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기
1. 개요
窮極技 / ultimate
글자 그대로 '궁극의 기술'이라는 뜻으로, 줄여서 그냥 궁#s-3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1]
2. 특징
주로 게임 쪽에서 주로 쓰이는 단어이다. 게임 내에서 해당 캐릭터나 유닛 등이 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힘이나 대단한 기술이지만 마구 사용할 수는 없는 기술, 특정 스킬 트리의 최종기 등을 일컫는다. 대개 평타나 일정 쿨타임만 지나면 사용이 가능한 스킬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월등한 성능을 지닌다.
평타가 특별한 자원의 소모나 쿨타임 없이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공격기를 의미한다면, 스킬은 쿨타임이 있으며 마나 등 특정 자원이 소모되는 기술 전반을 의미하고, 그 중 궁극기는 다른 스킬들과 달리 사용 또는 획득 그 자체에도 특별한 조건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한다.
3. 유래
이전엔 이러한 포지션의 기술은 대전 액션 게임, 특히 킹오파의 유행으로 인해 대체로 초필살기등으로 불렸다. 워크래프트 3의 'Ultimate skill'을 궁극기라고 칭한 것을 시작으로 궁극기라는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0년대 중반부터 워크래프트 3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AOS 장르가 인기를 끌기 시작했고, 단어 자체도 이해를 위해 특정 게임의 지식을 요하지 않는 그냥 보면 뜻을 알 수 있는 일반적인 단어이기 때문에 쓰이는 빈도가 급격히 늘어난다.
아울러 (초)필살기라는 단어의 이미지가 약해짐에 따라 최종오의, 최강의 기술 등을 궁극기로 칭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4. 게임별 특성
4.1. 워크래프트 3
워크래프트 3의 영웅이 레벨 6에 배울 수 있는 스킬로 이름에 걸맞는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물론 예외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위력을 실제로 체험하는건 쉽지 않다. 우선 워크래프트3의 메타 자체가 서로 견제나 타이밍 러시를 시도하며 어떻게든 상대의 레벨업을 방해하려고 하는 쪽이므로, 사냥만 다니는 것은 불가능하다. 설령 사냥으로 5레벨을 찍었다 하더라도 5레벨부터는 사냥으로 경험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워크래프트 3의 1:1 게임은 대부분 빠르면 선영웅의 1~3레벨 타이밍, 늦어도 세컨영웅 3레벨/선영웅 5레벨 타이밍에 일어나는 교전에서 게임의 승패가 결정되곤 한다. 그리고 6렙을 찍었다/내줬다는 것은 게임 후반부에 상대가 내 유닛을 그만큼 잡고 경험치를 얻었다는 뜻이므로 이미 게임이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궁극기의 성능을 떠나 6레벨을 보자마자 항복하는 경우도 많다. 더 슬프게도, 6레벨을 찍었는데 정작 마나가 부족해서 궁극기 대신 일반 스킬을 찍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무조건 안 나오는 것은 아니고, 궁으로 승패가 뒤집히는 경우도 종종 있다.(예시) 원 영웅 체제나 장기전을 바라보는 전략은 궁을 염두해두고 작전을 짠다. 대표적으로 나이트엘프의 선 워든 전략, 선 비마 전략은 보통 원 영웅 체제고 견제 중심의 전략이기 때문에(=소모전이 일어나기 때문에), 잘 풀릴 경우 궁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선 워든 전략의 경우 경기 양상이, 워든의 견제-> 상대방이 막고 막다가 한 방 러쉬-> 잘 큰 워든으로 수비, 이런 양상으로 흘러가곤 하는데, 이때 워든이 6렙 찍고 궁이 있느냐 없느냐로 승패가 갈릴 때가 있다. 종족전으로 따지면, 운영 싸움 장기전을 할 때가 많은 vs나이트엘프전에서 비교적 자주 나오는 편이며, 반대로 한방 러쉬로 승부를 보는 vs언데드에서는 비교적 드물다.
4.2. AOS
AOS는 워크래프트 3의 영웅 시스템을 이용한 세팅 맵 도타를 바탕으로 성장했고, 영웅 성장 시스템 또한 도타와 파생작에서 그대로 차용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특징은 대체로 워크와 같다. 하지만 게임 디자인상의 차이점으로 인해, 궁극기는 게임을 끝내는 최종병기가 아니라 캐릭터의 특징을 결정하는 전략의 시발점 정도의 취급을 받는다. 시초인 워크래프트 3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레벨 6에서 궁극기를 배우게 된다. 예외적으로 사이퍼즈에서는 궁극기가 게임 시작부터 존재하고,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는 10레벨에 해금된다. 워크래프트 유즈맵 카오스의 경우 밸런스상의 이유로 5레벨에 궁극기를 배우는 캐릭터도 있다.
대부분의 궁극기는 그 이름에 걸맞게 강력한 기술들이기 때문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또한 대부분의 궁극기가 높은 마나 소모량과 긴 쿨다운을 가진 대신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는 워크래프트 3와는 다르게, 쿨다운이 짧고 위력은 다소 떨어지는 로우리스크 로우리턴형 궁극기나 더 심하게는 궁극기가 패시브[2] 인 경우도 있다는 게 특징. 혹은 아예 궁극기를 1레벨부터 들고 다니거나 시전자의 모습을 바꾸는 정도의 효과만 가진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궁극기가 궁극기 대접을 받기는커녕 캐릭터의 스킬을 다른 것으로 바꿔 주는 단축키 정도의 취급만 받는다.
궁극기를 차단하거나 카운터하는 방식으로 씹는게 중요한데, 특히 CC기 관련으로 들어가면 캐릭터 빌딩이랑[3] 맞지 않거나 '''아예 작정하고 구리게 짠게 아니라면(...)''' 궁극기 성능이 정말 흉악해지기 때문에 카운터를 제대로 못하면 한타를 파괴시켜버리는 말 그대로 궁극기이다.
궁극기를 썼는데 타이밍이 안 맞았거나 맨허공에 낭비하는 행위를 뻘궁이라고 한다. 쿨타임이 길거나 중요한 궁극기를 함부로 허공에 날리면 궁극기와 함께 당신의 멘탈이 위독해지고 팀원들의 눈빛을 받을 수 있으니 주의. 물론 유저들 사이에서 가끔 발생하는 실수이기에 그냥 잠깐 개그 정도로 넘기기도 한다.
4.3. 오버워치
오버워치는 1인칭 슈팅 게임임에도 궁극기가 존재한다. 이는 FPS 게임에서 드문 요소[4][5] 로, 오버워치가 FPS에 AOS 장르적 요소가 더해진 하이브리드 게임이기 때문이다. 궁극기는 오버워치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6] 이자 '''게임의 핵심'''이기도 한데, 오버워치의 궁극기들은 하나하나가 판세를 완전히 뒤엎을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기 때문에 얼마나 빨리 궁극기를 채우고 어떻게 배분하여 사용하느냐가 사실상 전략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재사용 대기시간이 정해져 있는 일반기와는 달리 궁극기는 별도의 충전량 게이지가 존재하고 이 게이지를 소모하여 발동할 수 있다. 충전량은 영웅별로 차이가 있지만, 보통 1000~2000 정도이며 하단 중앙의 궁극기 게이지는 이 파라메터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궁극기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충전된다.
- 적에게 데미지를 입힐 때 마다 데미지 1당 1씩 궁극기가 충전된다. 단, 방벽이나 적 구조물(포탑)을 공격하면 게이지가 차지 않는다. 알파 베타 시절에는 방벽에 딜을 넣거나 반대로 적에게 데미지를 입어도 궁 게이지가 찼지만 얼마안가 사라졌다.
- 체력을 회복시킬 경우에도 힐량 1당 1씩 충전된다. 7월 패치 이전까진 자가 치유로는 궁극기 충전이 불가능했지만 지금은 가능하다. 하지만 자신의 폭발물로 인해 받은 피해는 자가 치유해도 궁극기 게이지가 충전되지 않는다. 단, 솜브라는 힐량이 몇이든 추가 충전이 불가능하다.
- 메르시는 증폭의 물결을 주고있는 아군이 적에게 데미지를 1씩 줄 때 마다, 1씩 궁극기가 충전된다.
- 루시우는 아군 체력을 15씩 회복시킬 때 마다 궁 게이지가 20씩 차오른다.
- 젠야타는 조화의 구슬로 아군 체력을 25씩 회복시킬 때 마다 궁 게이지가 30씩 차오른다.
- 모든 영웅들은 매 초마다 5씩 자동으로 궁극기가 충전된다.
- 궁극기로 입힌 데미지로는 궁 게이지가 차지 않는다.[7]
대개 궁극기의 형태와 효과는 각각의 영웅이 가진 능력과 특성을 강화한 것이다. 하지만 드물게는 본래 영웅의 역할이나 능력과는 연계성이 낮은 뜬금없는 기술이 튀어나오는 경우[9] 도 있다. 이는 그 영웅에게는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거나 보완하는 용도로 쓰이기 위한 것이나, 또는 그 영웅이 아군을 다른 부분으로 지원해주기 위해서 추가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한 부분을 갖춤으로서 전반적으로는 갖출 것은 다 갖춘 올라운더로서의 역할을 랑조하기 위한 것도 있다.
다음은 각 영웅들의 궁극기의 용도를 정리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분류를 하면 아래와 같다.
- 일시적인 자기 강화
- 대규모 순간 화력 투사
둠피스트, 리퍼, 맥크리, 트레이서, 파라, 정크랫
- 광역 CC기
메이, 라인하르트, 자리야, 솜브라
- 진영붕괴용 광역 공격[12]
한조, 디바, 레킹볼, 토르비욘
- 일시적인 아군 강화
오리사, 아나, 바티스트
- 대규모 회복
루시우, 젠야타, 브리기테
- 복합 기능
로드호그(진영붕괴+순간폭딜), 모이라(순간폭딜+대규모 회복), 시그마(자기강화+진영붕괴)
- 보조계 및 특수계
앞서 말했듯, 오버워치의 궁극기들은 전부 다 판을 뒤집을 수도, 말아먹을 수도 있을 정도로 강력하기 때문에 절대로 함부로 사용해선 안 되며, 소위 말하는 각을 잘보고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대 겐지가 궁극기로 아군을 전부 베어 판을 뒤집으려 할 때 아나의 수면총으로 이를 카운터칠 수 있다.[17]
여담으로 지원가 영웅들의 모든 궁극기는 잘못 쓰면 적군의 궁극기를 더 빨리 채워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특징이 있다. 메르시가 광역 힐 광선을 넣으면 적들이 더 오래 때릴 수 있고, 루시우의 소리 방벽은 방벽이 주어지는 만큼 더 때릴수 있고, 젠야타의 초월의 경우 초당 300 힐이다 보니 그 사이에 적군이 그 이하의 데미지로 실컷 공격해도 안죽어서 게이지가 쭉쭉 차오른다. 아나 또한 해당 영웅을 더 튼튼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적이 궁극기를 받은 해당 영웅을 공격하였을때 상대방의 궁극기 게이지가 차오르는 양이 더 많아지게 된다.[18] 다만 그만큼 아군의 생존력이 증가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적들의 화력을 분산시키거나 낭비시키는 작용을 한다.
4.4. 데스티니 시리즈
1인칭 슈팅 게임이자 롤 플레잉 게임인 데스티니 시리즈에서도 궁극기가 존재한다. 영문 명칭은 슈퍼 어빌리티(Super Ability)이지만 데스티니 가디언즈에서 정식 한글 명칭은 궁극기로 나온다.
다른 게임의 궁극기와 다르게 이쪽은 잡몹이나 플레이어를 상대로는 스치기만해도 즉사시킬 정도로 매우 강력한 위력을 보여주며, 그 특성에 따라 보통 궁극기는 보스딜이나 잡몹 학살용으로 사용된다.
주로 특수한 무기를 꺼내서 사용하는 변신형 궁극기들이 많으며 그 외에 즉발형으로 적을 공격하는 궁극기나 아군에게 이로운 효과를 주는 장판을 설치하는 궁극기들이 있다.
게임 내에서 등장하는 빛의 보주라는 오브젝트를 획득하면 더 빠르게 궁극기가 차오른다. 강력한 성능으로 인해서 레이드를 할 때에는 매우 중요한 요소중 하나.
4.5. 대전액션게임
초필살기 문서 참조.
5. 기타
궁극기가 빗나가거나 의미 없는 상황에서 궁극기를 쓰는 것을 뻘궁[19] 이라고 하는데, 기껏 쓴 궁극기가 뻘궁이 되어 버리면 멘탈이 와장창 깨져나가니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1] 마찬가지로 영어에서도 궁극기를 뜻하는 ultimate을 줄여 ult라고 부르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2] 이 캐릭터는 AOS소속은 아니지만 궁극기가 패시브다.[3] 일대다수에 유리한데 1대1을 강요하거나 적을 몰아서 지워야하는 컨셉인데 공포 같은 것으로 진형을 크게 붕괴시키는 등[4] 다른 FPS에서 궁극기와 유사한 요소를 찾자면 팀 포트리스 2에서 솔저의 깃발, 파이로의 플로지스톤 활성화 장치와 가스 패서, 메딕의 우버차지가 있다. 다만 오버워치의 궁극기와 비교하면 (가스 패서를 제외하면) 죽을 경우 완전히 초기화되며, 자동으로 충전되지 않고 오직 피해량과 치료량만으로 충전이 된다는 차이가 있다.[5] 굳이 기존 FPS의 시스템에 비교하자면 수류탄 등 특수 장비를 장탄수를 무한으로 만들어 놓은 것에 가깝다(실제로 일부 영웅이 수류탄 종류를 스킬로 쓴다).[6] 어디까지나 FPS 게임으로서 특징적이라는 뜻. AOS에서는 널리고 널린 요소이다.[7] 버그나 워크샵 등으로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는 이상 궁극기 사용 중에도 궁 게이지가 차지 않는다. 궁극기 사용 중 인위적으로 100%로 채워도 재사용이 불가능한 궁극기들이 있고, 디바의 자폭의 경우에는 예외.[8] 물론 시전 후에는 일반공격과 음성이 다소 다르지만, 겐지나 한조 등과 같이 궁극기 시전시 쩌렁쩌렁한 음성이 들리는 것과 비교하면 궁극기를 시전하기 시작하는 그 순간에는 거의 티가 나지 않는다.[9] 오리사, 시메트라, 애쉬[10] 착각하기 쉽지만, 솔저의 전술조준경은 집탄율과 명중률을 대폭으로 강화시키는 엄연한 자기 버프기이다. 그러나 헤드샷이 불가능하고 매우 눈에 띄기 때문에 오히려 너프기가 되는 상황도 발생한다.[11] 과거에는 다인 부활이었다. 현재는 비행능력 획득+초당 20씩 자가치료+힐과 공격력 버프의 연쇄.[12] 막강한 데미지를 지녔지만 궁극기 시전시 딜레이가 길거나, 시전 속도가 느려 대규모 화력 투사보다는 적의 진영을 망가뜨리고 적을 후퇴시키기 위한 기술. 다만 광역 스턴형의 궁극기와 연계 시 대규모의 순간 화력 투사가 가능하며, 적이 예측하기 힘든 방향으로 시전하여 순간 화력 투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13] 장시간 투시 지원[14] 맵을 수직으로 가르는 방벽 형성[15] AI 아군 소환[16] 적 영웅으로 변신[17] 실제로 아나 유저인 류제홍, 세바스티안 비드룬드 등이 용검 든 겐지를 수면총으로 족족 뻘궁으로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18] 하지만 데미지가 들어가는 것이 감소되므로 같은 양의 체력을 깎았을때 궁 게이지 차는 양은 똑같다. 시간이 더 오래걸릴 뿐.[19] 허튼 짓이라는 의미의 서남 방언인 뻘짓에서 유래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