨보다는 평가가 더 좋고 재평가도 서서히 이뤄지고 있다. 잘나가는 듯 보이면서도 반응조차 불확실하고 잘 묻혀지고 있는 터닝메카드 R과는 다른 편. 그렇다고는 해도 아직 기존 터닝메카드 시리즈가 존재하던 판에 내세웠던 것은 너무 부적절하고 불합리하며 부당하다는 식으로 여겨질 수는 있고 실제로도 그렇다고 말할 수 있긴 하지만.[6] 그래도 이쪽은 터닝메카드를 이어가는 한국 장난감계와 손오공의 희망이라는 평가는 듣고 있다. 인기와는 별개로 혹평이 좀 강해서 그렇지. 나레이션 성우는 안현서 영상
- 공룡킹 어드벤처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색채를 띄는 작품.[7] 공룡킹 어드벤처처럼 주인공의 파트너 공룡이 트리케라톱스이며, 깃털 공룡의 경우 미크로랍토르가 등장하긴 하나 해부학적 고증이 영 좋지 않다. 같은 깃털공룡인 데이노니쿠스는 깃털이 없고 도마뱀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고 테리지노사우루스는 등에 깃털이 조금 있는 수준이다. 다른 깃털 공룡이 등장할지도 미지수. 거기다 크로노사우루스의 경우 학명의 의미를 제대로 조사하지도 않았는지 '거대한 도마뱀'으로 나온다.[8]
- KBS 시청자 게시판을 보면 혹평이 여럿 보인다. 요점은 어린이에게 보여줄 수 없는 내용이 많다라는 것인데 실제로 방영분을 보면 루이킴이 재벌2세라고 어른에게 1호 2호라고 부르질 않나 돈이면 다 된다는 투로 말하지를 않나 부적절한 내용이 난무한다. 그리고 일개의 초등학생이 중학생과 대학생한테 대놓고 너[9] 라고 하는 것도 그렇고.[10] 문제는 이런 상황 자체가 아니라 그에 대한 징벌이나 제재가 없다는 것인데, 교훈적인 내용도, 권선징악도 뭣도 없다. 어린이만화라는 자각은 있나조차 의심될 지경. 하지만 현실에서는 제 힘 믿고 으스대는 강우람이나 안하무인 제벌 2세 루이킴, 타이니소어를 각각 자신의 성공이나 한풀이의 도구로 이용하려는 초신비와 제이 같은 이들이 아주 많고,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이들 채집가들 사이에 벌어지는 진흙탕 싸움을 보면 오히려 현실적이라는 반응도 없진 않다. 그래도 교훈적 내용이나 권선징악적인 요소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기는 하다.
11. 완구
야박한 평가와는 별개로 완구는 아이들에겐 인기폭발인 듯. 2017.12.28 네이버 기준 장난감/교구 쇼핑 검색어 1위이며 TV만화 일간검색어 13위다. 완구의 장점은 아이들이 환장한다는 공룡+자동차 조합에 알+공룡[11] +메카드 세장에 최소 7000~10000원이라는 비싸지 않은 가격이다. 그러나 터닝메카드에 비해서 단순한 구조라는 걸 감안하면 역시나 비싸긴 하다.
12. 기타
- 터닝메카드 R과 마찬가지로, 손오공과 초이락에서도 메카드 컨셉만 제외하면 기존 터닝메카드 시리즈와는 별개로 취급하는 것 같다. 사실 셋 다 메카드 컨셉만 겹치고 그것만 제외하면 무관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나마 기존 시리즈와 가장 유사한 것이 터닝메카드 R.
- 터닝메카드의 표절작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지만 엄연히 이 작품은 터닝메카드의 후속작이다. 다만 캐릭터들을 보면 전작 캐릭터들을 재탕한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캐릭터들은 있긴 하다. (나용찬=나찬[12] , 홍유미=리안+이소벨[13] , 안경준=천재형, 강우람=기운찬[14] , 초신비=데이지[15] 등.) 인간형 메카니멀이 자주 나왔고 동작도 다이나믹한 터닝메카드에 비해 공룡킹 어드벤처와 비슷하게 액션의 한계가 있다 보니 터닝메카드에 비해 배틀 연출이 덜하긴 하지만.
- 전 작에서 마지막 기술을 쓸 때 '파이널 어빌리티'를 외쳤지만 여기선 '마지막 기술이다!'로 나온다. 뿐만 아니라 테이머 → 채집가, 테이밍 온 → 공룡 채집으로 변하는 등 영어가 우리말로 바뀌어서 나온다.
- TV판 끝나고 극장판을 제작하며 2019년 1월에 개봉했다.
- 6화에서 나온 7화의 제목이 자막과 나레이션이 다른 데, 자막은 '타이니소어의 주인은 누구?'이지만 나레이션은 '타이니소어는 누구의 것?'으로 나왔다.
- 8화에서 메카드 기술명과 해설 자막이 아예 안 나왔다.
- 기술들을 보면 앞다리로 내리찍거나 에너지를 발사하는 기술이 비교적 많이 나온다.
- 공룡전대 쥬레인저, 고고 다이노, 다이노 코어같이 공룡을 소재로한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공룡이 살던 중생대 보다 먼저 번성했던 디메트로돈, 아노말로카리스 같은 고생대 생물이나 공룡이 멸종된 후에 살던 매머드같이 신생대의 고대 포유류까지 공룡으로 취급한다.
- 2월 8일 12화 방영 이후 3주간 휴방을 거쳐 4주 후인 3월 8일에 13화가 방영되었다. 이로 인해 KBS와 투니버스 방영 텀은 4주에서 1주로 단축되었다.
- 13화(3월 8일)부터 시간변경 공지 없이 갑자기 13:50에서 13:20으로 갑작스럽게 시간변경이 되었다. 나중에 다시 방영시간이 13:50으로 되돌아갔다.
- 27화부터 새로운 오프닝이 방영된다.
- 29화부터는 타이니소어를 채집하려고 세계로 나서고 있다.[16]
- 수, 목요일 13:50분으로 확대편성 하여 2018년 12월 27일 종영했다.
- 47화 예고편에 일행들이 중생대 백악기에 와보니 그시대에 있을 리가 없는 인류가 살고 있었다. 본래는 인간은 신생대부터 등장했기 때문에 절대로 공룡과 사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며 중생대의 인간들도 몸에 비늘이 있었는데 수오와 티라라가 속한 다이노사우로이드의 조상이라고 한다.
- 여담으로 일부 타이노소어들이 '내친구 코리리'라는 애니에 나오고 있다. 이는 내친구 코리리를 제작한 회사가 초이락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 등장한 타이니소어는 티라노[17] , 트리케라[18] , 브라키오[19] , 파키케[20] , 프테라.[21] .
[1] 배틀영상 및 예고편도 연관검색 가능[2] 속성은 타이니소어 항목 분류를 보면 민첩함은 수룡,익룡,고대생물, 날카로움은 육식공룡, 단단함은 초식공룡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3] 35화에서 수오가 진짜로 다이노사우로이드였다고 판정되었다.[4] '터닝메카드가 있는데 뜬금없이 웬 공룡이냐?'라는 식으로 말하거나 충격과 공포라는 식으로 반응하는 사람들도 있었다.[5] 사실 둘 다 (인기가 예전에 비해선 많이 떨어지긴 했어도) 기존 시리즈인 터닝메카드가 아직 건재하던 상황에서 뜬금없이 내세우고 갈아탄 것인지라 당연할 수도 있다.[6] 사실 이건 터닝메카드 R도 마찬가지지만, 그래도 터닝메카드 R은 터닝메카드 W 종료된 후에 나왔던 것이다. 물론 공개야 W(정확히는 W 시즌2) 방영중이었던 시기였지만. 그런데 공룡메카드는 공개가 R과 겹칠 뿐만 아니라 방영까지 터닝메카드 R이 방영되고 있던 때에 시작했다.[7] 터닝메카드에 슈팅 바쿠간 제작진들이 제작에 참여했듯이, 본 작품에도 공룡킹 어드벤처 제작진들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그래서 1화 콘티는 공룡킹 어드벤처의 감독 야타베 카츠요시이다. 기획단계에 잠깐 참여하였다.[8] 크로노사우루스의 진짜 뜻은 '크로노스의 도마뱀'이다.[9] 하지만 제이는 작중 악역이라 그저 적대심으로 대하는 어투라 상관없다.[10] 사실 무인편인 다나도 호칭오류가 있는데 다비와 공주희를 제외한 나머지에게 언니, 오빠라고 부르지 않았다.[11] 원래는 주측공룡(트리케라, 티라노, 크로노, 니쿠스, 안킬로)+캡쳐카였으나 주측공룡도 따로팔고 캡쳐카+다른공룡(알키온+프테라, 티톤+브라키오, 아렌+옵탈모, 데본느+미크로, 하딘+딜로포)로 신제품이 나왔다. 아마 주측공룡을 사려면 좋든 싫든 캡쳐카까지 같이 사야되는게 문제였을 듯.[12] 이름도 나찬에서 용을 넣었다.[13] 느낌은 리안과 어느 정도 유사하지만 오히려 리안의 성격을 가진 이소벨로 보면 된다.[14] 컨셉이 약간 다르다. 오히려 도라에몽의 퉁퉁이와 비슷하나 포스는 그에 비하면 약한 편이다.[15] 이쪽은 성우가 같다.[16] 공룡킹 어드벤처 1기에서와 같은 설정.[17] 성우는 정선혜.[18] 성우는 박리나.[19] 성우는 김율. 참고로 김율 성우는 터닝메카드에서 리안을 맡았다.[20] 여기서는 파키파키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성우는 김영은.[21] 성우는 정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