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타사우루스

 

[image]
'''살타사우루스'''
''' ''Saltasaurus loricatus'' ''' Bonaparte & Powell, 1980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미분류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

†살타사우루스과(Saltasauridae)

†살타사우루스속(''Saltasaurus'')
''''''
†''S. loricatus''(모식종)
[image]
복원도
[image]
사람과의 크기 비교[1]
[image]
알 화석
1. 개요
2. 등장 매체


1. 개요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 아르헨티나에 살았던 용각류 공룡.
속명의 "Salta"는 아르헨티나 북부 '''살타'''(Salta) 주에서 따왔다. 몸길이 12m에 높이는 3m, 체중은 약 7t 정도 나갔다.
많은 종의 용각류들이 쥐라기에서 백악기로 넘어가면서 멸종하였지만 '''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 공룡들은 백악기 끝까지 살아남아 남아메리카와 인도,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등 남반구 지역에서 주로 번성하였다.[2] 살타사우루스도 이 중 하나에 속한다.
이녀석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곡룡류 마냥 등 쪽에 '''뼈판'''을 가지고 있다. 이 뼈판으로 자신의 몸을 포식자로부터 보호했을 것으로 보인다. 살타사우루스 외에도 몇몇 티타노사우리아류가 이러한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암펠로사우루스 같은 녀석들.
파타고니아의 아우카 마후에보(Auca Mahuevo) 지역에서 이 공룡의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 산란지'''가 발견되었는데 아마 한 곳에 수많은 양의 알을 낳아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 집단 산란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3] 그러나 집단 산란지 근처에 수각류 공룡인 아우카사우루스가 발견된걸 보면 안전한 지역은 아닌 듯 하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아우카사우루스와 살타사우루스 이 두 종 모두 서식연대에서 차이가 난다는 이유로 이 용각류의 집단산란지의 화석이 살타사우루스의 것이 아니라고도 주장하기도 한다. 게다가 실제로 살타사우루스과의 용각류 '''네우켄사우루스'''(''Neuquensaurus'')가 아우카사우루스와 같은 시간대의 지층에서 발견되었기에 사실상 그 집단산란지의 화석은 '''네우켄사우루스'''(''Neuquensaurus'')의 것이라고 보면 된다.
화석은 아르헨티나 살타 시의 살타국립대학교 자연과학박물관과 페루 리마 시의 리마 자연사박물관, 일본 미에 현의 미에 현립종합박물관, 미국 유타 주의 탱스기빙 포인트 에인션트 라이프 박물관에서 각각 다리 뼈와 알 화석을 전시, 보유하고 있다.[4]

2. 등장 매체


[image]
디스커버리 채널다큐멘터리Dinosaur Planet에 출현하였다. 잎이 몸속에서 소화되는 과정에서 가스가 생겨서 그런건지 몸이 매우 비대하다. 여기서도 집단 산란을 하는 모습이 나온다.[5]
공룡킹 어드벤처에서 등장했다.

[1] 크기는 일반 용각류들에 비해 꽤 작다.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조금 큰 정도.[2] 북아메리카의 알라모사우루스나 유럽의 암펠로사우루스, 힙셀로사우루스, 몽골의 오피스토코엘리카우디아처럼 북반구 지역에서 발견된 종류들도 있다.[3] 오늘날의 바다거북 종류도 이러한 방식으로 산란하기도 한다.[4] 페루 리마 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된 다리뼈 표본의 경우 티타노사우루스의 화석으로 표기되어 있어서 그렇지 뼈의 크기로 보았을 때 실제로는 살타사우루스의 것이 틀림없다.[5] 다만 전술하였듯이 사실상 그 집단산란지의 화석은 '''네우켄사우루스'''(''Neuquensaurus'')의 것이라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