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인

 

1. 寡人
1.1. 문헌자료
1.2. 용례
1.3. 미디어에서
1.3.1. 과인을 1인칭으로 사용하는 캐릭터
1.4. 관련 문서
2. 果人
3. 過人


1. 寡人


寡人
조선 또는 춘추전국시대 제후들이 스스로를 가리켜 사용한 1인칭 대명사.
맹자 양혜왕편에 나오는 "寡德之人"(과덕지인)의 준말로 '덕이 적은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백성을 잘 돌보지 못하여 곡식보다 못하다'는 불곡(不穀)과도 일맥상통한다. 고(孤) 또한 마찬가지로 왕과 제후들이 스스로를 낮추어 이르는 겸칭이다.
마찬가지로 임금이 자신을 가리키는 짐(朕)과 혼동되기도 하나, 짐은 천자황제가 사용하는 호칭이었으므로 제후국 왕은 사용할 수 없는 말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신라고려 때는 외왕내제를 했으므로 과인과 짐을 혼용해서 사용했고[1][2] 고려 말 원간섭기와 조선시대에 과인을 쓰게 되었다. 다만 조선의 영조는 말년에 짐이란 표현을 공공연히 썼다. 그만큼 왕권이 강력했다는 상징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외의 왕과 제후들은 앞서 말한 과인, 불곡, 고와 같이 자신을 겸손히 낮추는 표현이어야 비로소 사용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스스로를 낮춰 부르는 말인만큼 한국 사극에 나오는 것처럼 무분별하게 조선의 국왕들이 과인(대한제국 이후로는 짐)이라는 말을 일상적으로 자주 쓰는 것은 아니었다. 주로 자책을 하거나 겸양할 때 등 스스로를 낮춰야 하는 상황에서 주로 쓰고, 평소에는 '나' 를, 정확히는 나 여(余) 자나 고(孤)를 많이 썼다.[3] 다만 余는 '나'라는 뜻을 가진 한자식 표현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나라고 말하고 기록할 때 여라고 했는지 혹은 말 할 때도 여라고 했는지는 알기 어렵다. 대한제국의 고종은 황제 즉위 전에는 스스로를 고(孤)라고 칭하기도 했다.
참고로 왕후가 본인을 낮추어 부르는 1인칭 대명사로는 '고과(孤寡)'가 있다.


1.1. 문헌자료


諸侯見天子曰, 臣某侯某, 其與民言, 自稱曰寡人, 其在凶服曰, 適子孤 - 『禮記』「曲禮下」

제후견천자왈, 신모후모, 기여민언, 자칭왈과인, 기재흉복왈, 적자고 - 『예기』 「곡례하」

→ 제후가 천자를 볼때 말하는 말이 '신 모후 모'[4]라고 하고, 백성들에게 이야기 할 때는 자칭해서 "과인" 이라고 칭한다. (또), 흉복에 처할때는 "적자고"라고 말한다.

1.2. 용례


  • 寡人之於國也(과인지어국야) 盡心焉耳矣(진심언이의). "과인은 나랏일에 모든 마음을 다한다."(맹자 양혜왕 편)
  •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5]
  • 참고: "과인" 이라는 대명사는, 본인을 낮추는 대명사지만, 높임법에는 영향이 없다.('저'는 영향을 받는다.)
"과인은 배가 고픕니다" (X)
"과인은 배가 고프구나" (O)
  • 참고: "과인의 어명을 수행하라"는 잘못된 표현이다.
‘御(어)’는 임금과 관계된 말에 붙어 경의를 표현하는 말로써 여기에 쓰인 ‘어명’은(경의를 표현하는) 임금의 명령이라는 뜻으로 왕 본인이 '어명' 이라는 단어는 쓰지 않는다.
→ 과인의 명을 받들라.

1.3. 미디어에서



1.3.1. 과인을 1인칭으로 사용하는 캐릭터



1.4. 관련 문서



2. 果人


직역하면 '열매를 맺은 사람'. 불교에서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은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하지만 현실에선 '''부처''', '''연각'''(緣覺)[6], '''아라한'''을 통들어 이를 때 더 자주 쓰이는 듯하다.

3. 過人


능력이나 재주, 덕망 따위가 보통 사람보다 뛰어난 사람. '과인하다'의 어근. 하지만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다. 뛰어난 사람을 뜻하는 단어야 널리고 늘렸으니까...

[1] 진흥왕 순수비 중에 짐이라고 적은 경우와 과인이라고 적은 경우가 모두 전한다.[2] 고려사 성종9년의 기록을 보면성종(고려)이 스스로를 칭할때 과인과 짐을 혼용하였다. 예종(고려)은 자신의 동생인 왕효의 묘지명에 스스로를 칭할때 짐과 과인을 혼용해서 사용하였다. https://cafe.naver.com/booheong/88414 [3] 중국 사극에서는 이를 잘 반영하여 제후왕들이 스스로를 낮출때만 과인이라 칭하고 평소에는 고(孤)를 많이 쓴다.[4] 여기서 첫번째 某는 영지 이름, 두번째 某는 제후 본인의 이름이다. 예를 들어 진문공이 주 천자에게 본인을 '신 진후 중이'라고 하는 것.[5] 정조가 즉위일 앞에 대신들 앞에 나아가 한 말로, 실록에 정확히 '과인'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6] 부처의 가르침 없이 스스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을 뜻하며, 보살의 아래로 취급받는다. 벽지불(僻支佛)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