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歲'''해 세
|
| | '''총 획수'''
| 13획
|
| 중학교
| | |
|
| 歳
|
'''일본어 음독'''
| サイ, (セイ)
|
'''일본어 훈독'''
| -
|
|
| 岁
|
'''표준 중국어 독음'''
| suì
|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 '''훈''' : 해 '''음''' : 세
|
'''일본어'''
| '''음독''' : サイ,(セイ) '''훈독''' : -
|
'''중국어'''
| '''표준어''' : suì 광동어 : seoi3 객가어: se / soi / sui 민동어: huói[1] / suói[2] 민남어 : hè[3] / sòe[4] 오어 : soe (T2)
|
'''베트남어'''
| tuế
|
유니코드에는 U+6B7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WMIHH(卜一戈竹竹)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5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갑골문 상에서 이 글자는 戉(도끼 월) 자를 닮은 무기의 형태로 그려졌기 때문에, 원래 의미는 무기와 관련된 무언가로 추정된다(즉 劌, 상처입힐 귀의 본자). 혹은 이 형태가
步(걸음 보) 사이에 끼어 있는 형태도 나타난다. 여기서 步 자는 '한 해의 움직임'이라는 식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어쨌든
갑골문에서 쓰일 때 이 글자는 이미 현재의 歲 자와 비슷한 의미로 쓰이고 있었다. 이후
전서에서는 步 사이에 戌 자가 끼어 있는 형태로 바뀌었으며, 이 형태가
예서와
해서까지 이어져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2. 용례
2.2. 지명/인명
- 남녀칠세부동석 (男女七歲不同席)
- 세시풍속 (歲時風俗)
- 태평성세 (太平聖歲, 태평성대[太平聖代]의 다른 말)
- 세세연년 (歲歲年年)
- 세가월증 (歲加月增)
2.4. 서적 제목/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