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배
1. 3倍
정확히는 띄어쓰기 때문에 '세 배'.
2. 歲拜
'''세배'''(歲拜)는 새해를 맞아 손아랫사람이 손윗분들에게 인사를 드리는 풍습을 말한다.
2.1. 내용
동북아시아권, 특히 한국, 중국, 일본에서 크게 다루어지고 이루어지는 풍습으로, 유교권 국가일수록 이러한 풍습이 강하게 남아 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매년 음력 1월 1일 일본에는 양력 1월 1일에 이루어진다.아침 일찍이 남녀노소가 모두 새옷(설빔)으로 갈아입고, 차례를 지낸 뒤에 자리를 정리하여 앉는다. 그리고는 조부모·부모에게 먼저 절하고, 형·누나 등 차례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을 하여 새해 첫인사를 드린다. 그리고 차례를 지낸 설음식으로 아침식사를 마친 뒤에는 일가친척과 이웃어른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 요즈음은 또 직장 관계로 해서 회사 사원들은 회사 윗사람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리기도 한다. 세배를 드려야 할 어른이 먼 곳에 살고 있을 경우, 정월 15일까지 찾아가서 세배하면 예절에 어긋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옛날에는 30∼40리까지도 걸어가서 세배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배하러 온 이에게 대하여 어른에게는 술과 음식을 내어 놓는 것이 관례이나, 아이들에게는 술은 주지 않고 약간의 돈 또는 떡과 과일을 준다. 또 상중에 있는 사람은 정월보름날까지 출입하지 않는다. 세배 때 궤연(几筵 : 죽은 이의 혼령을 모셔둔 곳)을 모신 집에서는 먼저 궤연에 조문하고, 상주에게 인사를 한 다음, 웃어른에서부터 시작하여 나이 차례로 세배한다. 웃어른에게 세배를 할 때는 절을 하고 나서 “새해에는 더욱 건강하시기를 빕니다.”, “새해에는 복 많이 받으시고 오래오래 사십시오.” 등의 새해 인사말을 한다. 세배를 받는 이도 “새해에는 승진하기 바라네.”, “새해에는 소원성취하기 바라네.” 등의 한마디씩 덕담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세배 [歲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효(孝)를 과시하여 예의를 갖추고 무병장수와 가내평안을 기원하는 풍습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 새해에 첫 시작을 알림으로써 서로 덕담 이 오고가는 훈훈한 풍습이다.
원래 세배 풍속은 새해소원이나 출세에 관한 꿈 같은 걸 이루기 바란다은 덕담을 해주면서. 약간의 돈을 주기도 하면서, 떡이나 과일 같은 간식 조금 쥐어주는 문화였다. 지금처럼 돈 달라고 마음에도 없는 절을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냥 머리만 굽히면 돈이 나오는 줄 안다고 하는 어르신들도 계실 정도다.
세배하고 돈을 받는 게 미안하다 느껴진다면 어른이 되는 과정이라는 말도 있다. 이런 경우는 세배보다는 용돈이라는 표현이 더 맞을 듯.
보통 세배는 설날 당일 가족이 모여서 한다. 세배 순서는 당연히 항렬 순을 따지며 높으신 분이 먼저 받으시는 것이 예의이다. 일반적으로 조부모 항렬 → 부모 항렬 순으로 내려가며 나이차이가 많이 나지 않으면 같은 항렬 간에는 세배를 하지 않는다. 세배 자체가 '문안 인사'이니 두세 살 차이난다고 하는 것은 좀 이치에 맞지 않기도 하다. 물론 항렬과 나이가 역전된 경우에도 하지 않는다. 사실 유교에서의 항렬 같은 질서는 군대의 계급같은 개념이 아니기에 항렬이 높다고 무조건 윗사람은 아니다. 삼강오륜에서 장유유서가 있듯, 나이가 어리면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존대하는게 기본. 그렇다고 또 무조건 나이순은 아니고 나이가 어리면 나이 많은 사람을 존대하고, 항렬이 낮으면 항렬이 높은 사람을 존대한다. 결국 상호존대가 되는 것.
7~80년대에만 해도 이웃집에 찾아가서 세배를 드리기도 하였지만 현대에는 핵가족화도 진행되었을뿐더러, 옆집과의 교류 자체가 적어져서 가족 간에나 하는 풍습이 되었다. 세뱃돈이라는 것도 있고 해서 요새에는 어지간이 아는 사이가 아니면 세배를 하지 않는다. 원래는 연말연시 친목모임처럼 알고지내는 사람을 찾아 돌아다니며 간단한 문안 인사를 하는 개념이었다. 절의 경우 요즘은 거의 하지 않지만 한국 문화권에서 기본적인 인사였다. 꽤 최근 까지도 평소라도 친척집에 들른다면 안방에 들러 절을 하였고, 공부를 위해 상경한 대학생의 고향집에 방학때 친구들이 놀러가더라도 일단 부모님을 만나뵈면 다같이 절을 하며 인사하는게 보통이었다.
요즘은 핵가족화 되어 단순히 가족끼리만 모이지만 예전에는 자기가 알고 있는 선에서 방문 가능한 어른들에게는 최대한 찾아가 절을 하는게 기본이었다. 1960년대 이전에 유년기를 보냈던 할머니나 할아버지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자신들의 어린 시절에는 읍장이나 면장, 이장[1] , 혹은 동장, 통장[2] , 반장, 학교 교사나 대학교 교수, 졸업 후 엔 은사에게도 세배를 드렸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직장상사나 존경하는 선배까지도 찾아갔었다. 예전 주부들이나 어머님들의 얘기중에 명절이면 손님들이 올 때 마다 음식상 차리는게 일이었다고 하는데, 지금 처럼 가까운 가족만 모이는게 아니라 최대한 여러군데 돌아다니며 절을하기 때문에 명절 내내 여러 사람이 찾아왔었기 때문. 더불어 지금은 설날 당일만 하지만 예전에는 새해 문안 겸 세배의 경우 대보름 전까지는 찾아가는게 무례한게 아니었다.
과거에는 상중의 집에는 세배를 안 갔으며, 현재는 세배를 해서도 받아서도 안 되는 종교인 여호와의 증인 신자가 있는 집에는 세배를 가지 않으며 세배를 받지도 않는다.
여호와의 증인이나 무슬림들은 세배가 자신들이 믿는 종교의 교리와 충돌한다는 종교적인 이유로 세배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일부 집안에서는 임산부도[3] 세배를 하지 못하게 하기도 한다. 이 경우는 종교적인 이유가 있는 게 아니라 그냥 '''임산부가 절을 하면 자세가 나오지 않고 몸에 무리가 간다'''는 이유에서 못 하게 하는 것이다. 하반신장애인 등 일부 지체장애인들은 다리를 못 움직이므로 세배를 못 한다고 한다.
2.2. 세배법
남자는 왼손이 위,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오며, 절은 한 번만 한다. 남녀별 상의를 여미는 경우와 같으니, 어느 손이 위로 오는지 헷갈릴 때는 이를 참고하면 된다. 제사 때나 상중에는 이와 반대이며 두 번 한다. 남자의 경우 한복을 입고 세배할 때 두루마기를 입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