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 꼴찌

 

1. 개요
2. 예시


1. 개요


꼴찌를 매년 하는 팀을 말한다. 반대말은 만년 1등.
만년 꼴찌를 하는 팀에는 이라는 접두어가 비칭으로 붙기도 한다. 예) 꼴쥐(꼴지)[1], 꼴데[2], 꼴칰[3], 꼴콱[4]

2. 예시


  • 삼미 슈퍼스타즈 / 청보 핀토스 / 태평양 돌핀스 : 1983년, 1986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4년, 1995년을 빼고는 팀 성적이 모두 꼴찌였다. 그마저도 1986년, 1995년은 뒤에서 2등이었고 1990년부터 1992년까지도 가을야구는 꿈도 꿔보지 못 하던 약체의 대명사였다. 1982년 삼미 창단 후 1996년 현대로 구단이 바뀌기 전까지 삼청태 15년의 구단 역사에서 가을야구를 경험한 적은 1989년과 1994년 딱 2번 뿐이다. 만년 꼴찌 타이틀은 현대 유니콘스로 팀명을 바꾼 이후에 스스로 벗게 된다.
  • 창단 초창기의 쌍방울 레이더스 : 전라북도 연고의 제8구단으로 1990년에 창단한 쌍방울은 1군리그 참가 첫 해인 1991년 시즌 중위권인 공동 6위에 오르고[5] 역대 신생팀 최고 성적을 기록하는 파란을 일으켰지만 이듬해인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최하위권을 면치 못했다. 1993년은 선수단 리빌딩에 나섰던 태평양 돌핀스가 꼴찌를 한 덕에 최하위를 면했지만 이 당시 순위 변화는 8위-7위-8위-8위. 만약 태평양이 없었다면 사상 최초 4년 연속 꼴찌는 롯데가 아닌 쌍방울의 차지였을지도 모른다. 쌍방울은 1995년 시즌 후 김성근 감독을 영입하면서 만년 꼴찌 타이틀을 벗고 리그의 다크호스로 급성장하지만 IMF 사태의 영향으로 1997년 중반부터 운영난을 겪었고 결국 1999년 시즌 후 해체된다.
  • 2001년 - 2004년롯데 자이언츠 : 8888577 중에서 KBO 리그 사상 최초 4연꼴(...) 8888이 이 기간에 속한다.
  • 2009, 2010, 2012-2014년한화 이글스 : KBO 리그 사상 최초 시즌 최종순위 9위의 주인공(...)
  • 2015년 1군리그 진입 이후 2018년까지의 kt wiz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KBO 리그 사상 최초로 3년 연속 10위라는 불명예를 썼고 2018년에도 9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백지 상태에서 전력을 쌓아가던 신생팀이었기에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 그나마 대형 신인 강백호와 외국인 타자 멜 로하스 주니어 등이 입단한 후 팀이 제모습을 갖춰갔고 2019년 6위를 거쳐 2020년 창단 첫 가을야구 진출에 성공했다.
  • V-리그 초기의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상무 배구단 : 한국전력은 준 프로화가 되기 이전까지 용병 영입이 없었고, 소극적인 구단 운영을 해 왔던 탓에 같은 아마추어 초청팀 신분이었던 상무와 함께 최하위를 거의 도맡았다.

[1] 2013년에 탈출했다.[2] 2008년에 탈출했다.[3] 2018년에 탈출했다.[4] 2020년에 탈출했다.[5] 순위는 6위였지만 그 해 최하위였던 OB 베어스와의 승차가 고작 1.5경기에 불과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