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환운수
1. 개요
남동구를 연고로 하는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남동구 2번 마을버스가 본 회사의 모태가 된다. 현재 532번의 주 수요처인 만수동 삼환아파트 단지가 사명의 시초이다.[1] 결론은 아파트 이름을 딴 거다(...).[2]
2002년 마을버스 면허가 시내버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새 면허 승인의 인가대수인 40대 이상을 맞추기 위해 남동구 마을버스 회사인 신효운수와 태형운수, 남구 마을버스 회사인 도화운수와 뭉쳐서 설립된 회사이다.[3] 2011년에 원진운수가 운행하던 566번과 567번을 인수하여 현재 원진운수 전 대표도 경영에 관여하고 있다.
용현운수와도 약간의 커넥션(?)이 있는데, 532번의 분리노선으로 신설된 532-1번은 사실 511번의 인가에서 5대를 분리하여 신설한 노선이다.
2009년에 준공영제가 실시되며 도입 찬성 vs 반대 구도에서 준공영제 찬성업체를 늘리기 위해 민영제 노선인 533번과 534번을 삼환여객으로 분리시켰다.[4]
여담으로, 삼환운수 대표이사인 김석우 씨는 2018년 지방선거에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남동구청장 후보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 차량 운용
같은 해에 글로벌900을 국내 최초로 출고한 회사이다. 540번에서 운행하는 6452호 차량이며, 2012년 겨울에 대차되었다.
차량은 본사와 구월지점 그리고 송현지점은 현대자동차를 주력으로 출고하지만, 부평지점은 자일대우상용차를 주력으로 출고한다.[5]
3. 운행 노선
3.1. 현재 운행 노선
비고: [인가대수 , 배차간격], ♿ : 저상버스 운행 노선
- 공영버스
- 동구 1, 2번(송현지점) ['''3대, 60분''']: 산업유통센- 송림휴먼시아 - 동구청 -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 인천세무서 - 동산고 - 박문사거리 - 송림주공아파트 - 인천의료원
- 지선버스
- 인천 버스 순환56(본사) ['''5대, 18~22분'''] : 서창2지구 - 만수3지구 - 남동구청역 - 미추홀도서관 - 길병원사거리 - 시청광장입구 - 인천터미널
- 인천 버스 510(송현지점) ['''10대, 7~11분'''] : 산업용품유통센터 - 인천의료원 - 제물포북부역 - 미도아파트 - 송림삼거리 - 도화역
- 인천 버스 531(구월지점) ['''4대, 13~17분'''] : 간석남부역 - 인천예술고등학교 - 길병원 - 모래내시장 - 문일여자고등학교 - 남동등기소
- 인천 버스 532(본사) ['''14대, 9~14분'''] : 서창2지구 - 서창1지구 - 장수동 - 남동구청역 - 모래내시장 - 길병원 - 올리브백화점 - 간석오거리역 - 동암남부역
- 인천 버스 540(구월지점) ['''5대, 12~16분'''] : 540번종점 - 만수3동주민센터 - 간석2지구대 - 올리브백화점 - 인천시청후문 - 석바위 - 간석남부역
- 인천 버스 566(부평지점) ['''4대, 19~40분''']: 산업단지사거리 - 궁현사거리 - 6공단고가교 - 인천가정법원 - 인천시청후문 - 길병원 - 시청광장입구
- 인천 버스 567(부평지점) ['''6대, 6~11분'''] : 대우아파트 - 부평우체국 - 백마장사거리 - 무지개아파트 - 현대3단지
3.2. 과거 운행 노선
4. 면허 체계
- 인천 71 바 62##, 64##, 71##호
- 인천 72 바 1511~1520호[6]
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
5.1.1. 현대자동차
5.1.2. 자일대우상용차
5.2. 과거 보유 차량
5.2.1. 현대자동차
5.2.2. 기아자동차
5.2.3. 자일대우상용차
[1] 현재도 532번은 삼환아파트 단지 입구쪽을 단독으로 경유한다.[2] 신동아교통도 마찬가지로 신동아아파트가 주 수요처였다.[3] 마을버스 시절에 삼환운수와 도화운수는 형제가 서로 경영하던 회사였다.[4] 인천 시내버스 회사의 개별 면허 발급은 40대 이상인데, 삼환여객은 준공영제 노선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분리가 가능한 것.[5] 부평지점은 2019년에 BS090을 출고하였다.[6] 이 중 1519호는 2018년 2월 면허가 말소되었다가 7월 28일에 18년식 NEW BS090으로 면허 부활하였다.[7] 2002~03년에 최초로 출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