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붙이
1. 개요
칼, 도끼, 낫 같이 날을 세워놓은 무기나 도구를 포함하는 총칭.
공통적 특징으로는 날을 세워서 날카롭게 만들어 무언가를 절단하는 작업에 쓰는 것이 주 용도라는 것. 그것이 곡물인가 고기인가 사람인가는 도구에 따라 달라진다.
2. 장점
비무장 내지 경무장을 한 상대에게는 그 어떤 둔기보다 확실하고 강력한 살상력을 보장한다. 이는 날붙이 자체의 특성으로 단면적이 좁을수록 압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상대에게 지명상을 입히기 쉽다.
날을 세워야 하는 특성상 둔기에 비하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해서 비교적 늦게 나오고 사용 역사도 짧지만 살상력이 높아 전쟁에 애용되던 무기군이다. 특히 단순히 후려쳐서 충격을 주는게 전부인 대다수 둔기와는 다르게 찌르거나 베거나 썰거나 찍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둔기에 비하면 훨씬 높은 숙련이 필요한데, 숙련도가 낮으면 '''사용자 본인이 다칠 확률이 높으며''', 길이가 한정된 도검류 특징 상 절삭 각도를 잘못잡으면 리치가 훨씬 긴 둔기만 못하기 때문이다. 다만, 도검류 무기를 주로 쓰던 계층이 기사나 군인 등 병기의 사용에 숙련된 계층이고, 숙련도가 낮은 징집병이나 민병대는 주로 목재 둔기로 무장했음을 생각하면 숙련자 입장에서는 별 의미가 없다.
3. 단점
상대가 맨몸이면 쉽게 제압이 가능하지만 역으로 갑옷을 입으면 얘기가 달라진다.갑옷 때문에 날이 안들어가고 맞는 상대는 그저 고작해야 갑주가 긁히거나 약간 찌그러지는 수준에 그친다.대갑주전투에는 비효율적이라서 철퇴나 망치 같은 물건이 날붙이에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은 것도 갑옷 때문이다. 애초에 이런 날이 달린 무기에 방어하고자 갑옷이 발전해왔기 때문에 날과 갑옷은 항상 함께해왔다.
4. 현대
19세기 후반 이후부터 병기로서의 날붙이는 멸종. 탄피식 총기가 발명된 이후 빠른 속도로 기존의 전장식 화기를 대체해나갔고, 거기에 더해 여러가지 문제가 많았던 전장식 화기의 단점을 보완해줄 백병전용 무기들도 시대의 흐름에 맞춰 더이상 현역에서 쓰이지 않게 되었다. 화기들도 자동화가 이루어졌고, 자동화기를 상대로 백병전을 시도하려는 건 자살행위인지라, 20세기 이후 군에서 쓰이는 날붙이는 기껏해야 총검 정도가 고작이며 이것마저도 근접 박투전 보조 내지 총기 액세서리의 용도에 불과하다.
반면, 일상에서 작업용 도구들 중에도 날붙이가 많으며, 대표적으로 낫, 도끼, 톱 등이 있다. 날붙이 무기들로 백병전을 하던 전근대 시대에는 평민들의 대부분이 농민이었으므로 징집병에게 들려주는 무기들 중에는 이런 농기구나 각종 도구들과 형태가 비슷한 무기들도 많았다. 쿠크리나 마체테등 매체에서 전투용 무기로 묘사되는 도검들도 현지에서는 조선낫이랑 비슷한 포지션의 공구이다.
5. 기타
칼잡이와 총잡이 중 누가 더 강한가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양쪽 모두 정신적 동요가 없다는 전제 하에, 1:1 상황에서 거리가 벌어지는 순간 칼잡이는 아예 총잡이에게 상대 자체가 안된다.''' 총잡이가 조준한 시점에서 이미 방아쇠 한 번 당기면 칼잡이를 황천길로 보내버릴 수 있다. 칼은 지근거리, 그것도 칼이 닿을 거리가 아니면 절대 총을 이길 수 없으며, 총잡이가 총을 아직 꺼내들지 않았거나 정신적인 이유로 총을 들고도 못 쏘는 상황일 때에나마 약간의 승산이 있을 뿐이다.
픽션에서 하도 도검제일주의가 만연해서, 도검을 비롯한 날붙이를 지나치게 띄워주는 경향 때문에 대우가 좋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픽션이니까 가능한 묘사.총든 상대 여럿을 상대로 무쌍을 찍거나 뭐든 두부자르듯 베어버리는 건 도검의 우월성 이라기보단 그 칼을 쓰는 주인공이 너무 강해서에 가깝다.
6. 관련문서
[1] 엄밀히 말하면 둔기와 날붙이 역할을 둘다 수행할수 있는 몇 안되는 도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