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면

 

1. 개요
2. 대한민국의 내수면
3. 국가별 내수면
4. 관련 문서


1. 개요


內水面 / Inland Waters
하천, , 호수, , 저수지와 그 밖의 인공적으로 조성된 담수(淡水)나 기수(바닷물과 민물이 섞인 물)의 물흐름 또는 수면을 이야기한다. 국토 면적에서 내수면을 뺀 면적이 우리가 발을 딛고 서있을 수 있는 실질적인 영토다. 당연히 호수가 많거나, 큰 강이 있는 국가일수록 내수면 비율은 높다. 간척으로 만들어진 네덜란드나 호수의 국가로 불리는 핀란드, 오대호가 있는 미국캐나다 등이 대표적인 예. 반대로 사막이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우디아라비아나 조그마한 섬나라들은 내수면 비율이 높지 않다.
내수면을 조사한 자료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그나마 가장 공신력있는 최신 자료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 2016년에 조사한 자료다. 해당 사이트에서 국가들을 클릭하면 해당 국가의 Country Area(국토 면적)랑 Land Area(육지 면적)를 알 수 있는데, 저 둘을 뺀 값이 바로 내수면이다. 다만 해당 자료는 FAO에 가입된 국가의 내수면만 알 수 있다. 만약 FAO에 가입되지 않은 국가의 내수면을 알고 싶다면 국가통계포털(KOSIS)의 자료를 보자. 여기는 1990년 자료부터 2016년 자료까지 열람이 가능하긴 하나, 대한민국을 제외하고는 자료가 정확하지 않다.[1] 그나마 정확한 편인 대한민국 자료도 1990년 ~ 2000년의 육지 면적이 전부 9,646ha로 기재되어 있는 오류가 있다.

2. 대한민국의 내수면


상기된 사이트의 자료들에 의하면 대한민국의 내수면은 약 '''2,850km2'''[2]이다. 2008년 이후 자료부터는 2,830km2부터 2,880km2까지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이는 간척 사업으로 인한 매립지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로 추정되고, 평균적으로는 국토 면적 100,378km2의 약 2.84%가 내수면인 것으로 확인된다.

3. 국가별 내수면


호수가 많기로 유명한 핀란드같은 경우는 국토 면적 338,450km2 중에서 10%가 넘는 34,540km2[3]이 내수면이다.
영토가 넓기로 소문난 미국 역시 오대호 덕분에 국토 면적 9,831,510km2 중에서 7%에 달하는 684,090km2 가 내수면이다. 이로 인해 조사 기준에 따라 중국과 면적 순위가 뒤바뀌기도 한다. 중국이 국토 면적 9,562,910km2 중 고작(?)[4] 1.8%인 174,700km2가 내수면이라, 내수면을 제외한 면적을 국토 면적으로 따진다면 중국이 더 넓기 때문이다. 심지어 내수면을 제외한 면적을 국토 면적으로 따진다면 중국이 캐나다보다도 더 넓어지게 된다.
캐나다도 오대호 덕분에 국토 면적 9,984,670km2 중에서 8.9%인 891,160km2가, 인도도 국토 면적 3,287,260km2 중에서 9.5%인 314,070km2가 내수면으로, 둘 다 내수면 비율이 굉장히 높은 편인 나라다.
옆나라 일본은 국토 면적 377,970km2 중에서 3.5%인 13,410km2[5]가, 대만은 국토 면적 36,190km2 중에서 2.1%인 780km2[6]가 내수면으로, 둘 다 대한민국과 내수면 비율이 비슷한 나라다.
사우디아라비아예멘같은 국가는 사막으로 인해 내수면 비율이 0%에 가깝지만 예외로 아랍에미리트는 국토 면적 83,600km2 중에서 무려 '''13.4%'''인(!) 12,580km2가 내수면이다.

4. 관련 문서



[1] 2002년에 독립한 동티모르의 '''1990년''' 자료가 있다던가, 벨기에룩셈부르크를 묶어놓고선 정작 자료가 없다던가...[2] 서울특별시의 5배보다 살짝 작은 면적[3] 영남지방과 비슷한 면적[4] 비율만 본다면 높은 편은 아니다. 대한민국의 내수면 비율도 2.8%를 넘기 때문에... 물론 면적만 보자면 중국의 1.8%가 남한의 1.7배에 달하는 면적이긴 하다. 한편 청나라의 전성기던 건륭제 시기엔 2.8%에 달했다.[5] 전라남도보다 살짝 큰 면적[6] 부산광역시와 비슷한 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