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북부정류장

 



5번 국도 직행 시외버스 정류장
서부정류장[1]

'''북부정류장'''

구효령정류소
'''북부정류장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北部停留場
Bukbu Bus Terminal

'''주소'''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 295 (비산동)
1. 소개
2. 버스 회사
3. 경관정비사업
4. 운행 노선
4.1. 수도권
4.2. 강원권
4.3. 충청권
4.4. 영남권
4.5.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5. 중간정류소
5.1. 태전동 정류소
6. 연계 시내버스 노선
7. 연계 전철역
8. 주변
8.1.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곳
8.2. 방공시설
8.3. 금융기관, ATM
9. 기타


1. 소개


[image]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 295 (비산동)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이며, 해당 터미널에 본사를 두고 있는 코리아와이드 경북에서 운영한다. 대구광역시의 종합버스터미널인 '''동대구터미널''' 다음으로 큰 시외버스 전용 터미널이며, 서부정류장과 동급의 터미널이다. 명칭과 달리 서구 비산7동에 있지만, 전화 국번은 북구의 것을 쓴다.[2]
대구광역시에서 강원도로 가는 군인들의 주된 집결지 중 하나다.
1975년 1월에 개장했다. 이전에는 서구 원대동에 있었다. 당시에는 원대주차장이라고 불렀으며, 지금도 그렇게 부르는 어르신들이 꽤나 많다. 현재는 구 비산5동 관할로 비산5동주민센터 앞에 있는 동아리공원이 옛 원대주차장 자리다. 이 곳은 1990년대 말기 고향장터가 들어섰다가 2005년 동아리공원이 들어서 있다.
1975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해 왔다. 건물에는 '북부시외버스공용정류장'이라고 되어 있으나, 대구 시민들 사이에서는 북부정류장 혹은 북부주차장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2013년 경관개선 사업을 하면서 외부의 북부시외버스공용정류장이라는 명칭을 북부시외버스터미널로 변경했다. 인터넷 예매는 버스연합회 홈페이지에서 가능하지만, 일부 노선들은 예매가 안 되고 운행 정보만 조회할 수 있다. 몇몇 노선들은 티머니 시외버스모바일 앱에도 올라왔다.
승차권에는 '대구북부'로 기록된다. 한편 다른 터미널, 시외버스 간이 정류장의 운임표, 시간표에는 '북대구'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주로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강원도, 경상북도 북부 지역, 충청북도의 각 도시로 가는 시외버스가 있는 대구광역시의 주요 관문 가운데 하나다. 경기도 일부 지역도 가지만, 완행이므로 만평네거리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이용하는 것이 더 좋다.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만평네거리에서 노원로를 따라 평리동 방면으로 가는 길에 위치해 있는데, 서부정류장과 더불어 규모가 제법 되고 대구 시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하지만 시설이 많이 낙후하다는 점이 상당히 문제다. 한때 민간 투자자가 나타나서 현 부지에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서부정류장과 통합하여 리모델링을 하기로 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무산되었고, 서구청에서는 이현동에 있는 서대구역에 서대구 복합환승센터를 조성하여 북부, 서부정류장과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통합 이전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상태며, 오히려 경기도 노선이 감축됐다.
춘천시, 홍천군, 강릉시, 원주시, 횡성군, 속초시, 양양군 등으로 가는 중앙고속도로 경유 강원도방면 노선이 가장 많기 때문에, 동대구터미널과 더불어 군인들을 쉽게 볼 수 있는 곳 가운데 하나다. 동대구터미널에도 강원도시외버스 노선이 있지만, 그쪽은 죄다 7번 국도를 이용하는 영동방면 완행노선이고 요금이 비싸며, 시간도 오래 걸린다. 대구에서 강원도 방면으로 버스를 타고 가려면, 일부 지역에서 환승[3]하는 것을 고려해도 북부정류장에서 타는 게 훨씬 이익이다. 다만 춘천 - 북부/서부 무정차 노선이 춘천 - 홍천 - 횡성 - 원주 - 북부/서부로 통합됨에 따라, 춘천방면은 고속버스가 훨씬 낫다.
과거에는 충청남도 홍성, 서산,[4], 전라북도 무주 행도 존재했으나, 죄다 폐선되고 최근 '''동대구'''발 당진/기지시리/서산 노선이 개통되긴 했다. 그래서 현재 대구광역시 (시외버스터미널) 3곳 다 합쳐서 충청남도 방면은 '''동대구''' - 구미 - 천안, '''동대구''' - 기지시리 - 당진 - 서산 둘뿐이다. 선산 휴게소에서도 천안행은 울산 착발이라 1일 3회밖에 환승이 안 되었는데, 이마저도 2016년 12월 1일에 폐지되어 빼도박도 못하고 철도 확정. '''따라서 대구에서 충남/세종 방면으로 가려면 동대구역으로 가거나 동대구대전복합 고속버스 노선을 이용하여 환승하는 게 훨씬 낫고 편하다.''' 대구에서 무주로 가려면 영동역으로 가는 무궁화호를 타고 영동역 앞에서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는 무주행 군내버스를 타고 이동하면 된다.
제천, 부산종합행을 여기에서 왜 타면 안 되는지는 북부정류장, 김해국제공항 시간표를 보거나 동대구터미널 문서를 보면 알 것이다.
2014년 7월 10일 부로 김해국제공항 ↔ '''동대구''' 노선을 북부정류장 착발로 바꾸는 형태로 연장하려고 했으나, 북부정류장 연장 인가가 잠정 취소되어 말짱 도루묵이 됐다. 대신 2015년 7월 15일에 해운대 ↔ 북대구 노선이 '''동대구''' 경유로 신설되었으나, 이마저도 2017년 2월 25일에 동대구로 단축됐다.
길 건너 북구 노원동3가 만평네거리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있어서 고속버스시외버스들이 서대구IC로 진입하기 위해[5] 북부정류장 근처로 합류하는 탓에 팔달교, 만평네거리, 평리네거리 라인에는 항상 RH헬게이트가 열리며, 대구광역시의 상습 정체 지역이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공사로 인해 북부정류장에서 이마트 트레이더스 비산점(상신삼거리, 공단역)을 잇는 도로가 양방통행으로 전환되었을 정도.
터미널 상가처럼 터미널 건물 안에도 점포들이 꽤 있지만, 이쪽은 대부분 셔터가 내려져 있고 실제로 영업하는 점포는 거의 없었는데 최근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사무실 일부가 2층에서 내려오면서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사무실로 이용되고 있다.
2019년 여름에 경기도방면 노선들이 대거 감축됐다. 이천, 여주, 경기광주, 하남 노선은 동대구로 이전했고, 오산/수원/안산경유 부천(+고양/인천) 노선은 서부정류장 이전 및 구미(공단 포함) 경유가 추가됐으며, 동시에 부천착발 및 고양착발을 없애고 인천으로 착발지를 통일했다. 하지만 인천 - 서부정류장 전 구간은 발권 불가. 폐지된 고양/부천방면은 폐지 전부터 있었던 동대구 노선으로 사실상 대체됐으며, 수원 및 안산 역시 동대구에 별도 노선이 있으니 그쪽으로 가야 한다. 인천은 고속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북부정류장에 들어오는 수도권 노선은 인천국제공항행뿐이다.
그 이유는 전철역 접근성 때문인 듯하다. 3호선이 근처까지 오긴 하지만, 터미널과 어느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터미널 코앞에 전철역이 있는 서부정류장이나 동대구터미널과 비교하면 전철 연계가 불편하다. 윗 문단에서 언급한 수도권행 노선 감소도 전철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 때문에 서부정류장이나 동대구터미널에 빼앗기는 듯하고, 그 많았던 경북 북부행 노선들도 고령화로 인해 인구가 감소해서 노선이 감축되거나(군위, 의성행 등) 타 터미널에 밀려서(구미, 안동, 영주행 등) 운행 횟수가 줄었다.
과거에는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행 완행버스 노선도 있었는데, 이 노선은 한때 유일하게 한티재 고개를 넘는 버스로 유명했다. 지금도 터미널에는 대율리나 칠곡 용수리 등 폐지된 노선의 흔적이 남아있다.

2. 버스 회사


일부 노선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노선이 코리아와이드 경북 또는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계열사인 코리아와이드 진안이 독점하는 노선이거나 공동 배차에 참여하는 노선이다. 충청북도 연고 계열사인 코리아와이드 대성 또한 일부 노선[6]의 공배에 참여하고 있다. 그 외에는 경주,포항노선의 아성.천마고속강원방면 노선의 공배 관계로 대원고속, 강원고속, 강원흥업, 금강고속, 영암고속이 들어온다.

3. 경관정비사업


2012년 9월 서구청에서는 실시설계를 시작해서 10억여 원의 사업비를 들여 경관개선사업을 하기로 했다. 리모델링 계획 무산으로 주변 정비 정도 수준이지만 (관련 기사), 문제는 이 사업이 완료된다면 그 동안 북부정류장 주변에 있던 상가들이 죄다 사라지게 된다는 점이다. 때문에 주변 상가에 입주한 상인들이 정비 사업을 중지하라면서 현수막을 내거는 등 해당 사업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한동안 시작도 못하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서구청에서 서대구복합환승센터를 적극 추진하는 걸로 보아 아마도 경관개선사업은 물 건너간 듯 싶었다. 그런데 계획이 수정되었는지 상가를 밀지 않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2013년 6월 말쯤 내부 정류장 1면이 철거되는 등 활발히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환승센터 승강장 쉘터를 새로 올렸으며, 환승센터 승강장 중 롯데리아와 마주보고 있던 1면 1선 승강장이 폐쇄되고 그 자리에 보도블록이 깔렸다.

4. 운행 노선


전 차량이 우등고속 차량으로 운행 중인 노선은 '''볼드체''' 표시.

4.1. '''수도권'''



'''행선지'''
'''정류장'''
'''소요시간'''
'''운임'''
'''운행 횟수'''
'''운행 회사'''
'''비고'''


4:40
₩ 36,600
₩40,300원(심야)

'''운행중단'''[7]--
코리아와이드 진안[8]
코리아와이드 대성
[9][10]

4.2. '''강원권'''


'''행선지'''
'''정류장'''
'''소요시간'''
'''운임'''
'''운행 횟수'''
'''운행 회사'''
'''비고'''
원주
횡성
홍천
춘천

대구서부 출발[11]
원주
2:30
₩ 14,000
₩ 18,200 (우등)

1일 4회
강원고속
금강고속
대원고속
[12]
횡성
2:55
₩ 16,100
₩ 20,900 (우등)
홍천
3:30[13]
₩ 19,900
₩ 25,900 (우등)
춘천
4:10
₩ 22,500
₩ 29,300 (우등)
강릉
양양
속초

강릉
3:40
₩ 20,900
₩ 26,500 (우등)
₩ 29,200 (심야우등)

1일 5회
강원흥업
코리아와이드 경북
첫차 : 07:40
막차 : 22:00
[14]
양양
4:30
₩ 23,300
₩ 30,300 (우등)
₩ 33,300 (심야우등)
낙산
4:40
₩ 23,500
₩ 30,900 (우등)
₩ 34,000 (심야우등)
속초
5:00
₩ 25,300
₩ 32,800 (우등)
₩ 36,100 (심야우등)


3:00
₩ 26,300

'''운행중단'''
영암고속
코리아와이드 진안
코리아와이드 대성
[15]

3:30
₩ 29,400
태백
(완행)
↓안동 경유[16]
동점

₩ 20,500

1일 1회
코리아와이드 경북

구문소

₩ 20,600
장성(태백)
4:40
₩ 21,100
태백
5:00
₩ 22,600

4.3. '''충청권'''


아무리 경부축이 철도 강세지역이지만 그래도 충청권의 대도시인 대전, 청주, 천안은 노선이 전혀 없다. 그나마 고속버스는 있는 대전이나 고속, 시외 노선이 모두 있는 청주[17]와 달리, 천안행은 북부정류장뿐만 아니라 대구시내 터미널을 통틀어서 직통 노선이 하나도 없다. 동대구터미널에서 7회 다니는 천안행은 구미 경유다.
'''행선지'''
'''소요시간'''
'''운임'''
'''운행 횟수'''
'''운행 회사'''
'''비고'''
충주(직통)[18]
2:10
₩ 14,900[19]
1일 8회
코리아와이드 진안
[20]

4.4. '''영남권'''


'''행선지'''
'''정류장'''
'''소요시간'''
'''운임'''
'''운행 횟수'''
'''운행 회사'''
'''비고'''
구미
구미
0:50
₩ 3,500

1일 4회
코리아와이드 진안
[21]
점촌(문경)
상주

점촌
1:16(무정차)
1:26(양정, 함창 경유)
₩ 8,600
₩ 11,200(우등)

1일 15회
상주
경북대(상주)[22]
양정, 함창
인동
옥계[23][24]
상주
1:18
₩ 6,200
₩ 8,100 (우등)

1일 15회

[25]
?
₩ 6,000

'''운행중단'''

군위
안계
다인
지보
풍양

군위
1:00
₩ 5,600

1일 9회
효령
안계
다인
지보
풍양
[26]
안계
1:40
₩ 8,800
1일 10회
지보
3:00
₩ 11,700

1일 8회
다인
1:00
1:10
₩ 5,700

1일 3회
풍양
2:30
₩ 11,200

1일 3회
의성
일직
단촌
의성
1:00
₩ 5,700

1일 7회
코리아와이드 경북
일직
단촌
예천
1:20
₩8,700
₩11,300(우등)
1일 6회
[27]
  • 안동 - 시외버스 대구북부-안동 참조. 1일 21회[28], 태백 종착[29]과 영양 종착[30] 버스가 있다.[31]
  • 영주 - 시외버스 대구북부-영주 참조. --1일 7회, 꽃동산 경유. 1일 2회 춘양에서 종착한다.
  • 봉화 - 1일 5회 [32]
  • 영양 - 1일 15회, 안동행 버스의 최종 행선지인 노선이 대부분이다.
  • 청송(진보면) - 안동 쪽 루트를 이용해 진보면으로만 가기 때문에 청송읍에 가려면 동대구터미널에서 타야 한다. 참고로 동대구발 청송행영천 경유.
  • - 김천행 중간 정류장으로 왜관남부/북부약목정류장에서 정차하며, 성주 직행이 사라져서 성주군을 가기 위해서는 250번 농어촌버스를 타거나 왜관북부정류장에서 성주로 가는 400번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중단.
  • 경주 - 8회
  • 포항 - 15회
그 외에 해운대행이 동대구용계역 경유로 있었으나, 2017년 2월 10일에 동대구터미널로 단축되었다.

4.5.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무주: 김천버스의 전신 대한교통에서 시외버스를 운영했을 때 운행했으며,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무풍정류장 등에 가보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재의 김천 85, 885번이 이 노선의 일부 구간을 지난다.
황간, 대전: 김천버스의 전신 대한교통에서 시외버스를 운영했을 때 운행했다.
부계면 대율리: 유일하게 한티재를 넘던 노선이었다. 2017년 9월 1일 동대구 - 군위 노선이 어느 정도 계승했으나 2018년 11월 7일 폐선되고 11월 23일 의성까지 연장된 대신의 한티재의 팔공산터널을 더 이상 지나지 않게 되었다.[33] 2019년 1월 11일부터는 칠곡 38번이 어느 정도 계승한다.
칠곡군 용수리: 현재는 칠곡 300번이 계승한다.
홍성, 서산:폐선된 후 동대구 - 서산 노선으로 부활했다. 다만 대구북부 출발과는 달리 홍성을 경유하지 않고 당진을 경유한다.
제천: 2002년 신설된 동대구 - 제천 노선으로 계승되었으며,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계열 노선 대거 노선 정리로 동서울행 완행을 마지막으로 폐선되었다.
인천, 안산, 수원, 오산: 인천은 동대구 - 인천 고속버스, 안산, 수원, 오산은 대구서부 - 인천 시외버스가 계승한다.
부산: 2018년 11월 23일 까지 운행했으며, 예천에서 출발해 지보, 풍양, 다인, 신락, 안계, 비안, 도리원, 군위, 효령, 구효령을 거치고 여기로 온 다음에 부산으로 갔다. 예천 - 대구북부는 대구완행 역할도 겸했던 셈.
구인사: 예천 완행처럼 부산에서 출발한 노선으로 2016년 6월 1일 영주 - 구인사 구간이 단축되었고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계열 노선 대거 감축으로 폐지되었다.
해운대: 2016년 12월 11일 까지는 대구동부를 경유했으며, 2016년 12월 12일~2017년 2월 9일 에는 동대구를 경유했다. 2017년 2월 10일 동대구로 단축되었다.
이천, 여주: 2019년 8월 12일 동대구 출발로 전환되었다. 하남, 경기광주 노선도 동대구 출발로 전환되었으며, 부천, 고양 노선은 이전부터 있었던 동대구발 노선에 통합되었다.
천평: 안동, 영양, 영주 노선이 경유했다. 2018년 6월 11일 천평정류장 폐쇄 이후로 폐선되었다.
성주: 현재의 250번 북부정류장 - 성주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과 250번 북부정류장 - 왜관 구간과 400번이 짬뽕된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나뉘어졌다. 더 과거에는 고령까지 운행했으며, 성주 - 고령구간은 현재의 성주 - 대구서부 노선대로 운행했다.
영월: 의성, 영주, 제천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아진고속, 경북고속에서 운행했으나 2008년 고유가로 인한 노선 감축으로 폐지되었다.
울진: 동대구발 노선과 달리 중앙고속도로, 영주, 36번 국도를 경유했으며, 2008년 고유가로 인한 노선 감축으로 폐지되었다.
동서울: 버스 동호인들에게 '''7시간'''노선이라는 명칭으로 유명했으며, 동대구동서울행 고속버스가 있고 춘천행 시외버스원주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하기 때문에 제천까지만 발권이 가능했다. 동대구-제천 노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천 발권이 가능한지는 의문. 영주, 안동 발권은 영주행 시외버스안동행 시외버스의 존재로 발권이 불가능하다. 반대로 동서울에서는 원주까지만 발권 가능하며, 제천 이남으로는 직통 노선이 따로 있어 발권이 불가능했다. 얼마 못가 폐선될 줄 알았는데 꽤 오랫동안 버티다가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계열 노선 대거 감축으로 폐선되었다.
선산, 고아, 해평: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정리로 폐선되었다.

5. 중간정류소



5.1. 태전동 정류소


칠곡IC 남쪽의 칠곡대백맨션 건너편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중간 하차한다. 칠곡 톨게이트를 찍고 나온 후 '''중앙고속도로 경유 노선에 한해 중간 하차만 가능하다.''' 경북 북부지역(안동발 완행, 의성, 지보 등등) 출발해서 28번 국도5번 국도를 타고 구효령 또는 천평까지 온 뒤에 가산IC다부IC부터 짧게 중앙고속도로를 타는 노선은 칠곡대백맨션이 아닌 칠곡지하도 시내버스 정류장(대구과학대학2 정류장(정류장 ID: 03129)) 인근에서 중간 하차한다. 중앙고속도로가 없던 시절부터 운행한 흔적인 듯.
중간 하차 후 태전고가 및 매천대교(혹은 팔금교)를 지나 북부정류장에서 운행을 종료한다.

6. 연계 시내버스 노선


과거에는 북부정류장을 경유하거나 기종점으로 삼는 시내버스 노선이 서부정류장남부정류장처럼 많았다. 그러나 1998년, 2006년 개편 등 여러 번의 개편으로 인해 폐선되거나 무정차(직선화) 및 칠곡 방면으로만 한정하여 돌리는 바람에, 현재는 많이 사라졌다. 특히 북부정류장을 기종점으로 삼는 대구 시내버스는 309번 하나만 남았을 정도며,[34], 북부정류장 구내의 시내버스 환승센터 1번 승강장이 309번 전용 종점이다. 터미널 안쪽에 있기 때문에 한 바퀴 돌고 나온다.
그래도 교통의 요지인 만큼 시내버스가 여전히 제법 많이 다니며 특이한 것은 동대구터미널, 서부정류장과 달리 북부정류장에는 내부에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환승센터처럼 3개의 승강장[35]이 있어서 북부정류장 구내에서 시내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시내 방면에 한정되고, 칠곡 방면으로 가는 시내버스를 타려면 북부정류장에서 나온 후 건너편에 있는 정류장에서 승차해야 한다[36]. 이는 평리동, 내당동, 두류역 쪽에서 올라오는 버스에서 내릴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단, 북부정류장이 종점인 309번이나 730번은 방향 관계 없이 모두 북부정류장 내부 시내버스 환승센터를 경유하는데, 730번같은 경우엔 보조행선판으로 시내 방면인지 칠곡(동명교통) 방면인지 알려 주기 때문에 잘 보고 타야 한다. 전용 종점이 있는 309번 외에는 정차 노선이 승강장마다 정해진 것도 아니다. 그 외 칠곡군, 성주군 농어촌버스 200번, 250-1번, 300번은 가끔 들어오고 250번은 20분마다 들어온다.
경관개선 사업 후 본래 4면 4선으로 운영된 환승센터는 공사 후 3면 3선으로 변경됐고, 롯데리아와 마주보고 있는 쪽 승강장이 폐쇄되어 인도블록이 깔렸다. 다만 확실히 원래 계획대로 상가가 철거되지 않아서 답답해 보이는 단점이 있긴 하다.

7. 연계 전철역


현재 가장 가까운 전철역으로는 버스로 10분 거리에 있는 2호선 두류역과 도보로는 3호선 만평역이 있다. 356번, 순환3(-1)번을 이용해 두류역으로 이동하여 환승할 수 있지만, 전술했듯이 RH 때 평리네거리까지 헬게이트급으로 차가 밀리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신삼거리(이마트 트레이더스 비산점)로 연결되는 도로를 통해 공단역으로도 갈 수 있지만, 이 길로는 노선버스가 칠곡/성주 농어촌버스만 경유하기 때문에 좋은 루트는 아니다.

8. 주변


서편 비산염색산단 방면에 대순진리회 회관이 있는데, 딱히 전도는 하지 않는 것같다.

8.1.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곳


[image]
북부정류장 주변은 예로부터 인근 서대구산업단지 및 비산염색산단과 칠곡, 구미 지역의 외국인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였으며 이들 수가 점차 늘어나게 되자 자연스레 북부정류장 주변 상가는 외국인들을 위한 상점들로 채워지기 시작했다. 한국인 사장에 통역으로 외국인 직원을 두는 곳은 흔하고, 외국인이 사장인 곳도 있다. 현재는 수많은 외국인 전용 상점들이 들어선 상태로 주변 상권을 책임지고 있어서 대구의 이태원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사실 이태원동과 비교하기엔 시설이 많이 낙후되어 있다. 규모는 외국인 근로자들과 동네 사람들 숫자가 꽤 많은지 방대한 규모를 자랑하지만 시설이 딱 1980년대삘이다. 덕분에 제노포비아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치안 문제를 거론하기도 하지만, 이 곳도 다양한 문화권의 음식을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음식을 먹으러 방문하는 사람들도 꽤 있는 편이다. 여담으로 북부정류장 내부에는 실제로 대구시 버스터미널 중 유일하게 도난다발 지역이니 소지품을 주의하라는 문구가 붙어있다.

8.2. 방공시설


[image]
[image]
[image]
대구광역시에서 몇 없는 민간개방 방공호 시설이 있는 정류장이다. 개찰구 서쪽 지하 계단 아래에 있으며 1970년대 말~1980년대 초에 만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대구에 있는 버스 터미널으로 치면 8개소 중 유일하게 존재한다. 심지어 지은지 몇년 안된 동대구터미널에도 없다. 다만 거기는 동대구역이 그 기능을 하니 문제가 없을지도 모른다. 동대구역에 방공 시설이 없다는 얘기가 있는데, 철도역이 아니라 넓디 넓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이 대피소다. 내부 구조는 매우 큰 편이며 무려 720m2의 넓은 공간, 자체적인 급수시설과 환기시설, 발전시설 그리고 기초적인 화생방 방호장비까지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사진을 보다보면 방공대피소가 '''반'''공대피소라고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공산당을 반대하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8.3. 금융기관, ATM


309번 전용 승강장 앞에 있는 터미널 출입구에 DGB대구은행ATM이 있으며, 터미널 구내에는 우체국신한은행ATM이 있다. 터미널 건너편에 있는 비산7동우체국 근처에 서대구농협 만평지점, 비산7동새마을금고가 있으며, 만평네거리에는 중소기업은행 비산동지점이 있다. 우리은행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건너편에 노원동지점이 있다.[37] 하나은행(구 외환은행), 국민은행, SC제일은행은 원대오거리로 이동해야 한다. 지금은 통합되었지만 과거 하나은행(구 하나은행)을 이용하고자 할 때 북부정류장에서 가까운 영업점은 감삼역 근처의 부산은행 대구영업부 옆으로 가야만 했다. 게다가 대구광역시 서구 관내에는 하나은행(구 하나, 외환)이 아예 없다. 한국씨티은행대구은행역으로 가야 한다. 터미널 건너편에 신한은행 비산동지점(대구광역시 서구 관내의 유일한 신한은행 지점)도 있었지만, 2016년 12월 31일 노원동의 3공단지점으로 통합하여 ATM만 남아 있다.

9. 기타


대구에서 강원도로 가는 군인들의 주요 집결지중 하나인데, 동서울터미널처럼 군인 대상 사기 등 범죄는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화장실 시설이 매우 낙후되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자동발매기가 성인 표만 발권되고 중고생 및 어린이 표는 발권되지 않는다. 할인을 받고 싶다면 모바일로 미리 예매하거나 창구에서 가가지고 신분증과 함께 중고생 및 어린이 표를 발권하면 된다.
터미널 왼편에는 코리아와이드의 사무실이 있다. 내부에는 매점이 하나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폐쇄되었다.
현 시점에서 원래 쓰던 시간표는 뒤집어놓고, 대신 임시 시간표를 박아놨다.

[1] 다만 북부~서부를 연결해주는 버스는 726번뿐이다.[2] 비산동 중 노원동 인근 지역은 원대동처럼 북구의 전화 국번을 사용한다. 북부정류장이 서구북구의 경계는 아니고, 만평네거리 이북 지역이 북구 노원동이다.[3] 대표적인 목적지로 원통이나 인제가 있다. 44번 국도 연선은 대부분 홍천에서 환승해야 한다.[4] 당시 코리아와이드 경북, 충남고속, 금남고속, 한양고속공동 배차했다.[5] 동대구 ↔ 춘천 고속버스 노선은 제외.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칠곡IC로 가기 위해 터미널 승차장에서 우회전하여 매천동으로 올라간다. 최근에는 고속버스들이 북부정류장을 통과하지 않고, 팔달교 북편 옆길로 P턴해서 신천대로로 바로 가는 코스로 간다.[6] 고한•태백, 인천공항[7] 02:20(심야),03:20(심야),05:20,07:40,12:10,17:20,23:20(심야)[8] 코리아와이드 진안 최초의 공항선이다[9] 2019년 2월 12일 개통. 일 6회는 구미, 상주(경북대)를 경유. 일1회(02:20)는 구미, 김천ic, 송도를 경유한다.[10] 운행횟수가 적고 구미와 상주를 경유하므로 주간 시간대에는 가급적이면 동대구터미널에서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11] 과거 춘천행과 원주-횡성-홍천행이 따로 있었다. 2017년 6월 1일 부로 서부정류장으로 연장되었으며, 이후 노선 개편 과정에서 홍천행과 춘천행이 하나로 통합되었다.[12] 1번 홈에서 탈 수 있다. 경쟁 노선은 동대구 ↔ 원주(고속), 동대구 ↔ 춘천(고속) 노선으로 원주행이 1일 7회, 춘천행이 1일 9회 운행된다. 과거에는 일반 요금으로 우등을 이용할 수 있는 데다가 원주-횡성-홍천행과 춘천행이 분리되어 있어 북부정류장 노선이 매력적이었으나, 두 노선이 통합되고 우등할증이 적용되면서 이러한 메리트가 없어졌다. 특히 춘천으로 가는 승객은 동대구에서 탑승하는 것이 요금이나 좌석 확보 면에서 더 낫다. 그리고 북부정류장과 멀지 않은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도 경유한다.[13] 중간 승하차 때문에, 홍천발 하행은 거의 북부까지 3시간 30분을 안 넘긴다.[14] 동대구터미널 4층에서도 이들 지역으로 갈 수 있으나, 7번 국도를 경유하는 완통 노선이다. 따라서 북부정류장에서 탑승하는 것이 월등히 낫다.[15] 2018년 10월 현재 전회 우등만 투입한다.[16] 영주 경유는 2018년 11월 23일에 폐지되어 춘양으로 단축되었다.[17] 북부정류장에서 청주로 가려면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으로 가면 된다.[18] 2018년 11월23일 부로 완행노선 운행 중단.[19] 전회 우등고속.[20] 시외버스 대구-충주 참조. 1일 4회 동대구 출발.[21] 남구미IC 진입 후, 주공, 공단 경유[22] 일반요금 5600원 우등요금 7300원 [23] 운행 횟수는 오전 2회, 오후 2회 모두 하루 4회로 2015년 3월 2일 개통되었다. 2008년 구미-인동-북대구 노선이 수익성 하락으로 폐선된 후 비록 구미종합터미널까지 가지 않지만 7년 만에 부활한 셈이다. 현재 구미 강동권에는 시외버스 터미널이 없어서 인근 대구로 나가려면 반드시 강 건너 공단동 주공정류소, 공단본부정류소, 원평동 구미종합터미널까지 나가야 했는데 그 문제가 사라진 셈이다. 무엇보다 대구에서도 구미 강동권으로 갈 수 있는 노선이 다시 생겼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다만 출퇴근 수요를 노린 노선이라 운행 횟수는 많지 않다.[24] 북부정류장 요금표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아 인동, 옥계 경유 상주행 버스는 폐선된 듯하다.[25] 실제 시간표상 운행 패턴은 김천에서 운행을 종료하는 차량보다는 김천에서 3번 국도를 따라 상주, 점촌을 거쳐서 예천, 안동, 영주, 청주(당시 김천 면허만) 등까지 가는 경우도 많다. 과거에는 충청북도로 넘어가서 추풍령, 황간을 거친 다음 49번 지방도를 따라 화령까지 가는 노선도 있었다.[26] 시외버스 대구북부-지보 참조.[27]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 예천삼거리 경유[28] 의성경유 6회[29] 3회[30] 15회[31] 안동 종착 3회[32] 안동 경유3회, 영주 경유2회[33] 중앙고속도로5번 국도가 정체되는 명절때 우회도로로 가끔씩 지나다닌다는 이야기가 있다.[34] 309번 뒷쪽에서 대기하고 있는 연두색 버스들도 있는데 이들은 경일교통에서 운행하는 250번, 200번, 300번이며 칠곡, 성주 소속 농어촌버스이다.[35] 원래는 서울시내버스 환승센터 정류장갯수보다 1개 더 많은 4개였으나 , 경관개선 사업으로 롯데리아 쪽으로 마주보는 1개가 폐쇄되고 그 자리에는 인도블럭이 깔렸다.[36] 724번이 대표적이다. 시내>칠곡방면은 북부정류장 밖의 정류장을 쓰지만 칠곡>시내방면은 북부정류장 안의 정류장을 이용한다.[37] 풍국면 공장 근처에 있다가 2015년 8월 10일 비산7동으로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