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하(호칭)
1. 왕족에 대한 존칭
殿下, Your/His(Her) Highness
본디 중국 왕조에선 황후, 태자, 친왕의 공식 칭호였다. 황후의 경우 오대십국시대 역사서인 구오대사에 따르면 황후 전하라는 호칭이 규정되어 있으며,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직접 쓴 황명조훈에도 황후 전하라는 호칭이 정해져있다. 태후에게는 폐하 칭호가 더 자주 쓰였다.[1] , 동국이상국집에 따르면 고려 중기에도 왕후나 태후에게 사용했다. # 또한 태후나 황후에게 '전하'를 안 쓰고 중국 사극에서 ‘낭랑’이라는 호칭을 썼다고 실제 안 썼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사극에서 왕을 주상, 왕비를 중전마마라고 부르는 것처럼 사극의 법칙으로 고착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고려 왕조 이전 나라들이 중국식 황실 예법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정확한 사료는 없다. 폐하 문서처럼 부분적으로만 나타날 뿐.
고려는 임금을 '폐하'라 불렀으며, 고려 문종이 오등봉작제를 실시해 왕족들과 신하들을 공, 후, 백작으로 봉작하면서 작위를 받은 왕족은 '영공전하(令公殿下)'로 불렸다. 즉 전하라는 경칭은 태후, 왕후, 왕태자와 공, 후, 백작 작위를 받은 왕족에게 쓰는 경칭이었다. 전하보다 격이 높은 표현으로 폐하(陛下) 등이 있고, 동격의 표현으로 예하(猊下 = Your/His(Her) Eminence)[2] 가 있으며, 전하보다 격이 낮은 표현으로 저하(邸下) 합하(閤下), 각하(閣下) 등이 있다.
하지만 원 간섭기 이후 대내적인 용어가 제후국의 칭호로 격하되면서 왕을 '전하'로 호칭했고, '태자 전하' 역시 '세자 저하'로 낮아졌다.
조선 왕조는 다들 잘 알다시피 제후국을 자처, '전하' 경칭은 조선 왕들도 사용하게 된다. 왕실 여인들의 경우, 왕비는 '왕비 전하', 왕대비는 '자성 왕대비 전하(慈聖王大妃殿下)'라고[3] 불렸다.
1895년에 조선이 자주국임을 선포하면서 '주상 전하'는 '대군주 폐하'로, '왕세자 저하'는 '왕태자 전하'로 격상되었고, 덤으로 기타 왕족에게도 전하라는 호칭을 사용한 걸로 보인다. 독립신문의 기록을 보면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기 이전인데도 불구하고 의화군(의친왕)과 흥선대원군을 가리켜 전하라고 한 기록들이 존재한다.[4][5] 이후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정식으로 '황제 폐하', '황태자 전하'라는 호칭을 쓰게 되었다.
대한제국 당시 황귀비는 '황귀비 전하'라고 불렸다. 고종 때 승정원일기나 당시 신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귀비가 황태자의 생모이며 황후를 대신하는 위치였기 때문이다.[6]
사극 등지에서 '주상 전하'라는 표현으로 자주 접하게 된다. 실제 역사적 사용례에 대해 알고자 한다면 주상 항목으로.
일본에서는 황태자, 친왕 같은 황족뿐만 아니라 섭정 및 관백에게 사용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경우가 대표적. 쇼군에겐 전하를 붙이지 않았으나, 예외적으로 조선통신사는 조선국왕과 격을 맞추기 위해 에도 막부의 쇼군을 일본국 대군(大君) 전하로 지칭했다. 현대에는 황태자, 황태손, 친왕, 왕[7] 과 그들의 배우자, 혼인하지 않은 내친왕 및 여왕[8] 에게 쓰이는데 공식행사외엔 전하보다는 주로 사마(様)로 지칭하는 편이다. 일본 황실 여성에게는 비전하(妃殿下, ひでんか, 히덴카)라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이방자 여사도 비전하라고 불렸다.
유럽어권에서는 상대방의 신분에 따라 Your와 Highness 사이에 수식을 넣어 다르게 존칭한다. 번역어이기 때문에 당연히 동양식 호칭과는 일대일 대응이 안 된다.
- Your/His(Her) Imperial Highness - 황족에 대한 존칭
- Your/His(Her) Royal Highness - 왕족과 대공 부부, 대공세자 부부에 대한 존칭
- Your/His(Her) Serene Highness - 유럽 대륙의 제후(모나코, 리히텐슈타인 등)와 그 가족에 대한 존칭
- Your/His(Her) Most Serene Highness - 유럽 대륙의 제후과 그 가족에 대한 존칭
- Your/His(Her) Grand Ducal Highness - 대공 부부와 대공세자 부부를 제외한 대공가 구성원들에 대한 존칭[9][10]
- Your/His(Her) Illustrious Highness - 유럽 대륙의 고위귀족에 대한 존칭[11]
- Your/His(Her) Grace - 영국의 공작 중 왕족이 아닌 귀족 본인에 대한 존칭. 저하나 합하로 번역되기도 한다.
참고로 같은 공작이라도 받는 존칭에 따라 급이 나뉘었다. 예를 들자면 Your/His(Her) Imperial Highness(HIH)의 존칭을 받는 황족인 공작과 Your/His(Her) Royal Highness(HRH)의 존칭을 받는 왕족인 공작, Your/His(Her) Serene Highness(HSH)의 존칭을 받는 작은 공국의 군주로써의 공작, 그리고 Your/His(Her) Grace의 존칭을 받는 가신으로써의 공작[13] 등등... 공작 계급 내에서도 또 급이 갈려서 공작이라고 해서 다 같은 공작이 아니었다(...).
2. 추기경에 대한 경칭
'''Your/His Eminence'''[14]
한국 가톨릭에서는 His/Your Eminence를 '전하(殿下)'로 번역하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전하'를 추기경에 대한 경칭으로 풀이한다. 몰타의 군주이자 총괄기사단장인 그랜드마스터에게도 썼다.[15] 특수하게 프린스 계급이면서 동시에 그랜드 마스터 였었던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His Most Eminent Highness 라고 불러줬다. 왕자(계급) 전하이면서 추기경(계급) 전하인 셈이다.
영한사전에서는 '예하(猊下)'로도 번역되어 있으나 잘못이며, 한국 천주교에서는 '예하'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예하는 고승을 높이어 이르는 말인데,[16] 일본 가톨릭에서는 Your/His Eminence에 대한 번역어로 예하를 사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영한사전이 일본에서 발간된 영일사전을 라이센스를 얻어 중역한 것을 바탕으로 하기에 나타난 현상이다.[17]
현대 한국에서는 구어(口語)로서 추기경을 '전하'라고 부르는 경우는 많이 줄었다. '대통령 각하''라는 표현도 권위주의 시대의 잔재로 여겨져 청와대 내에서도 '대통령님'이라는 호칭이 쓰이는 마당에 성직자를 높이는 '추기경 전하', '주교 각하'와 같은 표현도 자연스럽게 '추기경님', '주교님'으로 대체되어 간 것이다.
교도권(敎導權)에 대한 강한 존중심을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가톨릭 신자들은 이런 세태를 아쉽게 여기고 '추기경 전하', '주교 각하'라는 표현을 고수하고자 의도적으로 쓰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그나마도 문서상으로만 사용될 뿐이다. 한국에서는 대화 중에 '추기경 전하'라는 표현을 쓰면 어색한 지경이 되었고, 대화 중에 사용되는 성직자에 대한 경칭은 사실상 '교황 성하(聖下)' 정도만 명맥을 유지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대에 '추기경 전하'라는 호칭을 볼 수 있는 곳은 공식 문서와 같은 경우가 아니면 드물다.
그러나 이는 민주화 과정에서 반권위주의 정서가 생긴 한국의 특이한 역사적 배경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서구에서는 한국과는 달리 His/Your Eminence라는 경칭에 딱히 거부감이 없고,[18] 독실한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는 일상 대화 중에도 아직까지 광범위하게 쓰이는 편이다.
영문으로 된 서한 등 공식 문서에서는 직함과 성명 앞에 His Eminence의 줄임말인 '''H. E.'''라는 접두어를 붙이는 것으로 표현된다. 이를테면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전하'란 뜻으로 'H. E. Stephan Cardinal Sou-Hwan Kim'이라고 쓴다.
[1] 황태후 폐하는 송사에 2건, 한서에 1건, 진서에 1회, 후한서 1회, 명사에 3회 나온다. 황태후 전하는 금사에 2회에 나온다. 황 후폐하는 0회 호칭이 구오대사에 아예 규정되어 있다. 송사에 1회, 명사에도 호칭이 모두 규정되어 있다. # [2] 한국 가톨릭에선 전하로 번역한다. 그 이유는 예하는 불교의 고승에게 사용하는 경칭이기 때문.[3] '자성 전하' 혹은 '왕대비 전하'라고도 함.[4] 네이버 지식백과 독립신문 1897년 1월 9일 토요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26172&cid=51385&categoryId=51385 [5] 네이버 지식백과 1897년 7월 31일 토요일 독립신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26265&cid=51385&categoryId=51385 [6] 비슷하게 정조 때에 왕세자의 생모 자격으로 수빈 박씨 또한 '수빈 저하'라고 불렸다.[7] 천황의 직계로 3촌 이상 떨어진 남계 후손[8] 천황의 직계로 3촌 이상 떨어진 황족 여성[9] 단, 룩셈부르크의 경우 샤를로트 여대공이 프랑스와 스페인의 왕가였던 부르봉 가문의 이탈리아계 방계 가문인 부르봉-파르마 가문의 펠릭스 공자와 혼인했기에 그 후손들인 현재의 룩셈부르크 대공가 구성원들은 모두 왕족에 대한 존칭인 Royal Highness을 사용할 수 있다.[10] 그러나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 올덴부르크 대공국에선 대공족에게 Prince에 해당하는 Prinz가 아니라 Duke에 해당되는 Herzog가 주어졌는데 이 때문인지 이 들은 단순하게 His/Her Highness를 사용했다. 예를 들자면 만약 대공자의 이름이 "엘마르"라면 올덴부르크의 엘마르 공작 전하 (His Highness Duke Elimar of Oldenburg)의 형태로 표기했다. 참고로 이 인물은 실존인물이다.[11] 해당 칭호는 전하보다는 저하나 합하로 더 많이 번역된다. 그 이유는 독일의 백작(Graf)의 칭호로 사용되는 합하(Erlaucht)가 영어로 Illustrious Highness로 번역되기 때문.[12] Your/His Elective Highness[13] 영국의 공작은 죄다 가신으로써의 공작이라 Your Grace를 사용했고 독일의 공작 중 가신으로써의 공작들도 초창기엔 Your Holy Grace를 사용했다. 다만 후자의 경우 프란츠 요제프 1세 치세에 모두 HSH의 경칭을 받았다.[14] 추기경은 전부 남성이므로 당연히 Her Eminence는 없다.[15] 몰타의 군주를 역임하고 있지 않고 그냥 가장 높은 기사에겐 각하라고 한다.[16] 한국 불교에서 종정(종단의 최고 정신적 지도자)에 대한 경칭으로 '예하'를 사용한다.[17] 일본은 교황도 '법왕'(法王)으로 부르는 등, 가톨릭의 성직 계급 명칭을 불교식 명칭으로 의역하는 관례가 있다. 기독교 인구가 1% 미만으로 극히 적어서 일어나는 현상.[18] 영국 등지에서는 명예상이기는 하나 아직까지 봉작제가 남아있고, 경칭을 받을 명예와 자격이 있는 인물에게는 상대방은 이를 존중하여 'Sir' 등 경칭을 붙여서 불러줌이 예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는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 유럽보다는 이런 정서가 옅은 미국에서도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대면하여 Your Holiness라고 부르지 않고 Mr. Pope라고 불렀다가 결례를 범했다며 여론의 뭇매를 맞은 일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