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 김천-안동
1. 노선 정보
2. 개요
김천공용버스터미널과 안동터미널을 잇는 노선이다.
3. 역사
- 이전에는 1일 15회 운행했다.
- 2016년 7월 1일 김천에서 경북대, 상주, 점촌, 예천, 삼거리, 도청만 경유하여 안동에 종착하는 직행 노선이 1일 10회 신설되었다. 완행은 1일 5회 운행.
- 2017년 6월 7일 직행 노선이 5회 감회되었다.
- 2018년 11월 23일 7회로 감회되어 직행 노선이 폐지되었으나, 안동 까지는 경북선이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에[3] 직격탄을 입은 영주 노선과 달리 어느 정도의 수요가 있었다. 그러나 직접적인 대결은 어느정도 펼쳤다.
- 2019년 9월 6일 구미-울진간 시외버스가 신설되고 2019년 12월 26일 부터 상주시의 청리정류장, 문경시의 산양정류장, 안동시의 상리동, 풍산을 더 이상 경유하지 않으면서 직행이 사실상 부활했다.[4]
- 2020년 2월 27일 코로나19로 인해 1일 2회로 감회되었다가, 1일 4회로 늘었다.
4. 특징
'''요금이 15400원으로 굉장히 비싸다''' 원인은 국도요금이다. 차라리 우등인 구미행 버스를 타고 구미역에 가서 김천역 가는 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더 쌀 정도.[5] 소요시간도 구미 경유 2시간 10분, 직행 2시간 25분으로 구미경유가 덜 걸린다.
5. 기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의 점촌북부터미널은 흥덕[6] , 과학대정류장은 간전[7] 으로 되어있다.
시외버스 대구북부-김천 문서에서도 볼 수 있듯이 김천에서 출발하는 차량보다는 대구북부에서 출발해 김천을 거쳐 안동까지 가는 버스도 많다. 안동->대구도 별반 다르지 않다. 발권 가능한 행선지는 2010년대 초반 김천을 기준으로 분리되었다.
예천군 개포면 일부구간은 16부대를 지나기 때문에 개포면 일부구간 구간에서 사진을 함부로 찍으면 '''코렁탕을 먹게된다.''' 이는 시외버스 김천-영주와 시외버스 대전복합-태백(완행)도 마찬가지.
6. 시간표
7. 운임
[1] 면허상 전용 이다.[2] 면허상 여기까지 운행한다.[3] 들어간 적은 있었지만 일제강점기 시절이다.[4] 상리동, 풍산은 본 노선 외에 정차하는 노선이 없고 청리정류장은 본 노선 외에 김천-영주 노선도 무정차 통과하게 되어 폐쇄되었으며, 산양정류장은 감천, 유동, 장수와 마찬가지로 삼흥고속의 대전-태백 완행만 정차하면서 존치되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운행중단으로 휴업상태다.[5] 약 1000원 정도 더 싸며, 중고생은 1500원 정도 더 싸다.[6] 법정동 이름이며, 행정동 이름은 점촌3동이다.[7] 안동과학대학교의 전신이 안동간호전문대학이었는데 줄여서 간전으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