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상
1. 군주를 부르는 존칭
1.1. 개요
'''主上 (주상)'''
황제를 부를적에 사용하는 경칭으로써 동아시아 특유의 피휘 관습의 일환이다. 뒤에 '上'이 붙는 표현은 원래 천자에게만 사용 가능한 표현이므로 외왕내제하였던 고려는 공민왕[1] 때에 뒤에 역시 황제에게만 쓰는 호칭인 폐하를 붙여 '주상폐하'로 호칭한 기록이 고려사에 있다. 조선은 제후국의 예법에 충실한 국가였으나 묘호처럼 관습적으로 계속 사용하였다. 그러나 뒤에 폐하가 아닌 제후왕에게 쓰는 표현인 전하를 붙여서 주상전하(主上殿下)로 쓰였다.
단 보통은 주상과 폐하나 전하를 따로 떼어 쓰는 편이었다. 신하들은 2인칭으로 전하를 썼지만 3인칭으로는 주상이라고 했으며, 대비와 같이 왕의 윗사람이 되는[2] 친족들은 2인칭으로 주상을 썼다. 전하는 본인을 낮추는 말인데, 윗사람이 자신을 낮추는 것은 어색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왕 중에서 금왕보다 항렬이 높은 사람(단종처럼 상왕이지만 금왕보다 어린 사람은 '전하'라고 했다.)도 주로 주상, 또는 상왕인 본인과 구별하고자 금상이라고도 칭했다. 흔히 드라마나 영화에서 임금이 등장할 때 주위에서 주상전하 납시오 라고 외치는데 잘못된 표현이다. 원래는 선전색 빛나리라는 전용 구호가 있었다. 여기서 선전색은 이 구호를 외치며 임금이 왔다고 알리는 내시를 뜻한다.
1.2. 유사한 호칭
1.3. 관련 역사기록
1.3.1. 중국
지금 주상(主上 = 한나라 헌제)께서는 어리고 심약하여 간신들이 조정을 주물러 중원이두려워 떨고 있으니, 영웅호걸이 재능을 떨칠 시기입니다. 출처 : 위서 상림전
선주는 주위 사람들을 물리치고 말했다, “한실(漢室)이 무너지고 간신이 천명을 훔쳐 주상(主上)께서 몽진 길에 오르게 되었소. 나는 스스로의 덕과 역량을 헤아리지 못하고 천하에 대의를 펴고자 했으나 지술(智術-지모)이 얕고 부족해 창궐(猖蹶-실패, 좌절)하다 오늘에 이르렀소. 그러나 뜻은 여전히 버리지 않았으니, 장차 어찌 해야 할지 알려 주시겠소?” 출처 : 촉서 제갈량전
제갈량이 탄식하며 말했다, “법효직이 살아 있었다면 능히 주상(主上)을 제지해 동쪽으로 가시게 하지 않았을 것이다. 설령 동쪽으로 가셨다 하더라도 필시 경위(傾危-형세가 위태로워짐)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출처 : 촉서 법정전
1.3.2. 한국
왕년에 우리 주상(主上고종)께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 부대부인(府大夫人)의 상에 복을 입을 때에, 은혜와 의리를 작량하여 재단해서 단연코 이를 기년복으로 결정하여 시행하였으니, 이것이 예(禮)요, 그 주장은 이천(伊川)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실천은 우리 주상에 이르러 시작된 것이니, 참으로 만세의 바꿀 수 없는 전범(典範)인 것이다. 출처 : 수당집 제4권 왕석천(王錫闡)과 혜사기(惠士奇)의 절기설(絶朞說)을 논박함
세상에 만약 제 환공(齊桓公)과 진 문공(晉文公) 같은 임금이 있다면 이와 같은 것들을 어찌 그냥 놓아두고 섬멸하지 않겠습니까. 지금 주상(主上)의 위(位)가 아직 바뀌지 않았으며 인민이 아직 없어지지 않았고, 각국 공사가 아직 돌아가지 않고, 조약을 맺은 문서가 다행히 폐하의 윤허와 참정의 인가(認可)에서 나오지 않았습니다. 저들의 믿는 것은 다만 역신들이 강제로 조인한 헛조약에 불과합니다. 마땅히 먼저 박제순 이하 다섯 역적의 머리를 베어서 나라 팔아넘긴 죄를 밝히고, 외부 장관(外部長官)을 갈아 세워 일본 공관(公館)에 조회(照會)하여 거짓 맹약의 문서를 없애 버리도록 하고, 또 각국 공관에도 급히 공문을 통해 모두 회합한 다음, 일본이 강국임을 믿고 약소국을 겁박한 죄를 성명(聲名)할 것입니다. 출처: 면암선생문집 부록 제3권 연보(年譜)
1.4. 기타
2. 중국의 인물
周尙
생몰년도 미상
후한 말의 인물. 주유의 숙부.
단양태수로 주유가 그를 찾아가서 안부를 물었다고 하며, 이 때 손책이 장강 동쪽을 건너가기 위해 역양까지 진군할 때 손책이 재빨리 글을 보내 주유에게 이를 알렸다. 이후 손책이 강동을 공격하러 나아가면서 편지를 보내 주상은 주유와 함께 원술의 부름을 받아 주상은 단양태수에서 물러나 원윤이 단양태수로 임명되면서 주유와 함께 수춘으로 갔다.
주상을 대신해 임명된 원윤은 손책의 부하인 서곤의 공격을 받아 단양태수에 취임하지 못해 주상의 후임으로 손책이 임명한 오경이 단양태수가 되었다.
이문열 평역 삼국지에서는 손견이 죽고 손책이 원술에게 의지해 떠났는데, 둘은 헤어졌다면서 주상이 단양태수가 될 때 주유가 그를 따라 서성으로 떠났던 것이라고 했다.
2.1. 창작물에서
소설 삼국지 패왕지략에서는 원술에게 단양태수에 임명되었으며, 원술 휘하에서 유요, 노숙과 싸우기 전에 유훈과 오경이 적에 대한 대처로 대립하자 중재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기다리자면서 주유에게 받은 편지에 따르면 머지 않아 도착할 것이라 했다.
손책이 노숙의 설득으로 유요와 힘을 합치고 원술에게 대항하기로 하자 손분, 오경과 당황하고 원술에게 가족이 인질로 잡힌 것을 걱정하다가 손분이 손책의 설득을 듣고 원술에 대항하기로 하자 오경과 함께 원술에게 맞서기로 한다.
소설 전공 삼국지에서는 오경과 생사지교를 맺은 사이로 도응이 원술과 합비에서 교전했는데, 오경과 손분이 이 때 장강으로 철수하자 원술이 분노해 목을 베겠다고 했다.
주상은 오경에게 몰래 이 사실을 알려 오경, 손분은 가솔과 군사를 거느려 완릉성을 빠져나가 목숨을 구했는데, 원술이 유요와 싸우기 위해 염상의 계책으로 사면령을 내려 오경, 손분을 불러들여 약간의 양초만 주고 꾸준히 최전방에서 싸우게 했다. 이에 손권이 도응에게 와서 자신들의 사정을 알려주고 가문을 구해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