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뇌성 전투
[clearfix]
1. 개요
899년에 벌어진 후삼국시대의 전투. 이 전투로 궁예가 한반도 중부 지역의 패자가 되고 양길의 세력은 몰락했다. 후고구려 건국의 기반이 되는 전투.
2. 발단
북원에서 거병한 양길은 후삼국 시대 초기에 일어난 호족 중 상당한 세력을 쌓았다. 그 과정에서 기훤에게서 벗어난 궁예를 받아들이는데 '''이것이 모든 재앙의 시작이었다.'''
궁예는 동진하여 명주를 접수하고 서진하여 철원과 패서 지역까지 땅을 넓히고 왕을 칭하기에 이르렀다.[2]
실제로 홀대했는지는 몰라도[3] 궁예의 원래 병력이 600명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애매하다. 나중에는 5,000명을 넘어서 만 단위까지 등장하지만 각종 호족들이 활개치던 초기에 이게 많은 병력인지 적은지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 [4]
아무튼 궁예가 커지자 양길은 주변 호족들을 규합하여 비뇌성에서 궁예와 전면전을 벌이는데….
3. 전면전, 그리고 궁예의 승리
당시 궁예의 영토는 명주 북부 + 삭주[5] 북부 + 한주[6] 북부였고, 양길의 영토는 삭주 남부 + 한주 남부였다. 궁예가 명주 북부를 장악한 후 약 4,000명의 병사를 모았다는 대목이 나오고, 이후 서진해서 영토는 3배 이상이 되었으므로 1만명 이상은 동원할 수 있었을 것이다. 양길 역시 본인의 전 병력을 동원했기에 병력 면에서 궁예보다 압도적인 우위를 가져간 것으로 보인다.
비뇌성 전투는 궁예의 대승으로 끝났다. 이후 청길, 신훤 등이 궁예에게 항복하면서 궁예는 남한강 유역(한주 남부와 삭주 남부)를 장악했으며, 904년에 웅주까지 석권하며 세력을 한반도의 절반까지 키웠다. 한반도 중부 지방의 패권이 완전히 갈리면서 관도대전에 비유하기도 한다. 이후 궁예가 양길 등의 세력을 완전히 흡수하며 후백제와의 전투에서도 승승장구하는 것도 비슷하다.
4. 후폭풍
이후 초적에서 출발한 호족들은 사실상 자취를 감추고, 남은 호족들도 후백제의 견훤 이외에는 자기 영토 보존이나 잘해야 옆 호족을 공격하는 정도만이 남았다.[7] 한반도의 패권을 위해 싸우는 호족은 이제 왕을 칭한 궁예와 견훤만 남았다. 이로써 후삼국이 완전히 정립되는 전투다.
이렇게 양길의 밑에 있다가 양길을 밀어낸 궁예는 약 20년 뒤, 자신의 수하였던 왕건의 쿠데타로 양길이 그러했듯이 권력에서 쫓겨나 죽음을 맞는다.
5. 그 외
6. 대중매체의 등장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양길은 스스로 죽주를 바치며 투항해온 궁예를 높이 사서 애지중지하던 막내딸을 주어 사위로 삼고 잘 대우했다. 그러다 이미 궁예의 사람이 된 은부의 계략에 넘어가 환선길, 이흔암, 복지겸 같은 핵심 장수들을 전부 내주어 명주를 치게 했는데 궁예는 명주의 김순식에게 항복을 받아낸 다음 함께 간 장수들을 모두 포섭해 독립해버렸다.
양길과 양길을 배신하고 나온 궁예가 두 차례에 걸쳐 전투를 벌이며, 양길이 언월도를 잘 쓰는 맹장으로 등장해 제법 화려한 전투씬을 연출했다. 궁예가 그 용맹에 감탄해, 잠시나마 살려줄까 생각했을 정도이며 궁예 휘하의 신훤, 원회[8] 와 마상 일기토를 벌여 단칼에 베어버리기도 한다. 그러나 왕건의 전술에 휘말려 두 사위와 아우를 잃은 채 사로잡히고, 궁예에게 저주를 퍼부으며 참수당한다.[9] 극중 왕건이 군사적 역량을 드러낸 첫 무대이기도 하다. 그 전부터 종간에 의해 신변의 위협을 받고 있던 양길의 딸은 결국 정신병에 걸린 상태에서 처소에 스스로 불을 질러 죽고, 이 사건은 궁예의 트라우마 중 하나가 된다.
만화 태조 왕건의 경우 궁예와 일기토를 벌여서 진 후 깨끗하게 자살한다.
7. 관련 문서
[1] 가평군 땅이 워낙 넓어서 구체적으로 비뇌성이 어디인지는 불명확하다. 죽주산성으로 추정된다.[2] 이것은 신라에게 반기를 들고 독립 세력을 형성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진정한 의미에서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왕 칭호를 사용한 것은 901년이다. 견훤도 처음 왕을 칭하고나서 몇년 후에야 비로소 후백제를 건국했는데 견훤은 궁예보다 훨씬 빠른 892년에 이미 왕을 칭했으며 900년에 후백제를 세웠다.[3] 딸을 준 것은 드라마에서의 창작.[4] 일단 드라마 기준으로는 작은 편은 절대 아니다. 당장에 죽주의 기훤이 500명이고 서남해 지방을 석권했던 수달(능창)이 견훤과 결전을 치뤘을 때 군대가 고작 500명 이상이었고 견훤쪽은 그보다 적은 300명 내외였다. 이때 견훤의 포스와 수달의 잇단 패전으로 수달에게 오지 않은 호족들의 병사들도 많았다고 쳐도 작중 원래 계산으로도 1000명 정도는 모였을 것이라고 했고 처음 견훤에게 패배했을 때 입었던 피해를 감안해도 1100명 이하인 것을 생각하면 600명은 당당하게 한 세력을 담당할 정도는 충분히 된다. 단, 한두 번의 전투도 아니고 명주 지역 전부를 정복하라고 준 병력치고는 너무나도 적었다.[5] 강원도 영서 지방[6] 경기도 + 황해도[7] 일반적으로 후삼국 시대 지도에서는 후고구려 후백제 신라 3대 세력만 딱 그려놓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일개 지역 정도를 차지한 중소 세력은 여럿 더 있었다. 그 중 일부는 아자개나 김순식처럼 3국에 예속된 반 독립 세력인 경우도 있고, 후가야 세력이나 왕봉규처럼 따로 노는 경우도 있었다.[8] 이 드라마에서는 신훤과 원회는 기훤의 야만성과 무모함에 질려 기훤을 죽이고 궁예 밑으로 온 것으로 나온다.[9] 여기서 양길이 궁예에게 ‘훗날 너도 나처럼 부하에게 배신당하지 않으리라는 법이 있겠느냐’고 했는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