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초등학교

 



'''소현초등학교
SoHyun Elemetary school
韶峴初等學校
'''
[image]

'''개교'''
2003년
'''유형'''
일반계 초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운영 형태'''
공립
'''교장'''
윤점섭
'''학생 수'''
617명 (2018년)
'''교직원 수'''
58명 (2018년)
'''교목'''
느티나무
'''교화'''
목련
'''교훈'''
참되고 슬기로워라
'''관할 교육청'''
경기도교육청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만현로 133번길 78
홈페이지
1. 개요
2. 시설
2.1. 1층
2.2. 2층
2.3. 3층
2.4. 4층
2.5. 5층
2.6. 운동장
2.7. 강당
2.8. 강당 앞
3. 행사 및 축제
3.1. 입학식
3.2. 체육대회
3.3. 스포츠리그
4. 야생동물
5. 안전문제
6. 등교길
6.1. 보정동 방향
6.2. 상현동방향
7. 이야깃거리
8. 관련 문서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위치한 초등학교이다. 소현중학교와 붙어있으나, 소현중학교는 기흥구 보정동이고 소현초등학교는 수지구 상현동이다. 주로이곳출신 초등학생들이 소현중학교로 많이 간다.

2. 시설


소현초등학교 시설에 대해 서술한다. 이 문서는 소현중학교를 기반으로 작성된 문서이므로 소현초등학교의 정보로 바꿔나가도록 한다.

2.1. 1층


교장실과 다솜반이 위치해있다. 강당으로 통하는 문과 사용하지 않는 샤워실, 어머니폴리스 대기실이 있으며, 맞은편에는 급식실이 있다. 또한 중앙에크고 아름다운 거울이 있다.

2.2. 2층


2층 서편에는 등사실, 서고, 행정실, 세탁실, 교장실이 있다. 동편에는 2층교무실, 방송실, 정보처리실, 남자탈의실, 교육상담실, 교직원화장실이 있다. 별관 2층에는 과학실I, 과학실II, 기술실, 컴퓨터실이 있다.
2층 서편으로 학생들이 갈 일은 없다. 세탁실은 학생 출입 가능구역이지만 거기에 학생이 들어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2층교무실은 학교 내 교무실중 가장 큰 교무실이다. 교육상담실은 잘못을 저지른 학생들이 담임 선생님에게 끌려가 상담을 받는 곳이다. 교직원화장실에는 학생의 출입을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있지만 가장 깨끗한 화장실이기에 학생들이 애용한다.
남자탈의실은 1학년들만 사용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화장실이나 교실에서 옷을 갈아입는다. 탈의실까지 오기가 귀찮기 때문.
과학실은 2개가 있으며 다른 학교와 다를게 없고 깨끗하게 유지되는 편이다.
방송실에서는 최근 낙후된 장비들을 현대화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아날로그 장비들을 디지털 장비로 교체하고 수백~수천만원대의 예산을 써가면서 최신장비들을 도입하고 있다. 일반 학생들은 들어가기 어려운곳이지만 들어가보면 장비들의 포스에 한번, 규모에[1] 한번 더 놀랄 수 있는 곳이다.[* 낙후된 장비들은 모조리 3층 창고에 때려박는데 그곳에는 펜티엄2부터 인텔 셀러론듀얼코어까지,[[장수만세|SDRam부터 DDR3까지 있다고 한다.][sdram/ddr3]

2.3. 3층


3층 본관에는 3학년 교무실, 3-1반, 3-2반, 3-3반, 3-4반, 서편화장실, 동편화장실, 홈베이스, 방과후교실3, 동아리실이 있다. 3층 별관에는 음악실, 밴드부실, 가사실, 창고가 있다.
이곳 정수기가 가장 시원하다. 최근 음악선생님이 바뀌면서 선생님께 열쇠와 허락을 받아야 음악실에 입장(?) 가능하다.컴퓨터는 없다.[2] 엠프는 음악선생님께 허락을 맡으면 사용가능하다. 음악실은 모든 학생이 이용하고 동아리에서도 이용하기 때문에 깨끗하게 이용하도록 하자.
음악실 건너편에는 밴드실이 있는데, 매우 좁다. 웬만한악기들과 엠프들, 음향장비들이 이 좁은 공간에 다 모여있다. 밴드부가 이용하는 곳이다.
음악실 건너편이자 밴드실 옆에는 가사실이 있는데 이 가사실에서 가끔 학부모 초청 요리수업을 하기도 하는듯 하다.이곳에는 총 6개의 테이블로 구성되어있는데, 각 테이블마다 싱크대 1개와 전기쿡탑 2개[3]가 있는데정면기준 가장 왼쪽 뒤 테이블은 고장이난듯하다. 가사실 창고에는 각종 식기도구와 조리도구,수저,계측도구가 있다.
창고에는 책상과 의자,고물컴퓨터, 오래된 음향기기와 TV들이 있다.

2.4. 4층


4층 본관에는 영어교실, 학생자치회실, 학생부교무실, 2-4반, 2-3반, 2-2반, 2-1반, 진로교실이 있다. 별관에는 시청각실, 도서실이 있다.
학생자치회실은 임원들이 회의하는곳이지만, 최근 개방되어 이곳에서 장기, 바둑, 체스 등 다양한 보드게임을 할수 있다. 잘 운영되고 있지만 학생들이 잘 이용하지 않는다. 시청각실은 아늑하다. 안전교육이나 성폭력예방교육등 각종 교육이나 홍보를 받을때 이곳에서 진행된다.
도서실은 겨울에도 따뜻해서 몇몇 선생님들은 이곳에서 정규수업을 진행하시기도 한다. 도서실 창문으로는 죽전역과 신세계까지 보이는데, 시험공부할때 딱 좋은 환경이다. 책으로는 다른 학교에선 드문 프로그래밍, 컴퓨터 전문 서적도 있다. 잡지는 스마트PC사랑, 과학동아, 수학동아, 과학지 뉴턴을 구독중이고 누구나 볼 수 있다. 신문도 학생들 보라고 갖다 놓는데 정작 보는 학생은 없다.

2.5. 5층


5층본관에는 1-1반, 1-2반, 1-3반, 1-4반, 1-5반 진로상담부 교무실이 있다. 5층 별관에는 강당이 있다.
강당은 졸업식, 합창대회같은 큰 행사나 실내 스포츠활동을 할때 이용된다. 배드민턴부가 이용하는 곳이며, 주변학교에 비해서는 작은 편이다. 그래서 왠만한 행사는 운동장에서 진행한다.

2.6. 운동장


모래로 된 운동장이다. 자갈이 조금 많고 먼지가 잘난다. 트랙은 없다. 운동장 뒷편으로는 야외 무대와 씨름장이 있다. 점심시간이나 방과후에는 누구나 사용할수 있다.

2.7. 강당


강당에는 배드민턴 코드 4개가 그려져있고 양옆으로 벤치가 있다.앞에는 단상이 있으며 단상 뒤쪽 좌측에는 종소리 방송장비등과 음악장비들이 있고 우측에는 운동장비들을 보관한다.단상 뒤쪽과 좌측에 각각 스크린이 설치되어있으며 연래행사때 프로젝터로 영상등을 띄운다.
냉/난방기가 있다.[4]
입학/졸업식은 이곳에서 한다.
2018년 여름쯤에 천장 조명을 LED로 교체했다.

2.8. 강당 앞


(급식실 정문에서 앞쪽) 이곳에 쓰레기장과 놀이터, 공터가 있다.운동장과 강당이 모두 사용중일때 가끔 이곳에서 체육수업을 한다.

3. 행사 및 축제


소현초등학교 행사와 축제에 대해 서술한다.

3.1. 입학식


3월 1일에 강당에 모여 입학식을 진행한다.

3.2. 체육대회


학교축제(합창대회, 운동회, 소현제) 중에서 가장 큰 축제이다. 운동회나 다름이 없는데, 반별로 부스를 만들어서 대학축제처럼 진행하기도 한다. 소현제를 연습하느라 모든 학생들은 점심시간이 되면 죽어나간다... 댄스동아리 '와' , 밴드동아리 '소실봉 산비둘기' 의 발표기회이기도 하다. 2016년에는 운동장 납성분 검출로 인해 계주와 달리기 종목은 아예 배제해 버리고 대체종목으로 괴상한 뉴스포츠들이 등장했다. 스포츠리그와는 별개로 운영된다.
최근 소현제는 체육대회와의 융합으로 줄다리기, 계주와 반별 부스, 공연으로 진행되었다.

3.3. 스포츠리그


학년별로 다르게 운영되며, 리그제 혹은 토너먼트제도로 운영된다. 물론 우승 반에겐 명예만 주어지지만, 학생들의 관심도는 매우 높다. 2016년 기준으로 1학년은 발야구와 피구와 축구, 2학년은 피구, 3학년은 배구를 진행했다. 피구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같이 참여하다 보니 남학생에 대한 규정이 심한 편이고, 그래서 학생들은 언제나 불만이 많다.
하지만 2016년도 하반기들어 운동장 트랙에서 우레탄 성분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어, 농구장 이용이 금지되어서 배구는 피구로 바뀌게 되었다.
겨울에는 '겨울의 전설'이라는 이름으로 반별로 배드민턴과 탁구경기가 진행되었다. 단, 이는 잉여스러운 3학년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4. 야생동물


소실봉이라는 산이 옆에 있기 때문에 가끔 야생동물들이 출현하기도 한다. 가볍게는 수업시간에 교실에 조류(참새 등)이 들어온다거나, 운동장에서는 청서(청설모),다람쥐도 목격된다. 특히 청설모는 이정도면 등교길 친구가 아닌가싶다! 음식물쓰레기를 일반쓰레기와 함께 버릴 시에는 밤에 야생동물에게 뜯겨진 종량제봉투를 볼 수 있다. (운동장을 사용하는 외부단체들이 이런 만행을 저질러놓고 가는 경우가 있다.)
교실에 화분이 있는경우, 그 화분을 들어보면 노린제 몇마리가 붙어있다.

5. 안전문제


건물의 현관 천장에 있는 판넬(패널) 들이 강풍이 불때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당황하지말고 선생님께 말씀드리자. "설마 그럴리가 있겠어?" 라는 반응이 많지만 태풍이 아닌 그냥 강풍에도 떨어진다.[5]

6. 등교길


보통 소현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소현중학교에 오는 학생들이 많은데, 이러한 학생들은 등교를 9년이나 하게 된다. 등교길은 두군데가 있는데, 상현동 방향은 LG자이나 두산위브,현대성우등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다니는곳이고, 보정동 방향은 대림E편한세상, 성호샤인힐즈 학생들이 다니는곳이다.
등굣길(등산로) 에는 외부인들도 많이 온다.다니다 보면 나무에 이정표가 많이 달린것을 볼수 있다. 봄이되면 벚꽃이 많이 피고,여름이 되면 초록빛,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고, 상현동쪽 등교길은 열선 설치 완료했고 보정동쪽 등교길은 전구간 캐노피 설치 완료했다.

6.1. 보정동 방향


이곳도 성호 방향과 대림 방향으로 나뉜다.
2000년대 중반까지 산(등산로)의 소유권이 학교나 국가부지가 아니라 개인소유의 농작을 겸하는 산길이었는데 학생들이 그 부지를 지나 올라가는 것을 텐트를 쳐놓고 막아서 단체로 지각생이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가 있었으나 2008년에 성호방향 단일로 황토 아스팔트와 캐노피가 생겨서 성호 거주 학생들의 등굣길이 굉장히 편해졌으나, 대림쪽의 등교길은 계속 개인소유의 부지였고, 가끔 철조망이나 팬스를 설치하여 다니지 못하게 하여 역시 지각생이 많이 발행하였다. 이에따른 조취로 2017년에 용인시가 해당 부지를 구매하여 아스팔트를 깔고 계단을놓았고, 2018년에는 캐노피를 설치하였고, 성호구간의 갈림길까지 연장하였다.또한, 캐노피를 보수,연장하였고 전구간에 계단을 설치해, 황토 아스팔트는 볼수 없게 되었다.
학부모여러분의 영향이 있었다

6.2. 상현동방향


상현동 쪽 통학로는 차도 다닐 수 있지만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눈이 올 경우 자동차 왕래가 힘들어서 어느 겨울에는 급식차가 올라가지 못해 한동안 4교시만 하고 마친 적이 있었다. 다음 해에 도로의 열선을 설치해 현재는 그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2017년도 들어서는 캐노피가 설치되었다. 다행히 나무를 자르지는 않아서 벛꽃은 그대로이다.

7. 이야깃거리


2020년 부터는 각종 특별시설과 6학년 교실이 5층에 있다.
학교가 산이랑 맞닿아 있어서 야생동물과 등교를 할 수 있다. 가끔 길 가다가 도로를 봤더니 로드킬 당한 시체가 있다거나... 상현동측 등굣길 나무계단에서 사람들이 핸드폰 들고 우르르 몰려있다하면 십중팔구 청설모가 나온 것이다.
입구에 열화상 카메라가 설치되어있는데,급식시간에 비프음이 들리고 사람들이 모여있다면 십중팔구 오작동한것이다.[6]

8. 관련 문서



[1] 규모가 아주 크다,꼭한번 들어가보자[sdram/ddr3] 미친ㅋㅋㅋ [2] 원래 삼성 본체에 패스워드가 걸려있는 방식인데 램을 도난당했다나.[3] 한개에 그릴이 2개 있다[4] 일본 아이신것으로 추정된다.[5] [6] 가끔 주변에 있는 학생들의 열을 제서 오작동인지 아닌지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