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어컷
[image]
사진은 JR 히가시니혼 요코스카선 타우라역
1. 개요
위 예시들의 전동차는 JR 도카이의 313계 2량 편성이다.
특별한 사정이나 상황으로 인해, 역에 정차할 때 열차 출입문의 일부만을 여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것을 일본에서는 도어컷 (ドアカット)이라고 부른다. 영어에서는 SDO(selective door operation 또는 selective door opening)로 표현한다.
도어컷을 하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다.
- 승강장의 길이가 열차에 비해 짧을 때.
- 승강장의 길이는 충분하나, 커브 등으로 인해 문을 열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때.
- 동·하절기에 냉·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문을 일부만 여는 때.[1] [2]
- 승객 수가 적은 역이나 무인역에서 부정승차, 에너지 낭비 등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석에 가까운 문 1개만을 여는 때.
2. 예시
국내에서는 승강장 길이가 짧아 도어컷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
2.1. 대한민국
- : 출입문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해서 문을 연다고 한다. 지금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개통으로 인해 볼 수 없게 되었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인천공항1터미널역: 승강장 문제로 일반열차와 직통열차에서 도어컷이 일어난다. 자세한 사항은 인천공항1터미널역 참조.
- 영동선의 비동역
-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안평기지간이역: 문 자체는 모두 열리지만, 내릴 수 있는 승강장(6호차) 외에는 역사 내 구조물로 막혀 있어 사실상 도어컷과 같다.
- 논산 훈련소에서 출발한 무궁화호가 춘천역에서 훈련병들을 하차시킬 때 해당 열차의 길이로 인해 도어컷이 일어난다.
- 그 외 수도권 전철의 각종 역: 냉/난방 효율 등을 위해 시종착역에서 열차 출발시간이 많이 남았거나, 대피를 위해 대기 중일 때 등, 이럴 때는 각 객차당 출입문을 하나씩만 열어놓는다.
2.2. 일본
일본은 한국보다 철도인프라의 역사가 오래된 편이라 도어컷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 위 문서 최상단의 사진에 나온 역이다.
- 이 역은 다른 역과 달리 승강장의 길이는 충분하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도어컷을 시행한다. 아사쿠사역 자체가 종각드리프트 혹은 런던 지하철과 맞먹는 커브 위에 지어져 있어 승객을 내리고 태우기 매우 위험한 관계로 끝 부분 2량 길이를 폐쇄했다. 근데 2011년 이전엔 영국처럼 이런 승강장에서 승객을 내리고 태우는 기행을 벌였다(...).
[image]
[image]
- 도큐 전철 오이마치선의 쿠혼부츠역
- 에노시마 전철 코시고에역
- : 도어컷이 필요한 곳에서 도어컷을 하지 않는 사례. 본선 개찰구와 공항선 개찰구가 신칸센과 같은 형태로 명확히 분리되어 있으나, 승강장은 분리되어 있지 않다.
2.3. 영국
2.4. 미국
2.5. 호주
- 시티레일 블루마운틴 선의 Zig zag 라는 무인역이 있는데,역무원도 없고 플랫폼 또한 열차 한 량도 못 들어가는 길이라서 열차가 제동 걸고 한참 후에 맨 끝문으로 타게 된다.[3] 지붕과 게이트 또한 없어서[4] 무임승차는 양심에 맡긴다.열차가 올 때는 맑은 날은 녹색 원판을,흐린 날이나 밤에는 램프로 세워달라고 해야 하는데,흐리거나 밤일 경우에는 램프를 켜지 않으면 열차가 그냥 통과해 버린다.
- 시티레일 뉴캐슬 앤 센트럴 코스트 선 Wondabyne역도 위의 Zig zag역과 같이 1량만 들어가는 승강장이나, 타는 사람이 없어도 무조건 정차한다.
3. 관련 문서
[1] 이런 경우의 도어컷은 출입문 안팎에 있는 버튼을 눌러 출입문을 반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2] 대표적으로 인천역.[3] https://youtu.be/XmBSfQEkVlE 참고[4] 번화가 인데도 돈 아낀다는 이유(...)로 그냥 쇠로된 봉에다 단말기만 끼워놓는 형태가 널려있고, 시드니 트램도 이 형태의 개찰기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