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컷
1. 개요
자웅이체(雌雄異體)의 동물이나 자웅이주(雌雄異株)의 식물에서 정소를 가지고 있는 개체를 말한다. 사람으로 따지자면 '''남자, 남성'''에 속한다. 학술 및 기호로는 '♂'를 사용한다. 암컷에 대응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한자로는 雄(수컷 웅)으로 표기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牡(수컷 모)라는 한자도 있는데, 엄밀하게 구분하면 雄은 날짐승의 수컷을 의미하고 牡는 네발짐승의 수컷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male'이라고 한다.[1] 동물에게는 그냥 쓰는 명칭이지만, 사람에게 쓰면 당연히 비하나 멸칭이 된다.
생식 세포가 작고 이동성이 있는 경우 수컷으로 분류한다.
2. 상세
수컷 동물의 대부분[2] 은 암컷과 달리 새끼를 직접 임신하여 출산하지는 못하지만 대신 암컷 동물과의 짝짓기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새끼를 출산하게 된다. 암컷 동물과는 달리 젖을 새끼에게 줄 수 없는 편이지만[3] 대신 사냥을 통해서 새끼들에게 먹이감을 날라주는 역할을 한다. 여러 경우, 암컷이 육아를 담당하지만 펭귄을 포함한 대부분의 조류[4] 나 여우, 늑대 같은 다른 일부일처제 동물들의 경우 암수가 평등하게 육아를 담당한다.
야생 생태계에서 꽤 많은 횟수로 수컷이 같은 종의 어린새끼를 죽이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자신의 새끼가 아닌 다른 수컷의 새끼이거나 싸우다 흥분해 암컷의 새끼를 죽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보통 육식동물중 어린 새끼를 가진 어미들이 조심하는 것중의 하나가 같은 종의 수컷일 때가 많다.
수컷의 성향상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으로 암컷보다 공격적이고, 투쟁적인 편이라 동종 간 다툼이 잦다. 연중 교미를 할 수 있으며(일부 종은 아예 정해진 발정기 자체가 없다), 성적 성숙으로 도달하는 기간이 암컷보다 길어 성장하기까지 암컷보다 많은 시일이 걸리는 편이다. 번식기에는 암컷을 두고 다른 수컷과 결투를 벌이기도 한다. 여러 척추동물의 경우,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밝은 색상을 띄며 뿔, 갈기, 꽁지깃, 기름주머니 같은 거추장스러운 무기나 장식을 가졌다[5] . 그러나 또 여러 동물[6] 의 경우 외모만으로는 암수 구별이 어렵다. 이를 자웅동형이라 하는데, 사실 인간도 이 범주에 속한다. 인간은 같은 인간끼리의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서로 잘 구별하지만, 유전 표현형의 차이는 실제로 거의 없다시피하다. 일부 동물들의 경우에는 성기로도 암수 구별이 어렵다. 대표적인 예로, 점박이하이에나가 있는데, 암컷도 수컷처럼 성기가 튀어나와 있어 동물원에서도 성별 구분이 어려울 정도.
암컷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평균수명이 짧다. 외부적으로는 생식 활동에 대한 에너지 소모도 암컷보다 더 많이 할 뿐더러, 암컷과의 교미를 두고 수컷들간의 물리적 다툼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기 십상에다가 그것으로 사망하는 개체도 간간히 나온다. 집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은 거세를 하면 수명이 길어지는 현상이 나오긴 하지만 그렇지 못한 개체는 거세된 개체나 암컷보다 더 일찍 무지개 다리를 건너는 편.유전적(내부적 요인)으로도 수컷은 단명하는데, 수많은 종에서 암컷이 XX로 동형, 수컷이 XY이거나 XO인 이형 성염색체를 가지기 때문이다. 동형의 염색체가 이형 염색체보다 더 유전적으로 튼튼하기 때문에 암컷이 이형 성염색체를 가지는 경우(ZW. ZO)는 암컷의 수명이 더 짧다.[7]
상업적인 목적으로 키우는 가축의 경우 천덕꾸러기인 경향이 있는데, 닭이나 젖소, 오리의 경우 수컷은 암컷과는 달리 알이나 젖같은 수요 높고, 이윤 크고, 항상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부산물을 아예 얻을 수가 없어서 번식 목적으로 쓰일 일부만 살려두고 나머지는 모조리 살차분한다. 또한, 육용으로 키우는 소, 돼지, 양, 염소 등의 가축은 대체로 수컷의 고기는 암컷의 것에 비하면 육질이 낮고 맛이 없다고 한다. 육용으로 보충하기 위해 거세하거나 아니면 평생 씨 뿌리는 기계로 부린다. 말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대우가 좋은 편으로 번식을 위한 종마가 필요해 나름 몸값이 높고, 우수한 경주마에서 종마가 되면 가치가 천정부지로 오른다.
한국어에서 이를 의미하는 접두어는 '수-'이다. '표준어 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7항'에서 '수-'로 통일할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소, 놈, 나사, 은행나무 등은 각각 '''수소''', '''수놈''', '''수나사''', '''수은행나무'''로 쓴다. 다만, 옛말인 '숳'의 형태(ㅎ말음 체언)가 현재까지 남아있는 경우에는 예외로 두는데, 발음상 뒤에 오는 소리가 거센소리로 나는 경우나 '숳'의 영향이 남이있는 경우다. 당장 이 문서인 수컷이란 단어도 수ㅎ + 것 → 수컷으로 분석된다. 그 외에도 닭, 개, 돼지, 병아리, 당나귀 등은 '''수탉''', '''수캐''', '''수퇘지''', '''수평아리''', '''수탕나귀'''라고 쓴다. 쥐, 염소, 양. 이렇게 3가지 동물을 가리킬 때에만 '''숫쥐''', '''숫염소''', '''숫양'''이라고 쓴다.
[1] 사람에게 사용할 때 한국어 수컷은 비하·경멸의 의미가 강하지만 male에는 그런 뉘앙스가 없거나 적다.[2] 모든 종의 수컷이 직접 임신 및 출산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해마는 수컷이 직접 임신하고 출산 한다.[3] 하지만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종의 수컷이 젖을 먹일 수 없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다약과일박쥐는 수컷이 새끼에게 젖을 먹이며 비둘기와 디스커스는 암수 모두 젖 비슷한 분비물을 생성한다.[4] 조류는 90%가 일부일처제이며 새끼 양육을 공평하게 분담한다.[5] 하지만 호사도요처럼 수컷이 육아를 전적으로 담당하는 종의 경우 암컷이 더 화려하다.[6] 개, 고양이, 여우, 늑대, 곰, 토끼, 표범, 퓨마, 재규어 등등[7] 그래서 조류는 수컷이 암컷보다 더 오래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