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일렉시티

 

''' HYUNDAI ''' '''Elec-City'''
''' 현대 ''' '''일렉시티'''

'''일렉시티의 미래 지향적 유니크 스타일이
도시의 새로운 미래를 제시합니다'''

[image]
'''사진'''
현대 일렉시티 홈페이지
1. 개요
2. 상세
3. 운행 지역
3.1. 서울특별시
3.2. 부산광역시
3.3. 그 외 지역
4. 일렉시티 운행 노선 목록
5. 파생형
5.1.1. 일렉시티 FCEV 운행 노선 목록
5.2. 현대 일렉시티 굴절버스
5.3. 현대 유니버스 일렉트릭 더블데커
6. 모형화
7. 경쟁 차량
8. 둘러보기


1. 개요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전기버스.

2. 상세


2010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기반으로 한 일렉시티가 공개되었다.

2010년부터 1세대 전기버스가 개발되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1세대 전기버스의 연구용 차량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 차량은 정식으로 출시되지 않았다.[1]
이후 2017년 5월 25일에 현대 모터스튜디오의 현대 트럭&버스 메가페어 개막식에서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2010년부터 약 8년 동안 개발했고, 2018년에 출시되었다. 128kWh, 256kWh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를 적용하였으며, 1회 충전으로 최대 159km~319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실제로 운행 시에는 150km 이내가 나올 것이라고 한다.[2]
앞모습은 기존의 현대버스와 다르게 싹 갈아엎되[3] 뒤는 테일램프 부분을 제외하면 똑같으며, 앞도 현대의 최신 SUV 모델의 패밀리룩을 이루는 분리형 헤드램프를 적용하고, 그 외의 전체적인 실루엣은 기존과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실내 디자인의 경우 전체적으로 녹색 계열의 좌석이 적용되었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경우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것과 거의 똑같지만 계기판의 속도계 디자인은 새로 디자인되었다. 하차벨 역시 새로운 모델로 적용되었으며, 이 하차벨은 이후 현대 도시형 버스의 모든 개선형 모델(에어로시티, 유니시티, 그린시티, 블루시티, 에어로타운, 유니버스[4])에 적용되었다.
이 차의 디자인이 BC211처럼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그린시티의 2차 페이스리프트의 기초가 될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지만 실물은 전면부 가니쉬 변경, 내장재 컬러 변경, 좌석 배치 변경을 제외하면 큰 차이가 없다. 실내 공간은 2020년부터 적용되는 기본 옵션 기준으로 좌석 숫자는 총 25~26석이 배치되는데, 기존의 저상버스와 다르게 입석 및 휠체어, 유모차용 다용도 공간이 마련되며, 앞바퀴와 뒷문 사이 좌측에는 1~2석, 우측에는 접이식 좌석 2개가 장착된다. 뒷문 이후로는 총 19석(1열당 3~4석씩 5열)을 배치하였다.[5] 2019년까지 생산된 차량은 우측에 접이식 의자 대신 고정 좌석이 장착되어 있었다.[6] 옵션으로 입석용 공간을 빼고 뉴슈퍼에어로시티 저상모델과 동일한 좌석 배치를 적용할 수 있다.
여담으로 견인전동기와 인버터는 현대로템이 개발한 120KW짜리의 PMSM과 이에 대응하는 1C1M 인버터가 적용되었으나, 루프 온 에어컨 제조사는 기존 제조사(두원공조, DNKR, 동환산업, 갑을오토텍)가 아닌 프랑스발레오 서멀 커머셜 비히클스 社(舊 SPHEROS)의 에어컨이, 전/후진 제어를 위한 변속기 스위치는 ZF의 것이 탑재된다. 때문에 가속력이 월등히 높아 도로가 뻥 뚫려 있으면 대부분의 기사님들이 처음부터 풀악셀을 밟는 경우도 참 많으며 특히 고갯길을 운영하는 노선에서도 힘이 좋아 쭉쭉 올라가는 특성 때문에 가스저상이 못 들어가는 노선에 이 차량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현재까지는 저상형만 존재하며, 일반형은 출시되지 않았다.
2017년 11월 23일부터 26일까지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2동 EXCO에서 개최된 '2017 대구 국제미래차 엑스포(DIFA)'[7]에서도 전시되었다.
[image]
2018년 4월 12일부터 15일까지 삼성동 COEX에서 열리는 EV 트렌드 코리아의 현대자동차 상용차 부스에 1대가 전시되고, 행사기간 동안 셔틀버스로도 1대가 다녔다.[8]
2018년 6월 8일부터 17일까지 부산국제모터쇼에서 전시되었으며, 2019년 서울 모터쇼에도 전시되었다.[9]
2020년형은 기존의 데크+엠프 형식의 1-Din 오디오에서 블루투스가 지원되는 신형 2-Din 오디오로 변경되었다.
2020년 11월 이후 출고되는 차량은 헤드라이트 아이라인 색상이 검정색에서 무도색으로 변경 및 일반 전기 모델도 수소전기 모델처럼 실내 색상이 적용(회색 손잡이 봉, 검은색 의자, 하얀색 손잡이 및 힙 레스트 등등)되고 수소전기버스 전용 사이드미러가 기본 옵션[10][11]으로 나오고 있다. 그와 동시에 일반 전기 모델의 원동기 형식, 즉 견인전동기도 EM24에서 EM12 모델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사실확인필요]
2020년 6월부터 자체적으로 2018년 2월달 출고분부터 2020년 2월 출고분까지 인휠모터 무상수리에 들어갔다. 바퀴 안에 들어가는 인휠모터의 회전체가 갈리면서 소음과 진동 그리고 대량의 쇳가루가 나오고 있고, 더 큰 문제는 쇳가루 때문에 구동과 제동이 잘 안된다고 기사들이 불만을 낼 정도이다. # 그래서인지 2020년 서울특별시 상반기 전기버스 입찰에서 업계와 동호회에서 모두 한 수 아래로 평가하던 아폴로 1100에 밀리는 원인이 되었다. # 결국 인휠모터 결함 원인을 찾지 못해 2021년 3월에 동력 시스템을 기존 인휠모터에서 일반 전기모터로 전환한다고 하였으나 이후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현대차 측에서 향후 생산될 일렉시티 차량에도 인휠모터 방식을 계속 적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모터 각도조절 등의 조치로 현재는 아무 이상이 없다고 한다. #[12]

3. 운행 지역



3.1. 서울특별시


서울은 2018년 11월에 일렉시티를 처음으로 투입했는데, 도원교통에서 1711번에 5대, 6514번에 4대를 투입했다. 이후 서울승합e-화이버드와 함께 일렉시티 5대를 인도받아 3413번에 투입했다.
  • 2019년 11월 26일, 28일, 29일 3일에 걸쳐 도원교통에서 3대를 추가 출고해 6514번에 투입했다.
  • 11월 29일에는 한남여객운수에서 3대를 출고했으며 모두 5712번에 투입되었다. 같은 날 관악교통도 2대를 출고했으며 643번에 투입시켰다.
  • 11월 말에는 세풍운수도 11대를 출고해서 12월달에 6638번에 투입했다.
  • 12월 2일 공항버스에서 3대를 출고해 605번에 투입했다.
  • 12월 4일에는 현대교통에서 3대를 출고해 7612번에 투입했다. 또 동성교통에서 아폴로 1100와 함께 일렉시티를 인도받아 303번에 투입했다.
  • 12월 6일 관악교통에서 1대를 출고해 6515번에 투입했다.
  • 12월 10일 유성운수에서도 1대를 출고했고 7016번에 투입했다.
  • 12월 8일 서울승합에서 추가 출고해 이번에는 340번에 투입했다.
  • 2020년에는 2월에 현대교통에서 서울 최초로 2020년식 일렉시티 1대를 뽑아서 7612번에 운행하고 있으며, 3월에는 유성운수 7016번에 1대, 4월 초에 공항버스 605번에 4대 출고해서 운행중에 있다.
  • 그 후 여러 회사에서도 출고하면서 2020년 가을에는 대진여객에서 일렉시티를 출고해서 162번에 9대가 운행 중이며, 2020년 12월 초에는 양천운수에서 3대를 출고해서 602번에 투입했다. 그 후로 추가 출고가 이루어지면서 12월 말 기준으로 양천운수 일렉시티는 7대가 되었다.
  • 2020년 12월 18일 태진운수에서 2대 출고해 2412번에 투입했다. 그 이후에도 1대가 추가로 출고 되었고, 2020년 12월 31일전까지 5대를 더 투입하여 총 8대가 운행 중이다.
시내버스 외에도 서울지방경찰청여경기동대 경력수송버스로 운용하고 있다. 사양은 저상버스이지만 좌석형 시트와 테이블을 갖추고 있으며, 앞으로 더 운용을 확대할 예정.
서울새활용플라자에있는 셔틀버스가 이 모델로 운행중이며,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 있는 셔틀버스[13] 가 이 모델로 대차 되었다.

3.2. 부산광역시


이 차량을 최초로 운행하는 지역은 부산으로 2017년 현대 전주 출고장에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도색을 한 일렉시티가 주차되어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인증글 그리고 2017년 11월에 1호차가 출고되었다. 전주공장에서 기념식을 열었는데 동남여객, 대진여객 대표와 송하진 전라북도지사, 현대 상용차 본부장 등 많은 관계자가 참석했다고 한다. 신문기사
  • 최초로 출고한 회사는 대진여객동남여객이다. 회사별로 각각 10대씩 출고했으며 대진여객129-1번에 6대, 189번에 4대, 동남여객167번에 전량 투입했다. 두 회사 모두 2017년 12월 15일부터 운행중이다. 이후 동남여객은 2019년 10월 5일 1대를 추가 출고하여 167번에 투입했다. 2020년 12월 30일 동남여객에서 2대를 추가 출고하여 67번에 투입예정이다.
  • 2018년 11월 25일 세진여객에서 일렉시티 10대를 출고했으며, 107번에 전량 투입했다. 이후 2019년 9월 3일 2대를 추가 출고하여 107번에 투입했고 11월 4일 2대를 추가로 출고하여 107번에 투입하면서 107번은 전 차량 일렉시티를 달성했다. 11월 26일과 28일 각각 2대를 추가 출고하여 이번에는 188번에 투입했다. 12월 3일 2대를 추가 출고하여 107번과 188번에 각각 1대씩 투입했다. 2020년 5월 6일 부산 첫 2020년식 일렉시티 2대를 출고하여 2대 모두 188번에 투입하면서 세진여객에서 두번째로 188번이 전 차량 일렉시티 노선이 되었다. 2020년 12월 15일 일렉시티 2대를 추가출고하여 12월 18일부터 2대 모두 184번에 투입되었다.

  • 2018년 12월 5일 삼신교통에서 일렉시티 10대를 출고했으며, 평산동전기버스용 충전기를 설치하여 50번에 전량 투입했다. 이후 2019년 2월 1일 용당공영차고지전기버스용 충전기를 설치하여 302번에 2대를 투입했다.[14] 이후 2019년 9월 21일 1대를 추가 출고하여 50번에 투입했다. 2019년 11월 21일 3대를 추가 출고하여 50번에 투입했으며, 2020년 8월 5일에 4대를 추가 출고하여 8월 6일에 1대 8월 7일에 3대가 50번에 투입 되었으며, 웅상 영업소는 예비차량까지 일렉시티로 구성되었다.
  • 2018년 12월 14일 용화여객에서 일렉시티 7대를 출고했으며, 41번에 4대, 83번에 3대를 투입했다.[15] 2019년 6월 14일 2대를 추가 출고하여 41번과 83번에 각각 1대씩 더 투입했고, 6월 21일 2대를 추가 출고하여 41번과 83번에 각각 1대씩 더 투입했다. 11월 28일 1대를 추가 출고하여 83번에 투입했다. 2020년 9월 7일 3대를 추가출고하여 9월 9일부터 41번과 83번과 83-1번에 각각 1대씩 투입되었다. 2020년 9월 21일 2대를 추가 출고하여 9월 22일부터 2대 모두 41번에 투입되었다. 2020년 12월 2일 1대를 추가 출고하여 83-1번에 투입했다.
  • 2019년 10월 2일 해동여객에서 일렉시티 2대를 출고했으며, 141번에 전량 투입했다. 이후 10월 4일과 10월 29일, 10월 31일, 11월 4일 총 4일에 걸쳐 하루에 2대씩 추가 출고하여 전량 141번에 투입했다.
  • 2019년 10월 29일 대도운수에서 일렉시티 5대를 출고하였으며, 110-1번에 전량 투입했다. 11월 7일 2대를 추가 출고했으며 역시 110-1번에 투입했으며. 11월 16일 2대를 추가 출고하여 110-1번에 투입했다. 11월 19일 2대를 추가 출고하여 110-1번에 투입했다. 2020년 6월 29일 세진여객에 이어 2020년식 일렉시티 3대를 추가 출고하여 7월 4일부터 110-1번에 투입했다. 2020년 10월 20일 3대를 추가 출고하여 10월 21일 등록후 10월 22일 부터 110-1번에 투입했다.
  • 2020년 10월 6일 학성여객에서 일렉시티 2대를 출고하여 10월 8일부터 57번83-1번에 각각 투입했다. 2020년 12월 23일 학성여객에서 일렉시티 3대를 추가 출고하여 12월 26일부터 2대는 57번과 1대는 83-1번 투입했다. 2020년 12월 29일 일렉시티 2대를 추가 출고하여 105번에 투입해 학성여객의 모든 노선에 일렉시티가 투입되었다.
  • 2020년 10월 26일 남부여객에서 일렉시티 2대를 출고하여 10월 30일부터 71번에 투입했다. 2020년 11월 2일 1대를 추가출고하여 11월 6일부터 508번에 투입했다. 2020년 12월 일렉시티 3대를 더 출고하여 모두 71번에 투입했다.
  • 2020년 12월 2일 태진여객에서 1대를 출고해 169번에 투입했다.[16] 태진여객 창사 이래 첫 저상버스다.[17][18] 2020년 12월 7일 1대를 추가 출고하여 12월 8일 부터 169번에 투입했다. 2020년 12월 15일 1대를 추가 출고하여 12월 16일 부터 169번에 투입했다. 2020년 12월 18일 2대를 추가 출고하여 12월 19일 부터 169번에 투입했다. 2020년 12월 23일 3대를 추가 출고하여 12월 25일 부터 169번에 투입했다. 2020년 12월 29일 2대를 추가 출고하였다.
현재 일렉시티가 전국에서 가장 많이 운행하고 있는 지역이 부산이다. 전기버스 입찰제를 도입하여 2개 업체 이상의 전기버스 운행을 강제하는 서울과 달리 부산은 업체[19]가 자율적으로 차종을 선정한다. 하지만 성원여객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체가 현대자동차 차량을 운행 중에 있고, 아무래도 현대자동차가 부품 관리라든지 차량 정비하는데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거의 모든 업체들이 현대자동차 버스를 선호한다.[20] 그래서 일렉시티의 주 운행지역이 되고 있다. 출시한 지 3년밖에 되지 않았고 가격이 비싼데도 불구하고 2021년 1월 현재 벌써 150대[21]가 도입되었으며, 저상버스 운행이 가능한 다른 업체들 역시 일렉시티 도입을 준비하고 있어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다른 지역과 달리 부산에서 출고되는 모든 차량은 연두색 손잡이가 아니고, 무지개 손잡이가 적용되어 있다.

3.3. 그 외 지역


부산 다음으로 일렉시티를 출고한 지역은 창원으로, 마창여객이 2대를 구매했다. 창원의 경우 부산과 달리 기본 도색의 캐릭터 라인을 살린 것이 특징.[22] 이후 2019년 4월 3일 대운교통이 일렉시티 3대를 출고하고 마창여객이 또 2대를 추가 출고하고 5월경에 또 2대를 추가 출고했으며 마인버스가 1대를 출고했다. 5월에는 진해여객에서도 4대 출고했으며 6월 11일 대운교통이 일렉시티 4대를 추가 출고하였다. 이후 계속 꾸준히 출고하는 중. 옵션은 부산처럼 컬러손잡이로 달아서 출고하는데, 거기에다가 70만원짜리 운전석 옵션을 채택해서 출고한다. 2020년 5월에는 대운교통이 또 2대를 추가 출고했다. 2020년 10월 16일 진해여객에서 1대를 추가 출고했다. 2020년 10월 20일 마창여객에서 2대를 추가 출고했다.[23] 2020년 12월 22일 마창여객에서 2대를 추가 출고하였다. 이번 신차는 진해여객처럼 지선도색이다. 2020년 12월 23일 대운교통에서 1대를 추가 출고했다. 2020년 12월 25일 마창여객에서 지선도색 2대를 추가 출고하여 2021년 1월 01일부터 258번, 259번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2020년 12월 30일 마창여객에서 지선도색 1대를 추가 출고하였다. 2021년 1월 4일 진해여객에서 3대 추가 출고하였다. 2021년 1월 18일 신양여객에서 3대를 추가 출고하였다.
2019년 2월에는 양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푸른교통52번 2대, 4월에 59번 1대, 9월부터 12월까지 58번 11대로 총 14대의 일렉시티가 다니기 시작했다. 중소도시 최초로 전기버스를 투입했다.[24] 2020년에는 추가로 5대가 더 도입될 예정이다. 이때는 사송신도시 부지를 지나가는 노선의 버스가 일렉시티 버스가 될 수도 있다. 사송신도시가 친환경 도시를 목표로 공사 중이기 때문.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극동여객이 일렉시티를 첫 도입했다.[25] 2019년 1월 19일 431, 432번에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2월 말에는 343, 344번, 3월 말부터는 325, 326번에도 운행 중이다. 관련 기사 2020년 11월에는 삼화여객에서도 도입했으며, 415번441, 442번에서 운행 중이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역시 현대자동차우진산전[26]전기버스를 채택함에 따라 2019년 3월 중순 대구 최초로 신흥버스에 첫 일렉시티 1대가 인도됐다. 3월 말에는 동명교통이 일렉시티 2대를 인도받았다. 503번 3대, 730번에 2대가 운행 중이다. 2020년 5월에는 우주교통이 3대를 인도받아 750번 2대, 937번 1대를 투입했으며, 동명교통이 1대를 추가 인도받아 730번에 투입했다. 경북교통도 2대를 인도받았다.[27] 당초 경북교통이 계획한 5대는 모두 805번에 투입할 예정이었으나, 5월 22일에 먼저 인도받은 2대는 937번에 우선 투입했고 805번은 동년 7월 15일부터 2대 투입, 8월 12일부터 1대 추가로 투입하기 시작했다. 6월에는 세왕교통이 1대를 인도받아 240번에 투입했다. 2020년까지 전기버스를 도입한 업체들 중 523번에 배치하는 경신교통, 영진교통을 제외하고 모두 일렉시티를 출고했다. 현대와 트러블이 생긴 영진교통은 그렇다 치더라도, 현대 원메이크였던 경신교통이 일렉시티를 출고하지 않은 게 의외다. 2020년 8월 26일에는 대구 일렉시티 첫 커스터머인 신흥버스의 차고지에 수소 충전소가 추가됨에 따라 FCEV의 운행 준비를 마쳤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일단 무기한 연기되었다.[28] 수소 충전소는 관음공영차고지에도 들어설 예정이다.[29]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역시 전기버스 시범도입 업체으로 선정된 인천선진교통에서 일렉시티 10대를 출고했다. 원래 2018년에 출고할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지연되다가 2019년 11월 드디어 도입되었다.[30] 현재 전 차량이 12번에서 운행 중이다.
아산시 시내버스는 170, 400, 430, 450, 451, 500, 900, 910, 980[31]에 각각 온양교통에 9대, 아산여객에 5대, 총 14대가 운행되고 있다. 여담으로 해당 노선을 같은 시간대에 매일 타는데 전기버스만 온다고 해서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말자. 전기버스 운행시간대는 고정이다.
2019년 하반기부터 2021년까지 매년 4대씩 총 12대의 일렉시티 굴절형을 세종도시교통공사세종 BRT에서 운행한다.
곤지암리조트 주차장 셔틀과 화담숲 순환버스도 이 모델로 대차되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삼원운수에서 1호차를 출고하여 봉선27번에 투입했다.
대전광역시 시내버스경익운수우진산전 아폴로 1100에 이은 2번째 전기버스로 대전운수에서 2018년 10월부터 311번에 운행하기 시작했다. 2020년 7월에는 대전승합에서 512번에 도입했다가 현재는 615번으로 이적, 이후 616번에 있던 11호가 대차되어 615번에 추가 도입되었다. 8월에는 한일버스에서 611번에 도입했다.
청주시 시내버스는 2019년 11월 9일 하반기 증차분으로 우진교통에서 4대, 청주교통동양교통에서 각각 2대씩 총 8대를 출고한다.[32] 2020년 가을에는 동일운수우진교통에서 각각 2대씩, 그리고 청주교통에서 1대 출고했다.
2019년 12월 30일에는 천안시 시내버스 업체인 새천안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에서 각각 1대씩 도입했으며, 3대 모두 2020년 3월부터 83번에서 고정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1번, 21번, 71번 등의 저상버스 운행노선에도 간간히 투입되다가 현재는 1번에서만 운행중이다. 충전기는 천안시 서북구 차암동에 설치했다.
2019년 12월 31일에는 정읍시 시내버스 업체인 대한고속에서 전라북도 시내버스 최초로 도입하여 277번에 투입하였다.
2020년 1월 초 서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서령버스강원도 시내버스에서는 최초로 춘천시 시내버스 업체인 춘천시민버스에서 출고했다.[33]
2020년 5월, 경기도 마을버스 도색을 한 일렉시티 차량이 목격되었다. 관련 글 고양시 마을버스 업체인 여산교통이 도입했으며, 053번에 투입했다.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들 중에서는 부천버스가 최초로 일렉시티를 도입해 88번에 2대 투입되었다. 부천버스 다음은 김포운수가 일렉시티 5대를 도입하였으며 중국산 전기버스만 출고하던 김포시가 최초로 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해당 차량은 60번에 투입된다. 경기도 마을버스 2번째 출고 업체는 주원교통이다.
2020년 7월에는 노선 개편에 따른 증차분으로 경북 최초로 포항시에서 18대를 도입했다.[34] 동년 7월 초 일렉시티 3대를 우선 인도받았고, 북구 양덕동공영차고지와 덕수동(도심환승센터)에 충전소를 설치했다. 구미시의 무선 충전식[35]에 이어 경북에서 전기버스를 2번째로 도입하였고, 플러그인 방식을 도 내에서 최초로 채택하였다. 모든 차량이 신설된 노선들(도심순환 12대[36], 306번 4대, 북구순환 2대)에 투입되고 있다. 도심순환 노선은 전 차량이 일렉시티로 다닌다.
2020년 11월 오산교통에 6대가 도입했으며 202번에 투입되었다. 오산시버스공영차고지에 충전시설이 설치되었다.
2020년 12월 1일 삼영운수에 경기도 시내버스 신도색을 한 일렉시티를 출고했으며, 충훈부차고지에 전기차 충전시설이 설치되었고 9번에 2대 9-3번에 3대 투입되었다.
2020년 12월 24일 명성운수에 경기도 시내버스 신도색을 한 일렉시티를 출고했으며, 성석동차고지에 전기차 충전시설이 설치되었고 11번에 5대가 투입되어 2020년 12월 30일 첫차를 기점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고양시에서 앞서 투입된 일렉시티는 모두 덕양구에서만 다니기 때문에, 일산 지역에서 처음으로 일렉시티를 볼 수 있게 되었다.
부천시에서도 교통약자전용버스 차량이 이 모델로 대차되었으며, 2021년 1월에는 소신여객에서도 출고했다.
2021년 2월에는 수원여객, 시흥교통에서도 출고했다.

4. 일렉시티 운행 노선 목록


굴절버스를 운행하는 노선은 별도의 각주를 사용해 표기한다.
  • 서울특별시: 01A번, 01B번, 162번, 302번, 303번, 340번, 504번, 602번, 605번, 643번, 750B번, 1711번, 2412번, 3411번, 3413번, 5712번, 6513번, 6514번, 6515번, 6631번, 6638번, 7011번, 7013A번, 7016번, 7612번
  • 부산광역시: 41번, 50번, 57번, 67번, 71번, 83번, 83-1번, 105번, 107번, 110-1번, 129-1번, 141번, 167번, 169번, 184번, 188번, 189번, 302번, 508번
  • 대구광역시: 240번, 503번, 730번, 750번, 805번, 937번
  • 인천광역시: 12번
  • 대전광역시: 311번, 611번, 615번
  • 광주광역시 : 순환01번, 매월06번, 첨단09번, 진월17번, 문흥18번, 매월26번, 봉선27번, 일곡28번, 송정29번, 운림51번, 금남59번, 첨단23번[37], 문흥39번, 금호36번, 송정19번
  • 세종특별자치시: 900번[굴절], 990번[굴절]
  • 부천시: 71번, 88번, 23-2번
  • 고양시: 052번, 053번, 077A번, 093번, 11번
  • 김포시: 60번
  • 안양시: 9번, 9-3번
  • 오산시: 202번
  • 수원시: 35번
  • 천안시: 1번
  • 청주시: 40-1번, 40-2번, 115번, 871번, 872번 - 청주시 시내버스 공동배차제의 특성으로 운행노선은 정해져 있지만, 3개 운수사가 날짜별로 돌아가면서 운행한다.
  • 아산시: 170번, 400번, 430번, 500번, 900번, 910번, 980번 100번 170번 970번 971번 900번 910번
  • 포항시: 110번, 111번, 120번, 121번, 306번
  • 창원시: 52대 - 122번, 258번, 259번, 307번, 315번, 317번에 고정 투입되는 일렉시티가 일부 있긴하나 대부분의 일렉시티의 경우 창원시 시내버스 공동배차제의 특성으로 인해 투입 노선이 매일 달라진다.
  • 양산시: 52번, 58번, 59번 - 자연지물로 인해 예로부터 분리되어버린 양산/웅상 생활권과 타 도시인 부산을 연결하는 비교적 장거리인 노선이다. 덕분에 전국의 일렉시티 노선들 중에서 가장 험준하고 경사진 곳[38]을 다닌다.
  • 정읍시 : 277번
  • 제주특별자치도: 325, 326번, 343, 344번, 415번, 431, 432번, 441, 442번

5. 파생형



5.1. 수소전기버스


[image]
정식 명칭은 '''일렉시티 FCEV'''.
파워트레인은 자체 개발한 180kW 연료전지 시스템과 동급 최고 용량의 845ℓ(169ℓ x 5) 수소 탱크 용량, 그리고 78.4kWh의 경제형 배터리를 탑재했으며 정속 주행 시 1회 충전으로 474km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후륜에는 현대로템과 현대모비스가 공동으로 개발해낸 인휠모터와 ZF제 신규 센트럴 모터를 선택해서 탑재할 수 있다.
2017년 10월 말에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도 공개되었다. 가속성능과 등판능력이 개선됐고 내구성능이 향상됐다고 한다. 2018년형은 기존 일렉시티와 똑같이 시트색과 봉색깔이 연두색이었으나 2019년형부터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개선형과 동일하게 회색봉으로 변경됐으며 검정색 시트가 달려나온다.[39]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일에 실물이 공개되었다. 한때 강릉역 - 강릉올림픽파크 구간을 무료로 운행했다. 그 차는 재활용되어 2019년 현대 트럭&버스 비즈니스 페어에서도 그대로 등장하였다.
2018년 1월부터 울산에 정식으로 투입한다고 하는데, 현대자동차로부터 기증받아 10월 22일부터 124번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40] 운행 업체는 울산여객이다. 2019년 10월 8일 부로 운행 기간이 만료돼서 반납했으며, 2019년 12월 30일에 울산여객에서 일렉시티 FCEV 3대를 출고했다. 면허는 2790호, 2791호, 2792호로 2020년 5월 4일에 신설되는 707번에 투입되었다. 이후 울산에는 덕하공영차고지가 열리면서 수소충전소가 추가됐다. 2020년 12월에는 한성교통에서 3대 출고하여 216번에 임시 투입되었다.[41]
2018년 11월에는 서울 삼성여객에 임차되어 405번에 투입되었으며, 2019년 8월 30일 부로 운행 기간이 만료돼서 반납했다. [42]
2019년 5월 말쯤 창원 대운교통이 정식 출고로는 최초로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출고했다. 면허는 1108호, 1109호.[43]이후 창원 동양교통도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출고했다. 면허는 1014호로 122번에 운행 중이다. 2019년 8월말쯤 창원 대운교통이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추가 출고했으며 9월 9일에 1351호로 등록하여 9월 10일부터 간선노선에 투입되어 운행 중이다. 이후 2019년 9월 9일경 창원 동양교통에서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추가출고하여 추석연휴 지난후 9월 18일에 1025호로 등록하여 1014호와 같이 122번에 고정 투입되어 운행 중이다. 2020년 9월 19일과 21일 이틀에 거쳐, 창원 마창여객에서 2020년식 현대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출고하여 9월 24일부터 1대는 간선, 1대는 27번에 고정 투입되어 운행중이다. 2020년 9월 24일 창원 마창여객에서 1대를 추가 출고하여 10월 1일부터 258번에 고정으로 투입하였다. 2020년 9월 28일 창원 마인버스에서 2대를 출고하여 10월 05일에 등록되었다.2020년 10월 05일 창원 마창여객에서 1대를 추가 출고하여 10월 08일부터 지선노선에 투입하다가 11월 01일 부터 259번에 투입하다가 2021년 1월 01일 부터 258 259번에 운행 했던 마창여객 수소전기버스 2대가 80번노선으로 이동되었다. 2020년 11월 12일 동양교통에서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출고하여 2020년 11월 16일 등록후 간선노선에 투입되었다. 2020년 11월 16일경 창원 창원버스에서 이 업체 최초로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출고하였다.[44] 2020년 11월23일 창원 진해여객에서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출고하여 163번164번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45] 2020년 11월 26일경 창원 대운교통에서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추가출고하여 11월29일과 30일부터 1대는 108번에 1대는 122번에 투입되었다. 2020년 12월 1일 신양여객에서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출고하여 12월 4일부터 2대 모두 259번에 투입되었다. 2020년 12월 5일 신양여객에서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추가 출고하여 12월 8일부터 258번에 투입되었다. 2020년 12월 8일 창원 마인버스에서 1대를 추가출고하였다. 2020년 12월 21일에는 창원버스에서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추가 출고하였다. 2020년 12월 31일 창원 대운교통에서 수소전기버스 3대를 추가출고하였다.
2019년 8월 23일 부산 대도운수가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출고하였다. 면허는 1537호로 9월 10일부터 77번에 운행 중이다. 2019년 10월 24일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추가로 출고했다. 면허는 1538호로 역시 77번에 운행 중이다. 2019년 11월 23일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추가로 출고했다. 면허는 1518호로 역시 77번에 운행 중이다. 2019년 12월 21일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추가로 출고하면서 예정되어 있던 5대를 모두 출고했다. 면허는 1552호,1556호로 모두 77번에 운행 중이다. 2020년 11월 18일과 25일 27일에 거쳐 부산 첫 2020년식 수소전기버스 3대를 출고하여 전량 77번에 운행 중이다. 2020년 12월 02일 부산에서 마지막 2대 남은 SE저상 대차분으로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추가 출고하여 12월 10일 부터 전량 77번에 운행 중이다. 2020년 12월 10일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추가출고하여 12월 15일부터 전량 77번에 운행 중이다. 2020년 12월30일 수소전기버스 1대를 추가 출고하여 2021년 1월 01일 부터 77번에 운행 중이다. 2021년 01월 중순~말경 수소전기버스 7대를 추가 출고하여 전량 77번에 운행 중이다.
2020년 7월 30일에는 전라북도 시내버스 최초로 전주 호남고속에서 1783호를 출고해[46] 103번에 투입한다. 완주군 봉동읍에 수소충전소가 설치됐다. 9월에는 전일여객에서도 1351호를 출고했다. [47] 투입노선은 61 > 165 > 970순으로 순환배차된다.
2020/1/15기준으로 전일여객에서 10대보유중
[image]
경찰청이 2019년 10월 경찰버스로 도입했다. 광화문광장 등 주요시설 경비활동을 할때 공회전을 줄이기 위한 취지로 들여왔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는 2035년까지 전 노선 시내버스를 수소버스로 교체한다고 발표하였으며, 현대만 많이 취급하는 울산의 특성상 현대 일렉시티로 전면 교체가능성이 높다. 울산처럼 현대차 공장[48]이 위치한 전주시 시내버스도 전기버스 없이 수소버스만 운행한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2020년 12월 대원시내버스, 대진운수, 대창운수, 라정시내버스, 현대교통에서 출고했다.
아산시 시내버스는 2020년 후반 아산여객온양교통에 1대씩 도입되었다.[49] 충전소는 초사동에 설치될 예정이다.
그리고 최근에 현대자동차 상용 홈페이지에 수소전기버스 홈페이지가 추가됐다.
국회의사당 통근버스도 이 모델로 대차되었다.
2020년 12월에 자체 출고분으로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초로 대원여객에서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하였다. # 강동공영차고지에는 수소 충전소가 없고, 수소전기버스 투입 노선인 370번의 경유지인 상일초등학교 근처에 개소한 저장식 부생수소 충전소에서 충전한다.
서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서령버스에서도 도입했다.
인천국제공항 무료 셔틀버스도 이 모델로 대차되었다.

5.1.1. 일렉시티 FCEV 운행 노선 목록


  • 서울특별시 : 370번
  • 부산광역시 : 77번
  • 광주광역시 : 순환01번, 송정19번, 일곡28번, 금호36번, 금호46번, 운림51번
  • 울산광역시 : 216번[50], 707번
  • 창원시 : 28대 - 80번, 108번, 122번, 163번, 164번, 211번, 258번, 259번에 고정투입되는 차량이 있으나 대부분의 수소일렉시티 차량은 순환배차제의 특성상 투입노선이 매일 달라진다
  • 전주시 : 8-1번, 61번, 103-1번, 103-2번, 119번, 165번, 385번, 400번, 970번 - 8-1번, 119번, 385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은 전일여객에서 순환배차로 이루어진다.
  • 아산시 : 순환배차제의 특성상 운행노선이 그때그때 다르나, 주로 900번대 노선에 투입된다.

5.2. 현대 일렉시티 굴절버스


세종도시교통공사에 도입된 모습.
굴절형 모델이 존재한다. 국내에서 세번째로 상용화된 굴절버스이며[51], 첫번째 상용 굴절버스인 우진산전 바이모달트램은 네덜란드 VDL의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제품이라[52] 순수하게 국내 기술로 개발된 굴절버스로는 최초의 제품. 가격은 세종특별자치시 BRT 낙찰가 기준 대당 9억원 미만이다.
2018년 11월 일렉시티의 굴절모델 시제차량이 인천국제공항에서 시운전하는 것이 목격되었으며, # 이후 2019년 1분기 세종특별자치시 BRT 차량 입찰에서 도입이 확정되었다. 2019년 12월 중순 1대를 시작으로 현재 차고지 입고 및 노선시험운전 단계에 이르고 있다.
출력은 일렉시티 기본형보다 향상될 것으로 보이나, 이미 일렉시티 기본형 모델의 출력이 240kW로, 기존에 성공적으로 시운전을 마쳤던 바이모달트램의 200kW보다 높기 때문에 그대로 도입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도입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2019년 8월에 열린 현대 버스&트럭 비즈니스 페어에서도 등장했다.

5.3. 현대 유니버스 일렉트릭 더블데커


2층버스 시험 차량이 동탄 지역에서 시운전하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2017년부터 2019년 6월 26일까지 진행 중인 한국형 대용량 2층 전기버스 선행차량 개발 사업의 결과물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2층 전기버스는 2019년 5월 29일에 공개되었다. # 1회 충전에 300km를 갈 수 있으며, 아직 이름은 정해지지 않았다. 2021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
2019년 5월에 2019 국토교통기술대전에서 첫 번째로 등장했으며, 2019년 8월에는 현대 버스&트럭 비즈니스 페어에서 두 번째로 등장했다.
알려진 스펙대로라면 광역버스용으로 제작되었으므로 단거리로는 잘 다닐 수 있겠지만 그 이상으로는 되지 않는 정도. 최대주행거리는 447km라고 한다. 애초 볼보 9700 더블데커 같은 장거리용 이층버스와 목적이 다르니 장거리 코치 더블데커와 비교한다면 사양이 그렇게 좋지는 않다. 그렇다 보니 1층 뒷쪽에 설치되어야 할 화물칸과 1층 중문 쪽에 있어야 할 화장실, 그리고 운전석 뒤에 있어야 할 승무원용 침실이 없다.
2020년 10월에 강남대로에서 시운전을 하였으며, 2021년 3월 부터 본격적으로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최초로 출고하는 업체는 인천광역시의 업체라고 예상된다. 알려진 노선 중 M6450번에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차종은 '유니버스 일렉트릭 더블데커'로 출시되었다. 유니버스의 이름을 단건 좌석버스로 쓰일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6. 모형화


초기 공개(카탈로그용 도색) 사양,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도색 사양[53], 부산광역시 시내버스[54] 도색 사양으로 된 차량이 22,000원에 현대 브랜드 컬렉션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이후 현대모터스튜디오고양에서도 같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모형의 크기는 1:87 스케일이라고 하지만 스케일이 준수되지 않고 차폭이 지나치게 넓어서 전면을 보면 지나치게 뚱뚱해보인다. 완구 수준으로 생각하거나 측면만 볼 것이라면 구입해도 괜찮을 것 같다.

7. 경쟁 차량



8. 둘러보기





[1] 현대자동차가 자체적으로 구분하는 세대에 대한 설명은 홍보 동영상 참조. 다만 세종BRT 차량 선정때 블루시티가 아닌 일렉시티로 선정 되었다면, 해당 디자인으로 출고되었을 수도 있다. 물론 일렉시티를 선정 안한 이유에는 불안정한 개발단계라는 요소도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되기에 도입될 일은 없었을 것 이다(...)[2] 단,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 의하면 단거리 운행노선을 운영하는 업체를 위해서 마이너스 옵션으로 128kWh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를 적용할 수도 있다고 한다.[3] 비슷한 차량 디자인에 빗대자면 에어로타운 초기형의 검은색 헤드라이트 패널과 자일대우버스 BS의 팬더 스타일을 조합한 형태라고 설명하는 것이 가장 쉽다.[4] 2020년 6월 이후 삼각 엘레강스 모델과 노블, 노블EX 모델 한정[5] 수소전기버스는 1열이 빠진 4열 16석이 배치된다.[6] 2019년 생산분까지 없었던 접의식 의자가 추가된 것은 대형버스에 휠체어가 최소 두개가 들어가도록 설계하여야 한다는 저상버스 표준모델 기준을 준수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7] 아폴로 1100를 첫 공개한 엑스포다.[8] 내부에는 전기자동차가 전시되었고, 셔틀버스는 수소연료전지차로 운행했다.[9] 이 쪽은 수소연료전지 일렉시티가 전시되었다.[10] 뿐만 아니라 유럽형 사이드미러가 선택형 옵션이 되었다. 2020년 12월 출고분부터 수소전기버스에도 적용되었다.[11] 이전에는 수소전기버스 전용 사이드미러가 선택형 옵션이었다. 2020년 9월식까지만 해당. 서울 대진여객유성운수가 이 옵션으로 출고했다.[사실확인필요] [12] 인휠모터가 계속 장착되는 것은 일반 전기 모델만 해당되고, 수소전기 모델의 양산형은 ZF의 일반 전기모터로 바뀌었다. 실제로 마창여객 FCEV 신차 출고분은 인휠모터가 빠졌다.[13] 원래는 연구용 수소연료전지버스 였다.[14] 원래부터 50번에 8대, 302번에 2대를 투입하려 했으나 용당공영차고지에 전기 충전기 설치가 완료가 되지 않아 먼저 50번에 10대를 투입한 것이었다.[15] 민락동에 이웃한 회사인 오성여객 역시 전기버스를 굴리고 있다. 이쪽은 부산 최초로 전기버스를 도입했으며, 첫 도입 당시 일렉시티는 아직 출시 전이었고, 사업자가 에디슨모터스 (당시 사명은 TGM)로 선정된 이래 e-화이버드만 굴리고 있다.[16] 해당 차량은 2020년 11월 기본 옵션 변경에 따라 연두색 봉이 아닌 회색봉으로 출고했다.[17] 원래 태진여객은 구포동 차고지와 덕천주공아파트 쪽 경사로가 심해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않았었다. 그런데 이번에 투입함으로서 경사로 문제도 해결될걸로 보인다. [18] 이로써 부산 시내버스에서 저상버스가 없는 곳은 영신여객만 남게 되었다.[19] 정확하게는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20] 물론 동남여객, 신한여객, 오성여객, 일신여객, 시민여객 등은 우진산전, 에디슨모터스 등 타 차종을 출고하는 사례도 있다. 그리고 수도권, 강원, 창원, 양산(삼신교통 계열 푸른교통에서 BYD eBUS-12를 운행한다.)과 달리 중국산 전기버스는 단 1대도 없는데 그 이유는 업체들이 중국산 버스를 구매하는 것을 상당히 기피한다.[21] 대도운수 77번 수소전기버스 18대 포함[22] 2017년 제작으로 보아, 시제차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23] 10월 16일 출고한 진해여객 신차와 10월 20일 출고한 마창여객 신차 모두 2019년 제작으로 보아, 재고차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24] 실제로 양산시의 인구는 34만 명으로, 김해시보다 적다. 따라서 친환경 도시를 목표로 하는 사송신도시 건설 사업을 일환으로 도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아마 52번의 종점인 용당공영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소가 있어서 그런 듯.[25]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굴러다니는 전기버스는 대다수가 화이버드다.[26] 우진산전대구도시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를 납품하여 대구광역시와 인연이 있으며, 아폴로 1100을 첫 공개한 곳이 북구 산격2동에 있는 엑스코다.[27] 경북교통은 대구에서 2020년까지 전기버스를 도입한 업체들 중 유일하게 아폴로 1100을 도입하지 않았으며, 우진산전 홈페이지의 연혁에서 대구광역시 전기버스 수주 업체 중 경북교통만 없다.[28]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차량 문서의 2.4번째 문단에 있다.[29] 대구광역시청 보도자료에 언급[30] 참고로 1대는 2019년 2월 제작분, 나머지는 2019년 3월 제작분이다.[31] 900, 910, 980번은 천안시 구간을 운행함에 따라 천안 시민들도 특정 시간대에 전기버스를 타 볼 수 있다. 천안시 시내버스현대 카운티자일대우버스 레스타를 제외한 모든 버스가 천연가스버스다. 여담으로 천안시에서도 운행하고 있는 900, 910번의 경우 반대로 아산 시민들이 천연가스버스를 타 볼 수 있게 해 준다. 아산시는 일렉시티를 제외한 모든 버스가 디젤이기 때문에, 해당 노선이 아니면 천연가스버스는 꿈도 못 꾼다. 왜냐면 아산시에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려다가, 난항을 겪어서 포기했기 때문이다.[32] 청신운수, 동일운수, 한성운수는 본진인 충청북도 소재 기업인 우진산전에서 만든 아폴로 1100을 도입했다. 청주교통 주문분의 출고가 지연되어서 청주교통을 제외한 6대가 2019년 11월 9일부터 운행에 들어갔고, 나머지 2대는 예비차가 투입됐다가 며칠 뒤 출고해서 운행했다.[33] 그러나 춘천시민버스는 차량대급 미납으로 제조사에서 차량을 회수해 갔다. 다만 일렉시티밖에 없는 수소버스 도입 계획에 따라 일렉시티를 다시 출고할 가능성이 있다.[34] 주로 도심에서 운행할 목적으로 코리아와이드 포항에서 도입하는 일렉시티와 함께 농어촌 오지노선 위주로 투입할 예정인 카운티 EV포항시 외곽노선 신설 법인인 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에서 41대를 구매했다. 4대는 금아여행이 도입해 창포1번 1대, 용흥1번 3대 투입 중이다.[35] 그 중 무선충전식 프리머스는 잔고장이 늘어나, 2020년 7월에 모두 조기 폐차됐다.[36] 모든 차량이 이 버스다.[37] 95번에서 끌어 모아온 차량과 +1대 운행중이다.[굴절] A B 일렉시티 굴절버스를 운행한다.[38] 특히 양산시의 경우 부산 산복도로 못지 않은 경사진 곳들을 가끔씩 저상버스로(!!) 운행하기도 한다.[39] 참고로, 전 좌석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가 달린 일렉시티 EV와 달리 일렉시티 FCEV는 맨 뒤에 하이백 플라스틱 시트가 달리며 나머지 좌석은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가 달린다.[40] 세계 최초양산형 수소버스를 대중교통 노선에 투입한 사례가 될 수 있었으나,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TS노선에 최초 타이틀을 뺏겼다. 단, 정규 노선에 한정한다면 현 일정대로라면 세계 최초가 맞...을 수 있었으나, 겉으로는 차량 성능 조정, 실제로는 비용 보전 및 인수업체 선정 등을 이유로 1대만 시범 운행을 하고 2019년 1월 정식 투입하기로 입장을 바꿔 또 미뤄졌고, 그 사이 일본에서 첫 사례가 나오면서 이제는 무의미하게 되었다.[41] 2021년 4월부터 태화강역~직업전문학교 노선을 신설하여 운행할 예정이다.[42] 양재2동 현대자동차그룹 본사에 수소 충전소가 있는데, 염곡공영차고지에서 멀지 않다. 단, 수소 충전소가 주중에만 열기 때문에, 주중에만 일렉시티 수소차가 다녔다.[43] 1108호는 108번, 1109호는 122번에 투입되엇다.2020년 11월 29일부터 수소전기버스 신차운행에 따라 1108호 1109호 2대가 258번 259번 으로 격하되었다.[44] 창원버스에서 전기버스는 하이퍼스만 출고해 왔으나, 일렉시티를 출고하는건 이번이 처음이다.[45] 원래 진해여객에서 302번에 투입할 예정이었으나 진해에 충전소가 아직 지어지지 않아 163번164번노선으로 바뀌었다.[46] 이차가 국내1호 FCEV라고 한다. 이 모델부터는 기존의 사이드미러에서 수소전기버스 전용 사이드미러가 바뀌었다. 수소전기버스 모델뿐만 아니라 전기버스 모델도 옵션으로 적용된다.[47] 현재는 10대가 넘께 출고되었다.[48] 울산 - 승용차 공장, 전주 - 상용차 공장[49] 대부분 900번대 노선에 투입되는지라, 천안시에서도 타볼수 있다.[50] 이 노선에 임시투입하여 시범운행중이다[51] 최초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특별시에서 운행한 이베코산 굴절버스.[52] 여전히 차축 등 여러 부품을 네덜란드에서 수입해 사용한다. 촌스러운 디자인과 조악한 마감 품질에도 불구하고 15억이란 가격을 부르는 이유 중 하나.[53] 번호는 1711번으로 적용된다.[54] 번호는 189번으로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