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매월26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매월26번
기점
광주광역시 서구 매월동(매월공영차고지)
종점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동(용전마을)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05:40
막차
22:20
막차
22:30
평일배차
7~15분
주말배차
15~16분
운수사명
을로운수
인가대수
평일 18대, 공휴일 16대 (저상버스 9대)
노선
매월공영차고지 - 풍암사거리 - 서구문화센터 - 광주월드컵경기장 - 염주체육관 - 염주사거리 - 화정사거리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경신여고 - 신안교 - 전남대학교 - 전남대치과병원 - 오치초교 - 광주공고입구 - 고려고 - 국제고 - 일곡사거리 - (광주교도소) - 우치공원(광주패밀리랜드) - 용전사거리 - 용전
'''중간 출발 정류장'''
'''양방향'''
광주종합버스터미널 05:40

2. 개요


을로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6년 12월 21일 대개편 때 신설되었다. 이 때는 우치공원(광주 패밀리랜드)까지 운행했으며, 특이하게 우치공원과 명상의집 사이에 있는 공터에서 회차했다. 덕분에 우치공원에서 타는 승객들은 시내버스 안에서도 기다릴 수 있었다.
  • 2011년 4월 30일 개편 때 '대동고 - 서부자동차매매단지 - 종합유통단지 -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 - 공구단지' 구간을 같은 회사 지선인 매월61번에 넘겨주어 화훼단지 경유로 직선화되었고, 우치공원에서 용전까지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5년 10월 20일부터 삼각동[1]으로 이전한 광주교도소를 경유한다.[2][3] 이는 윤장현 시장이 이전 교도소에 대중교통 운행을 요청한 검찰청 건의를 받고 “대중교통을 이용해 광주교도소를 찾는 방문객의 교통편의를 위한 시내버스 운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라”는 지시에 따라 이뤄진 것.
  • 2017년 개편 때 권역이 풍암26에서 매월26으로 바뀌었다.


4. 특징


  • 주말과 공휴일에 흥하는 노선 3위에 올랐다.
  • 타지에 사는 전남대생들이 집으로 돌아갈 때와 학교로 돌아올 때 많이 이용한다. 상무64번도 이런 역할이 있지만, 배차 간격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 풍암/금호지구와 일곡/용전동을 잇는 유일한 노선이다.(일곡28번은 풍암사거리에서 송암/진월동 방향으로 빠진다.)
  • 일곡지구에서 광주종합버스터미널까지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다. 첨단30번광주역과 양동시장 방면으로, 일곡38번은 전대후문과 롯데백화점, 임동 방면으로 돌아서 간다. 사실 매월26번은 전남대 정문 앞을 제외하면 전체적인 노선 구조가 거의 일직선이나 다름없다.
  • 2018년 초에 마을버스 777이 신설되면서 일곡지구/광주공고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구간의 수요 분담이 되고 있다. RH 시간대는 되어야 용봉동에서 입석 승객이 생길 정도로 활성화되지 않다 보니 앉아가고 싶다면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평시엔 이쪽이 더 빠르긴 한데 막히는 시간이면 거기서 거기니까 먼저 오는 거 타자.
  • 서구와 북구를 이어주는 노선이다 보니 아침, 저녁으로 전남대학교(+사대부중고) 통학생들의 수요가 많다[4]
  • 염주동 구간에서도 광주종합버스터미널까지 제일 빨리 가는 노선이다 보니 많은 시민들이 이 버스를 이용한다.[5][6] 최근 똑같이 터미널까지 가주는 서구763번이 신설됐지만, 한동안 발산 방향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수요 분담이 잘 되지 않다가, 2020년 1월부터 26번과 비슷하게 터미널을 먼저 가고 발산으로 가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 한 때 서구760번의 운행이 중단되면서 풍암동 구간부터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했는데, 다행히 서구760번이 운행 재개되어서 이 구간 수요가 분산된다. 마재동 주민들은 퇴근할 때 조금이라도 편하게 가고 싶으면 760번을 이용하자.
  • 2015년 10월 당시 일부 버스에서 LED전광판을 달고 있었으며, 이 노선은 모든 버스들이 방향 표시 LED전광판을 달고 있었다.
  • 빛고을 아트버스를 1대 운영 중이었다.
  • 차량 1대가 2019년 5월에 두다다쿵 버스로 랩핑되었다.
[image]
  • 광주 시내버스에서 송정29번과 같이 유일하게 광주교도소를 경유한다. 다만 교도소 운영 특성에 맞춰 5시 40분부터 20시까지만 운행한다.[7] 운송원가 절감을 위해 용전 방면은 일곡삼호아파트 정류소 지나 ‘광주교도소’로 가는 사거리를 지나기 전에 미리 하차벨을 누른 경우에만 경유하며 매월동 방면은 모두 경유한다. 단, 교도소 정류장에서 용전동 방면은 승차가 불가능하며, 하차만 가능하다. 매월동 방면은 승하차 모두 가능. 광주교도소에 용무가 있다면 참고할 것.[8] 관련 기사
  • 버스가 광주교도소를 경유하지 않고 명상의 집으로 바로 운행할 경우 한동안 버스 안내방송이 송출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광주교도소도 필수 경유 노선으로 되어 있는데 교도소를 경유하지 않는다면 버스가 노선이탈로 인식해 안내방송이 한동안 먹통현상이 발생한다[9][10]. 보통 우치공원을 지난 후부터 다시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 을로운수 간선 노선들 중 차급이 좋은 편이다.

5. 연계 철도역


  • [image]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화정역[11]

[1] 말이 삼각동이지, 일곡동을 거쳐서 가는게 훨씬 쉽다.[2] 광주교도소 방문을 원한다면, 하차벨을 여유있게 미리 눌러야 기사님이 가주신다. 송정 29번도 그렇다.[3] 다만, 용전쪽에서 출발한 경우는 다르다. 하차벨을 눌렀든 안 눌렀든, 무조건 광주교도소를 경유한다. 아마 교도소에서 버스를 타려는 승객도 고려한 것 같다.[4] 그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고등학교 역시 노선 상에 근접해 있기에 여러 구간에서 통학생 수요가 꽤 많다. 그렇다 보니 하교 시간(야간자율학습 종료 시간인 밤 10시쯤 포함)에 한 차례 교복 파도가 밀려드는 광경을 볼 수 있다.[5] 2004년까지는 구 16번이 현재 26번과 똑같은 루트로 운행했지만, 구 16번이 비아-양동시장으로 단축되어 염주동까지 오지 않자 2006년까지 구 36번(현 송암47)을 이용했다.[6] 금호36번, 송암47번도 비슷한 소요 시간을 보여준다. 다만 매월26번보다는 배차가 조금 안 좋다. 그나마 금호36번이 조금 나은 편.[7] 정확히는 매월동 출발차량은 18:33(평일), 18:40(공휴일)부터, 용전 출발차량은 19:38(평일), 19:37(공휴일)부터 교도소 미경유.[8] 함께 교도소를 경유하는 송정29번은 살레시오고행만 경유하며, 역시 삼호아파트 정류장 이후 미리 벨을 눌러야한다. 즉 교도소에서 나와 광주송정역 등지로 가려한다면 이 노선을 타고 나와서 환승을 해야 한다.[9] 이는 주말에 문화전당에서 행사로 인한 교통통제 할 경우 버스가 우회할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버스가 노선이탈을 하니 당연히 안내방송 송출이 불가능하다.[10] 우치공원에 방문하는 행락객들은 버스가 교도소를 경유하지 않을 경우 안내방송이 나오지 않아 정류소를 지나칠 수 있으니, 우치공원 방문객들은 이 점을 참고 바람. 우치공원 방문 전 미리 지도를 확인하고 방문할 것을 권장한다.[11] 화정사거리 또는 화정현대아파트에서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