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지게미

 


1. 개요
2. 해외의 사례


1. 개요


탁주를 내리고 남은 술의 찌꺼기를 뜻한다. 가축의 사료로 쓰기도 하며 먹을 것이 부족하던 시절에는 당원이나 사카린 등을 섞어 식용하기도 했다. 술을 빚은 뒤에 나오기 때문에 미량의 알코올 성분이 있어서 조금만 섭취해도 취할 수 있다. 술지게미 또한 탁주를 빚고 남은 찌꺼기여서 약간의 칼로리가 있다. '재강', '술비지', '조박(糟粕)'이라고도 한다. 고사성어 조강지처와도 관련이 있다.
60년대까지만 해도 동네마다 양조장이 있어 탁주를 내린 뒤의 술지게미 등을 구하기가 쉬웠으나, 혼분식 장려 운동 등으로 쌀로 술을 빚는 행위가 금지되면서 양조장이 대부분 사라져 지금은 보기 힘든 먹거리가 되었다. 탁주의 수요량은 희석식 소주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현대에는 발효 부산물이라는 인식 때문인지 식용보다 비누나 화장품 등의 원료로 쓰이며, 일본 사케의 술지게미 정도가 국내 온라인샵에서 시판되고 있다. 식용은 주로 장아찌 등을 만들거나 가정에서 막걸리를 담근 뒤 나온 부산물을 자가소비하는 경우가 많다. 모주의 재료로 쓰기도 하는데, 도시에서는 시골의 술지게미를 따로 택배로 받아서 만들기도 한다.
이걸 발효시켜서 식초를 만들 수도 있는데 빨간색이기에 적초라고 불린다. 일본 에도 시대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쌀이나 과일 등으로 만드는 식초가 흔해져 적초는 보기 어렵다.
검정 고무신에서는 이기철&이기영 형제가 먹고 취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다른 편에서는 기영이가 성철이와 술 심부름을 갔다가 술지게미를 가져가는 장면이 나온다.[1] [2]
'소파 전집'에는 술지게미 떡 관련한 우스갯소리가 있다. 가난뱅이 칠욱이 술을 좋아하는데 돈이 없으니 아내가 술지게미로 떡(재강떡)을 만들어 먹인 이후의 이야기이다. 얼큰하게 취한 칠욱이 친구와 마주쳤다.

친구: 자네 굉장히 취했구먼. 정월 초하루부터 큰 수가 생겼나?

칠욱: 아무렴. 재강떡을 잔뜩 먹고 취했다네.

이에 친구는 가난뱅이 신세의 칠욱을 잔뜩 비웃으며 포복절도하고 가 버렸다. 아내는 남편이 창피당하는 것이 싫어서 한 가지 대답을 알려주었다. 칠욱은 친구의 집으로 달려갔다.

친구: 또 취했구먼. 왜 그리 취했나?

칠욱: 술을 잔뜩 마셨으니 그렇지.

친구: 그래 술을 얼마나 마셨나?

칠욱: '''아홉 개'''나 먹었다네.

이렇게 또 창피만 당한 칠욱에게 아내는 또 한 가지 대답을 알려주었다. 이튿날 아침 날이 새자마자 또 재강떡으로 잔뜩 취한 칠욱은 친구의 집으로 달려갔다.

칠욱: 아이고, 오늘도 잔뜩 취해 죽겠는걸.

친구: 무얼 먹고 취했나?

칠욱: 그야 술이지 뭐겠나?

친구: 얼마나 먹고 취했단 말인가?

칠욱: 얼마가 무언가? 한 동이나 마셨다네.

친구: 그래, 찬 술을 마셨나, 더운 술을 마셨나?

칠욱: (쩔쩔매다가) '''화로에 석쇠 놓고 구워''' 먹었지.

결국 재강떡으로 취했다는 사실이 또 들통났다는 이야기다.

2. 해외의 사례


술지게미와는 좀 의미가 다르지만, 유럽도 이러한 양조 부산물을 이용한 것이 있는데, 와인용 포도즙을 내고 남은 찌꺼기를 압착하여 만드는 뱅 드 프레스(Vin de Presse)가 그것. 간단히 말해 최하등품 와인이다. 중세 고증으로 유명한 작품인 늑대와 향신료 초반부에 크래프트 로렌스가 언급하는 '포도 찌꺼기가 듬뿍 들어간 술'은 이것을 말한다.
이탈리아스페인은 이것을 증류하여 일종의 브랜디를 만드는데 이것이 바로 그라파다. 프랑스에서는 마르라고도 한다.
[1] 후자는 검정 고무신 3기 18화 손님 오신 날.[2] 당시 시대인 60년대 후반에서는 미성년자한테 술, 담배, 술지게미 심부름 왔다하면 바로 주는 시대이기도 하니 미성년자가 그걸 자기가 마시거나, 먹거나, 피울거라는 인식이 낮은건지 3기 18화 손님 오신날의 기철이 또한 담배심부름 왔다고 담배를 가게주인이 손님왔다며 그냥 주는 것또한 2000년대에 와서 보면 나름 문제였다는 모습으로 보여지기 십상이기도 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