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철도 중앙대로선

 





{{{#!wiki style="margin: -10px -10px"
{{{#000000 '''대구 도시철도 중앙대로선'''
大邱 都市鐵道 中央大路線
Daegu Metro Jungang-daero Line
}}}
}}}
[image]

대구도시철도공사 ?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
'''유형'''
노면전차
'''기점'''
시청별관
'''종점'''
앞산공원
'''역 수'''
미정
'''구성노선'''
대구 도시철도 중앙대로선
'''개업일'''
미정
'''소유자'''

'''운영자'''

'''사용차량'''
대구도시철도공사 ?000호대 전동차(미정)
'''차량기지'''
미정
'''노선 제원'''
'''노선연장'''
8km
'''궤간'''
-
'''선로구성'''
-
'''사용전류'''
-
'''신호방식'''
-
'''최고속도'''
㎞/h
'''표정속도'''
㎞/h
'''지상 구간'''
전 구간
'''통행 방향'''
-
'''개통 연혁'''
-
1. 개요
2. 상세
3. 역 목록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의 트램 시범구간 검토 노선.

2. 상세


2019년 2030 대구 교통계획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트램계획 3개 중 하나로 계획되었다. 트램 T2노선으로 중앙대로를 따라가는 노선이며 시청별관을 거쳐 앞산공원까지 가는 노선이다. 대구역~현충로역까지 1호선과 겹치는 부분이 많은 노선이다. 1호선과 겹치는 구간이 많은만큼 1호선과 수요를 갈라먹을 것이라 예상된다.
대구역 ~ 반월당 부근은 대중교통전용지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중앙대로선이 개통되면 전국 최초로 노면전차와 버스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대중교통전용지구가 된다. 버스와 노면전차 승하차구역을 엄격히 분리하고 버스가 정차할 동안 노면전차가 버스를 추월할 수 있도록 정거장 내 대피공간만 잘 설치된다면 왕복 2차로 도로에 노면전차와 버스가 함께 다니는 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노면전차는 전용궤도 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함께 차로를 공용하는 혼용차로도 규정되어 있다. 일반 자가용과 차로를 공용으로 쓰면 정시성에 문제가 되겠지만 똑같은 대중교통인 버스는 서로 간섭이 적다. 물론 이 경우 중앙대로 대중교통전용지구의 택시 진입 허용 시각을 현행 21:00~10:00에서 서울처럼 24:00~04:00로 조정할 필요는 있다.

3. 역 목록


1호선 중복 구간을 제외한 역명은 모두 가칭이다.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0.0
시청별관
市廳別館



북구


침 산
砧 山





대구역
大邱驛


[image] 1호선



중앙로
中央路


[image] 1호선
중구


반월당
半月堂


[image] 1호선
[image] 2호선


명 덕
明 德


[image] 1호선
[image] 3호선


교 대
敎 大


[image] 1호선
남구


영대병원
嶺大病院


[image] 1호선


현충로
显忠路


[image] 1호선



남 명
南 明





대 덕
大 德





앞산공원
앞山公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