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레드노트(헤일로 시리즈)

 

1. 선조의 키쉽 중 하나
2. 선조의 주력함


1. 선조의 키쉽 중 하나


[image]
온건한 영혼(Anodyne Spirit)
제조
잉겐스 어셈블러 배츠(Ingens Assembler Vats)
질량
19,000,000,000 t
전고
13.120 km
전폭
12.441 km
기동 엔진
토션 플레이트(Torsion plates)[1]
초광속 엔진
크리스탈-매개 슬립스페이스 코어 (동급의 인간 슬립스페이스 엔진은 없음)
승조원
1 프린셉스(Princeps)
3 네브아크(Nevarch)
1 고위 군의관(Archmedicus)
560 부관(Adjutants)
병력
100 스쿠타리(Scutarii)
무장
1x 광 질량체 연사포 배열
3x 대함 포격 시스템
방어막
최상급 분산장 발생기
함재장비
1,224x 스트라토(리트리버) 센티넬
48x 스트릭스 급 해리어 함선
890,000x 센티넬 및 웨폰쉽
헤일로 시리즈선조의 전함. 정확히는 이 함선의 고유 이름이 드레드노트고 함선의 종류는 키쉽에 속한다. 이름의 유래는 영국 해군의 전함 드레드노트.
'헤일로 워 플릿'에서 밝혀진 본래 명칭은 '온건한 영혼(Anodyne Spirit)'이다.
사제엘리트와 처음 싸웠을 때 이 함선을 무기로 썼다고 한다. 높이가 '''약 14km'''이며 로켓처럼 수직으로 발사된다.
헤일로 2에서 등장하는 코버넌트의 성지 하이 채리티의 '''모든 에너지'''를 공급하는 동력원. 그것도 함선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하여 출력을 완전히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천년동안 에너지 부족 문제가 없었다.
헤일로 2의 엔딩에서 진실의 사제가 타고 지구로 온다. UNSC 호위함이 발사하는 MAC에 흠집조차 나지 않는 내구성을 자랑하며 방어막이 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맞았는데도 손상이 없었다. 다만 오랜 과거 사제와 엘리트가 코버넌트를 결성할 당시 휴전협정으로 드레드노트에 탑재된 무기를 모조리 해체하고 하이 채리티의 동력원으로 썼던 것이므로 공격수단은 전무하다.[2] 그렇지만 맥건에 흠집조차 나지 않는 내구성을 볼 때 '''그냥 박아도''' 충분하며, 실제로 Halo: Mythos에서 나온 일러스트에선 대기권 안으로 그대로 드레드노트를 돌입시켜 지각을 갈러버릴 작정이었는지 저고도에서 비행하기도 했다. 애초에 이 드레드노트가 산 시움 모성에 불시착한 충격으로 '대 아포스티해'라는 바다가 새로 생겼음에도 멀쩡한 것을 보면 맥건은커녕 슈퍼 맥건을 쏴도 그냥 씹을 것이다. 이런 무식한 내구성은 설계부터 일반적인 건축사들이 건조한 함선과는 다르게 유연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내구성에만 올인한 덕에 그렇다고 한다.
이 드레드노트는 아크로 향하는 포탈을 열 수 있는 일종의 열쇠 역할을 하는데, 때문에 진실의 사제가 이걸 끌고 와 아크로 향하는 포탈을 열고, 그곳에 들어가는 진실의 사제를 뒤따라 함대들이 쫓아가면서 배경이 아크로 바뀐다.
맥건에 흠집도 나지 않고 압도적인 출력을 자랑해서 선조들의 전투용 함선이라 예측한 의견이 많았고, 사실상 그쪽으로 의견이 굳어졌는데. 헤일로 크립텀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샘플 채집 및 수송용 함선'''이라고 한다. 그니까 '''전투용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일로 워플릿에 나온 설명으로는 헤일로 4 시점에서 다이댁트전진하는 수호자의 의무를 작동시키기 전까지는 우리 은하의 오리온 팔에서 가장 강력한 함선이었다고 한다. 오히려 이렇게 극심한 떡장갑으로 무장한 이유는 더 명확해진 셈인데, 선조 말기에 샘플 채집과 수송이란건 말 그대로 해당 종족을 보존하기 위한 용도였으니 기동성을 포기해서라도 방어막이 파괴된 이후에도 버틸만한 떡장갑을 두르는게 당연했을 것이다.

2. 선조의 주력함


[image]
소저너급 드레드노트(Sojourner-class dreadnought)
제조
써머스 어셈블러 배츠(Summus Assembler Vats)
질량
10,000,000,000 t
전장
9,430 m
승조원
1 프린셉스(Princeps)
15 네브아크(Nevarch)
병력
200 스쿠타리(Scutarii)
5,000 베나토어(Venatores)
무장
1x 토션 드라이버(Torsion driver)
28x 응집 빔포(Converging beam cannons)
300x 광 질량체 연사포(Light mass fusillade cannons)
센서
아우스펙스(Auspex) 센서 배열
함재기
5,000x 워 스핑크스(War sphinx)
절망급 헌터킬러 수백만기(Despair-class hunter killer)
이 함선은 함급의 이름이 드레드노트고 위의 함선은 함선 고유 이름이 드레드노트다. 즉 선조 삼부작과 터미널에 등장하는 드레드노트는 이 함선들을 칭한다.
마치 칼처럼 생긴 선조의 주력함으로 프라임 드라군에 속한다. 플러드가 퍼져 격리 조치를 취하기 직전의 시기에 도입되었으며, 직후 일어난 플러드와의 전쟁에서 모든 주요 교전들에서 싸웠다. 선조 해군 기술의 정점으로, 믿을 수 없을 만큼 빠르고, 중무장되어 있었으며, 고효율적이었다.
소저너급 고유의 전투 대형인 드라군 대형(Dragoon formations)은 두 척의 드라군들과 하나의 전투 정거장이 삼지창처럼 결합한 대형으로, 이렇게 형성된 각각의 편대는 분란을 일으는 조그마한 제국들이나, 갈라져서 다투고 불협화음을 일으키는 여러 선조 세력들에 대한 치안 유지 목적으로 은하계 어디든 배치될 수 있었다.
[image]
[3]
플러드와의 전쟁 때는 열 척의 드라군과 전투 정거장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섬멸 격자 대형이 고안되었고, 이 대형은 다수의 드레드노트가 전투 정거장에 에너지를 모아서 함대도 휩쓸어버릴 정도의 강력한 공격도 가능했다.
주 무기인 토션 드라이버는 거대한 중력 방출기로, 대상을 섬세하게 잡거나 우악스럽게 잘라낼 수 있었는데, 적함의 일부를 밀거나 잡아당겨 방어막과 함 자체의 구조적 방어력을 뛰어넘는 부조화를 일으키고 찢어버려서 취약 부분을 드러내어 소저너급의 나머지 무장의 집중 사격에 노출시켰다.
응집 빔포는 일종의 유도성 에너지 넝쿨을 발사하여 적함을 찾아내 닿는 모든 것을 삼켜버리는 반물질 흐름을 유도하는 무장이었으며 이 무장을 운용하는 전사 종복들은 비할바 없는 예술적인 운용능력으로 플러드 방어선의 가장 작은 약점마저 찾아내 죽음의 직물을 짰다고 한다.
또 함재기 지휘를 담당하는 전사 종복들인 5,000 명의 베나토어들은 전원 워 스핑크스에 탑승한 채로 함선의 수백만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물량의 무인 함재기인 절망급 헌터킬러들로 장거리 타격 작전을 수행하였다.
함선의 센서 시스템인 아우스펙스 센서 배열은 접근하는 함선을 찾기 위해 슬립스페이스 내부를 탐지하거나 즉각적으로 지역 항성계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실제 우주의 광대한 거리를 탐색할 수 있는 장거리 스캐닝 시스템이었으며, 행성이나 함선 내부 대기의 미묘한 변화를 감지해, 플러드 오염 징후를 포착할 수 있었다.
선조-플러드 전쟁 동안 수백만의 소저너급 드레드노트들이 건조됐지만 헤일로 발사 시점에는 이 중 일부만이 살아남았다. 이후에도 소저너급들은 여전히 은하 여기저기 있는 숨겨진 조선소들에서 자동으로 건조되어 배치될 준비를 하고 있지만, 전사들이 없이 조용히 방치되어 있다.
헤일로 워즈에도 등장하며 가장 먼저 등장한건 워즈에서다. 물론 선조 삼부작이 나오기 전까지는 이름도 몰랐지만. 게임 중반부에 UNSC 스피릿 오브 파이어쉴드 월드 0459에 진입한 후에 정박된 상태로 함대 규모로 발견하게 된다. 코버넌트는 아비터리파 모라미가 납치한 앤더스 박사를 이용하여 드레드노트 함대를 대기 상태로 만들지만 결국 스피릿 오브 파이어가 슬립스페이스 드라이브를 희생해 쉴드 월드 내부의 인공태양을 초신성 상태로 만들었을 때 시설과 함께 파괴된다.

[1] 선조의 아광속 엔진으로, 진공 에너지를 변환하여 추력을 얻으며 함선이 보유한 이종물질을 반응 물질로서 추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함선의 가속력이 증가한다고 한다.[2] 산 시움-상헬리 전쟁 때 물량, 신체능력, 전술 등은 상헬리가 압도했지만 산 시움이 드레드노트를 앞세워 상헬리들의 장점을 다 무시하고 무찔렀다.[3] 사진에서는 10척이 아니지만 대형의 설명을 보면 아마 저런 형태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