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업셔틀

 



1. 개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프로토스의 전략으로 속업된 셔틀리버를 사용하여 리버 아케이드로 이득을 보는 전략이다.
프프전에 사용되는 속업셔틀 빌드와 테프전의 속업셔틀 메타로 나뉜다.
스타크래프트 2 버전으로 속업분광이 있다.

2. 프프전


원게이트 상태에서 사업을 누르지 않고 빨리 로보틱스를 올린 뒤 로보틱스 서포트베이와 옵저버터리를 올리고 속업을 누른뒤 셔틀-옵-리버 순서대로 생산하여 속업셔틀로 견제를 가는 견제 위주의 빌드이다. 중요한 것은 옵-리버 순서로를 지키는 것인데 첫 번째로 다크템플러 대응에 필수기 때문이고, 두 번째로는 셔틀-리버 순으로 뽑아도 속업은 시간이 조금 걸리기 때문이다. 위의 순서를 지킬 경우 보통 리버가 나오자마자 셔틀 속업이 끝나있으며, 이 타이밍을 실어 바로 견제와 화력 보충에 나설 수 있다. 견제 위주의 빌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멀티태스킹 능력이 중요하며 멀텟이 떨어질 경우 3셔틀 4리버로 0킬을 하는 대참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초반에 원게이트에서 사업도 누르지 않고 버텨야 하므로 역언덕형 맵이나 평지맵에서는 쓰기 부담되며 언덕형 맵에서도 3게이트류나 로보 3겟 등을 사용한 상대방이 속업셔틀을 눈치채고 뚫어버린다면 GG.
패스트 다크다크 더블엔 상성인데 노사업 로보라서 옵저버도 빠른데다가 입구에 병력을 두고 버티는 빌드이기 때문에 다크가 할 수 있는게 전혀 없으며 이후에 속업셔틀리버 견제 타이밍에 다크를 쓴 쪽은 캐논 밖에 방어 수단이 없으며 가스를 소모하여 드라숫자도 부족해서 견제에 농락당할 수 밖에 없으며 신의 컨트롤로 막는다고 해도 게임 내내 속업셔틀을 가진 쪽이 주도권을 갖기 때문이다.
원겟멀티3겟을 상대로는 무난하게 간다면 멀티가 느리기 때문에 불리하지만 원겟멀티3겟이 옵저버가 느리기 때문에 속업셔틀 견제로 변수를 만들어낼 수 있다.

3. 테프전


아비터의 재발견 이후 오랜만에 새로 등장한 테프전 프로토스의 뉴 메타이다.
더블넥을 가져간 뒤 빠르게 로보틱스를 올리고 속업된 셔틀을 2~3기 동원하여 테란을 계속 흔들어주는 운영으로 테란 입장에서는 알고 있어도 뚫리는 매우 까다로운 운영이다. 이 메타가 등장하면서 테란의 투혼 2팩 3컴, 서킷에서의 2팩 4컴, 마인 트리플 등의 째는 빌드가 사장되었다.
현역 시절엔 허영무가 속업된 셔틀을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며[1] 아프리카에 와서는 사파토스의 대표주자인 변현제, 장윤철 등이 속업셔틀로 테란을 흔들어주는 플레이를 자주 사용해왔다. 그러다가 장윤철ASL 시즌5 8강 3세트 글래디에이터에서 경기 후반까지 이어지는 리버 견제로 이영호를 잡아내면서 속업셔틀 메타가 재발견되었고 정윤종, 도재욱 등 테란전 잘하는 프로토스들이 이 플레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대중화되었다.
테란들은 프로토스의 속업셔틀 플레이에 대항하여 이영호를 중심으로 원팩에서 아머리 아카데미를 올리면서 사업 골리앗을 모으는 빌드로 대처하자 원팩에서 나온 병력이 소수임을 이용해서 오히려 트리플 넥서스프로토스가 째면서 자원을 바탕으로 찍어 누르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요새는 스타포트를 올려서 레이스로 막는 플레이가 더 자주 쓰이고 있다. 스타포트는 레이스 뿐만 아니라 드랍십을 뽑아서 피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에 프로토스가 사업 골리앗 빌드보다 째는데에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조차도 원 에드온 상태라 탱크 드랍이 어려운 점을 또 이용하여 포톤 캐논[2]으로 게릴라 방어 부담을 완화하는 한편, 벌처 게릴라 가능성도 원천 봉쇄시켜 버리는 방식으로 대처한다. 만일 뒤늦게 탱크를 섞으면 드라군 2~3기 정도만 보내 시즈모드 한 탱크만 일점사 해서 캐논을 지키면 벌처가 활약하기 힘들다.
테란이 어느정도 속업셔틀에 대한 내성이 생기면서 전에 비해 리버 견제에 큰 피해를 받지 않기 시작하고, 전체적인 맵 디자인의 변화로 인해 기존 테프전 아비터 운영을 테란이 발달된 중후반 운영으로 받아치기 시작하면서[3] 아비터가 아닌 무언가 새로운 중후반 운영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 과정에서 원래부터 아비터대신 하이 템플러를 사용하던 변현제의 속업셔틀 플레이가 도재욱에 의해 새로운 방식으로 최적화되어 새로운 메타로 자리잡게 되었다.
새로운 속업셔틀 템플러 운영, 속칭 속셔템은 기존 속업셔틀 리버 빌드의 진보된 버전이라 할 수 있다. 셔틀리버를 통해 테란을 견제함과 동시에 빠르게 앞마당 가스를 채취하면서 트리플을 가져가고, 이 과정에서 생기는 병력의 공백은 아비터보다 훨씬 더 빠르게 생산되는 템플러를 통해 보완하면서 아비터보다 훨씬 더 부유하고 안정적으로 운영을 시작할 수 있다. 테란이 수비에 치중하면서 업테란을 준비한다면 터렛 두 세 개 정도는 그냥 뚫고 들어가버리는 속셔를 통해 지속적인 견제로 테란의 최적화를 망치고, 이와 동시에 주병력으로는 계속 빈틈을 공략하면서 테란을 압박한다. 속셔템의 최대 장점은 주병력 소모 없이도 얼마든지 테란을 견제할 수 있고, 한타에도 얼마든지 참여할 수 있다는 것으로 테란은 견제를 막는 과정에서 SCV 소모가 과하게 누적되어도, 견제를 막다가 주병력을 신경쓰지 못해 방어라인이 뚫려도 패배하게 된다.
또한 테란이 견제를 막아내면서 어떻게든 200 병력을 모았다 하더라도 어줍잖게 한타를 걸었다간 다수 셔틀에서 한 번에 떨어지는 다수 템플러의 스톰에 역으로 압살당해 게임을 그르치는 일도 잦고, 주병력 소모가 없어도 얼마든지 견제가 가능한 속셔템의 특성상 한타를 이긴다 하더라도 견제에 자원 피해를 많이 봐서 후속이 부족하면 속셔템을 기반으로 한 도망자 토스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으며 패배하는 일도 빈번해 리콜만 막아내면 그만이었던 아비터 운영에 비해 엄청나게 골머리를 앓게되었다.
이영호, 이재호와 같은 최강급 테란들조차 기존 21업 200 타이밍 러시, 추가 멀티 이후 32업 200 같은 기존의 필승 공식으로도 프로토스의 속셔템 운영에 마땅한 해법을 내지 못하자 어쩔 수 없이 견제에 피해를 보더라도 어떻게든 버텨내면서 반땅을 그으며 속셔조차 뚫지 못하는 방어선을 구축하는 운영법을 제시했지만, 이조차 뒤늦게 아비터를 추가해 리콜로 타스타팅 멀티를 아예 박살내는 운영이 제시되면서 완벽한 해결책은 찾지 못한 상태이다.

[1] 속업셔틀로 승리한 경기로 유명한 것이 진에어 스타리그 2011 결승전 3세트. 허영무의 속업셔틀에 서플라이 디포 3개와 공업중인 아머리가 깨지면서 다소 싱겁게 끝났다. 이 때 정명훈은 셔틀리버 대비를 하지 않은 것도 아니었는데 흔들렸다.[2] 아둔과 포지를 같이 올리는 것인데 이때 타이밍이 트리플 직후로 테란은 보통 드랍쉽을 준비하는 때다. 원래는 거의 아비터가 나올 즈음에 포지를 올린다. 즉, 게릴라 방어를 좀 더 일찍 할려는 용도로 포지를 일찍 올리는 것.[3] 러시 거리가 짧아 21업 타이밍에는 유리하지만, 삼룡이 이후 추가 멀티를 가져가기 힘들었던 투혼이 자리에서 내려오면서 테란은 굳이 21업 타이밍 한 번으로 끝내야 한다는 부담감이 줄어 전처럼 무조건 빠르게 치고 나가다가 리콜에 휘둘리는 것이 아닌, 그냥 추가 업그레이드를 기다림과 동시에 삼룡이 이후 추가 멀티를 확보하면서 다수 터렛과 마인, 베슬로 리콜만 대비하는 운영을 통해 아비터를 봉쇄해 아예 변수가 없는 플레이를 하게된다. 아비터 운영은 원래 높은 인구수와 EMP라는 문제때문에 사실상 한타를 포기하고 리콜에만 올인하던 운영이었는데, 리콜이 봉쇄당하면서 기존 테프전 아비터 운영은 한계에 봉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