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오 칼다라

 

[image]
칼다라의 초상화. 작자미상
'''Antonio Caldara'''
'''출생'''
1670년 [image]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사망'''
1736년 12월 28일(향년 67세) [image] 신성 로마 제국
'''직업'''
작곡가, 첼리스트
'''서명'''
[image]
1. 개요
2. 생애
2.1. 1699년 ~ 1707년
2.2. 1708년 ~ 1715년
2.2.1. 스페인으로의 여행
2.2.2. 다시 로마로
2.3. 1716년 ~ 1736년
3. 음악 세계
4. 작품목록
4.1. 오페라
4.2. 오라토리오
5. 관련 문서


▲오라토리오 《그리스도 발 아래 막달레나''Maddalena ai piedi di
Cristo''》 中 막달레나의 아리아 '쓸모없는 장신구Pompe inutili'

▲신포니아 C장조[1]

'''칼다라는 교회나 극장, 어느 쪽이든 이탈리아가 자랑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이다.'''

― 찰스 버니


1. 개요


이탈리아 태생의 바로크 작곡가. 신성 로마 제국의 궁정 악장의 자리까지 올라가면서 엄청난 명성을 누렸던 작곡가이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칼다라의 마그니피카트 중 한 악장을 골라 성부에 두 바이올린을 추가한 필사본을 만들었고[2], 게오르크 필리프 텔레만은 작곡에 있어서 칼다라를 모델로 삼았다고 전해지며, 모차르트는 칼다라의 카논 중의 일부를 자신의 카논에 사용했다. 위와 같이 타 작곡가들의 귀감이 된 음악가였으나 지금의 대우는 시궁창.

2. 생애


1670년,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주세페 칼다라(Giuseppe Caldara)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나 악기를 산 마르코 대성당 음악감독이었던 조반니 레그렌치(Giovanni Legrenzi)로부터 배웠을 가능성이 높다. 나중에는 레그렌치가 부임하고 있었던 산 마르코 대성당의 음악감독에 임명된다.
1698년까지는 베네치아에 계속 거주하면서 가끔 다른 도시로 여행을 다녔다. 이미 베네치아 시절에 몇몇 소나타나 오라토리오 등을 썼는데, 이 시기에 작곡된 작품들로는 그나마 르네 야콥스의 음반으로 유명한 《그리스도 발 아래 막달레나''Maddalena ai piedi di Cristo''》나 《금욕의 승리''trionfo della continenza''》, 트리오 소나타 Op. 1 등이 있다.

2.1. 1699년 ~ 1707년


[image]
1699년 베네치아에 출판한 《독창을 위한 실내 칸타타''Cantate da camera a' voce sola''. Op.3》 표지
칼다라는 베네치아를 떠나 만토바[3]로 갔는데, 그곳에서 '교회와 극장 음악감독maestro di cappella da chiesa e dal teatro' 자리에 임명되었다. 만토바의 공작 샤를 4세는 오페라에 엄청난 열기를 보였는데, 아마 칼다라에게는 오페라나 극음악을 마음껏 작곡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을 것이다. 문제는 공작이 오페라에 과도한 돈을 쏟아부었기 때문에 만토바의 재정이 피폐하게 된 것(...). 칼다라는 1707년에 만토바를 떠났는데, 떠난 이유는 확실치 않다. 이 시기의 작품은 특히 오페라가 많이 남아있는 편.

2.2. 1708년 ~ 1715년


만토바를 떠난 칼다라는 이탈리아 남쪽으로 내려가 로마에 잠시 정착했는데, 아마 헨델코렐리, 스카를라티 등의 음악가들을 만났을 확률이 대단히 높다. 로마 채류 중에 칼다라는 종교적 오라토리오나 미사곡, 그 당시 교황 알렉산데르 8세의 조카였던 추기경 피에트로 오토보니을 위한 곡과, 칸타타나 오페라도 작곡했다. 이 오토보니 추기경은 예술 애호가여서 음악가나 예술가를 후원하는 대인배였을 뿐만 아니라 작곡가들을 위해 직접 대본도 써주었기 때문에 음악가들은 로마에서 종교적인 오라토리오 같은 곡들을 연주할 수 있었다. 1708년 헨델도 자신의 오라토리오 '부활'[4]을 로마에서 연주하였다[5].

2.2.1. 스페인으로의 여행


당시 스페인에는 신성 로마제국 황태자였던 카를 6세가 머물고 있었다.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혈통이 끊어져 버렸는데 이걸 카를 6세가 자기가 후계자라고 눌러앉아 버린것(...). 아무튼 카를 6세는 1711년까지 스페인에 머물렀다. 1708년에는 카를 6세와 브라운 슈바이크 볼펜뷔텔 공국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의 결혼식이 있었는데, 그때 딱 칼다라가 바르셀로나에 도착한 것. 칼다라는 이 결혼식을 위해 동년 8월 2일 자신의 오페라 《가장 아름다운 이름''Il più bel nome''》을 연주했는데 이 오페라는 스페인에서 처음으로 연주된 이탈리아어 오페라라고 한다. 왕가의 환대에도 불구하고 칼다라는 다시 로마로 돌아갔지만 카를 6세와의 인연은 칼다라가 죽을 때까지 계속된다. 칼다라는 1709년 겨울에 다시 바르셀로나를 찾아서 카를 6세의 명명일을 기념하는 오페라 《가장 영광스러운 이름''Il nome più glorioso''》을 연주했다.

2.2.2. 다시 로마로


[image]
1대 체르베테리 공작
프란체스코 루스폴리 공(1672~1731)
1709년 초에 로마로 돌아온 칼다라는 헨델의 후임으로 체르베테리의 왕자인 프란체스코 마리아 루스폴리의 악단의 카펠마이스터직을 획득했는데 로마를 떠나 빈으로 가는 날까지 칼다라는 안정적인 환경에서 음악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또 이곳에서 1711년 알토 가수인 카테리나 페톨리(Caterina Petrolli)와 결혼한다.
안정적인 직장이 보장되었던 로마 음악감독을 맡고 있음에도 칼다라는 유럽 이곳저곳으로 여행을 많이 다녔다. 마침 1711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요제프 1세가 사망하면서, 칼다라의 열렬한 후원자인 카를 6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는 것은 뻔한 일이었다. 칼다라는 교황령 로마보단 당시 유럽의 중심이자, 제국의 수도였던 빈이 황제의 후원을 받으며 더 안정적이게 살아갈 수 있다고 믿었던 듯 하다. 그런데 칼다라가 원하던 빈 궁정 악장 자리는 공석이 아니라 마르크 안토니오 지아니가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시 직장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계속에서 칼다라는 여러 오라토리오를 무대에 올려 성공을 거두고, 1715년에는 볼로냐의 프라텔리 실바니 출판사에서 12곡으로 이루어진 《2. 3성 모테트집''Motetti a due e tre voci'', Op.4》을 출판하고 오토보니 추기경에게 헌정하는 등 작곡가로써의 입지를 굳혔다.
1715년, 빈 궁정 악장이었던 지아니가 타계함으로써 칼다라는 다시 한 번 빈으로 갔으며[6], 지아니가 타계하기 전까지 부악장이었던 요한 요제프 푹스가 궁정 악장으로 승진하게 되고, 칼다라가 부악장이 된다.

2.3. 1716년 ~ 1736년


아마 이 시기에 엄청난 수의 오라토리오와 오페라, 종교곡이 남아있는 걸로 봐서는 칼다라는 악장인 푹스보다도 더 바빴던 듯 하다.[7] 실제로 칼다라는 극장에서 상연될 종교적 오라토리오나 성당에서 연주될 미사곡 작곡 외에도 왕실 행사 음악, 황제와 왕비의 생일, 축일 등에는 오페라를 제공해야 했고 뿐만 아니라 높으신 분들이 의뢰한 세속적인 음악들도 작곡해야 했다.
[image]
언제나 칼다라에게 열럴한 후원을 마다하지 않은
카를 6세와 엘리자베스 크리스티네 부부
아무튼 카를 6세는 그의 음악에 매우 만족스러워했고 국내외에 명성이 자자했다. 살아생전에 거장이라고 불린 그는 죽기 1달 전에도 그의 마지막 오페라 '테미스토클레스'를 무대에 올렸을 정도로 정열적으로 일했고 1736년 12월 28일에 생을 마감한다.

3. 음악 세계



트리오 소나타 op.1 중 5번, e단조
지금까지 남아있는 칼다라의 곡은 3000곡(...)이 넘는다. 다만 아직까지 음악학자들이 붙인 칼다라의 작품번호는 아직 없다. 그가 남긴 음악들로 봐서 작품번호 붙이는 시간은 오래 걸릴 듯 하다. 엄청나게 다양한 장르에 손을 대어 기악곡은 물론이고 마드리갈, 시편, 모테트, 봉헌 성가 등 거의 작곡하지 않은 장르가 없다..
칼다라는 음악가로서는 최고의 지위인 신성 로마 제국의 부악장으로 재임하면서 당시의 인기 작가였던 아포스톨로 제노, 피에트로 메타스타지오 등과 협력하여 수많은 작품을 썼는다. 그가 최초로 손댄 대본들은 동료나 후배 작곡가들 여러명이 돌려쓸 정도로 인기 있었고 이로 인하여 당시의 오페라 세리아 유행을 주도하던 최고 유행 작곡가였다. 모차르트의 작품으로 유명한 《티토의 자비''la clemenza di tito''》 역시 메타스타지오의 대본에 칼다라가 최초로 곡을 붙인 것.
또한 그의 오라토리오의 유명세는 오페라 못지 않았는데, 한 세대 뒤의 음악학자 찰스 버니는 칼다라를 '''헨델 이전 최고의 오라토리오 작곡가'''라고 극찬한 바 있고 요한 고트프리드 발터 역시 그가 편찬한 『음악사전』 칼다라 항목에서 칼다라의 오라토리오 《슬픔의 왕''Il Re del dolore''》과 《요셉''Giuseppe''》을 언급하는 등[8] 그의 오라토리오 역시 대단히 인기있었던 장르임을 알 수 있다. 바로크 후기에 이탈리아 양식의 오페라와 오라토리오가 가장 융성했던 장소가 런던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칼다라는 신성 로마 제국 음악계의 중심에서 활동하며 이탈리아 양식의 극음악들을 정점으로 끌어올린 작곡가 중 한 명이라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이러한 칼다라 살아생전의 명성과 높은 음악성과는 달리, 그의 극음악들은 현재에는 거의 연주되지 않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그 중에서도 몇몇 아리아들은 현재까지 자주 연주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당시로써는 생소했던 덜시머[9]를 오라토리오에서 오블리가토 악기로 자주 사용한 작곡가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는 1726년 작 오라토리오 《꿈을 풀이하는 요셉''Gioseffo che interpreta i sogni''》 中 요셉의 아리아, Libertà cara e gradita(친애하고 환영하는 자유여!)가 있겠다.
칼다라의 남긴 기악곡을 살펴보자면, 몇 곡의 신포니아와 두 개의 트리오 소나타 앨범 그리고 첼로 소나타 정도가 남아있다. 그나마 현대에 자주 연주되는 칼다라의 성악곡 중에는

미사 돌로로사(Missa Dolorosa)와

슬픔의 성모(Stabat mater) 등이 있다.
아래 표 중 옅은 녹색으로 돼 있는 작품은 콜라보레이션 작품, 분홍색으로 되어 있는 작품은 소실된 작품이다.

4. 작품목록


[image]
1720년경 작곡한 칼다라의 그라두알레 《할렐루야, 말하세''Alleluia dicite''》의 자필악보. 베를린 국립도서관

4.1. 오페라


'''작곡년도 또는 초연일'''
'''제목'''
'''구성'''
'''대본'''
'''기타'''
초연일: 1689년 가을, 베네치아
아르게네L'Argene
3부
파올로 에밀리오 바디Paolo Emilio Badi
대본
초연일: 1696년 가을, 베네치아
티르시Il Tirsi
5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10]
초연일: 1697년 봄, 베네치아
첫 약속의 지킴La promessa serbata al primo
3부
?
대본
초연일: 1698년 베네치아 또는 1700년 로마
진지한 망은L'ingratitudine castigata
3부
프란체스코 실바니Francesco Silvani
대본
초연일: 1699년 12월 6일 만토바, 1700년 1월 개작하여 베네치아
꿈의 신탁L'oracolo in sogno
3부
프란체스코 실바니Francesco Silvani
대본 [11]
초연일: 1703년 11월 19일, 베네치아
파르나체Farnace
3부
로렌초 모라니Lorenzo Morani

초연일: 1705년 제노바의 카니발
아르미니오L'Arminio
3부
안토니오 살비Antonio Salvi
대본
초연일: 1707년 11월 20일 베네치아
야만적인 영웅Il selvaggio eroeo
5부
지오반니 프리메리카 로베르티Giovanni Frigimelica Roberti
대본
초연일: 1708년 8월 2일 바르셀로나
가장 아름다운 이름Il più bel nome
1부
피에트로 파리아티Pietro Pariati

초연일: 1708년 가을 베네치아
소포니스바Sofonisba
3부
프란체스코 실바니Francesco Silvani

초연일: 1709년 볼로냐
관대한 적L'inimico generoso
3부
?

초연일: 1709년 11월 4일 바르셀로나
가장 영광스러운 이름Il nome più glorioso
1부
피에트로 파리아티Pietro Pariati

초연일: 1709년 바르셀로나 , 개작하여 1716년 9월 16일 브라운슈바이크, 다시 한 번 개작하여 1718년 11월 14일 함부르크
아테나이데L'Atenaide
3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12]
초연일: 1711년 1월 4일, 로마
아나일다L'Anagilda
3부
지롤라모 지그리Girolamo Gigli

작곡년도: 1711년[13]
유니우스 브루투스Giunio Bruto[14]
3부
주세페 지니발디Giuseppe Sinibaldi
[* 합작 오페라. 1부는 카를로 프란체스코 체사리니, 2부는 칼다라, 3부는 알렉산드로 스카를라티.
초연일: 1714년 1월 10일, 로마
티토와 베레니케Tito e Berenice
3부
카를로 지기스몬도 카페체Carlo Sigismondo Capece
대본
초연일: 1714년 11월 19일 빈
아테나이데L'Atenaide
3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15]
초연일: 1716년 여름, 잘츠부르크
환희il giubilo della salza
3부
로시R. M. Rossi

초연일: 1721년 11월 4일, 빈
호르미즈드, 페르시아의 왕Ormisda, re di Persia
3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25년 11월 4일 빈
벤체슬라오il Venceslao
5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27년 8월 28일 빈
이메네오Imeneo
3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28년 11월 4일 빈
미트리다테Mitridate
3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30년 프라하
비도의 처벌La pravità castigata

안토니오 덴치오Antonio Denzio

초연일: 1731년 빈
소크라테스의 인내와 두 아내La patienza di Socrate con due mogli
3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1년 11월 4일 빈
데메트리오il Demetrio
3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1년 11월 19일 빈
리비아Livia
1부
지오반니 클라우디오 파스퀴니Giovanni Claudio Pasquini

초연일: 1731년 11월 19일 빈
리비아Livia
1부
지오반니 클라우디오 파스퀴니Giovanni Claudio Pasquini

초연일: 1732년 8월 28일 린츠
사랑의 도피L'asilo d'amore
1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2년 11월 9일 빈
시리아의 아드리아노Adriano in Siria
3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3년 1월 27일 빈
산초 판차, 바라티리아 섬의 총독Sancio Panza governatore dell'isola Barattaria
3부
지오반니 클라우디오 파스퀴니Giovanni Claudio Pasquini

초연일: 1733년 8월 8일 빈
올림피아드L'Olimpiade
3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3년 10월 1일 빈
아우구스투스의 탄생Il natale d'Augusto
3부
지오반니 클라우디오 파스퀴니Giovanni Claudio Pasquini

초연일: 1733년 11월 4일 빈
데모폰테Demofoonte
3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4년 10월 1일 빈
아우구스투스의 찬양Le lodi di Augusto
3부
지오반니 클라우디오 파스퀴니Giovanni Claudio Pasquini

초연일: 1734년 11월 4일 빈
티투스의 자비La clemenza di Tito
3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5년 빈의 카니발
중국 여자Le Cinesi
1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5년 8월 28일 빈
미네르바와 트리톤의 탄생Il natale di Minerva Tritonia
1부
지오반니 클라우디오 파스퀴니Giovanni Claudio Pasquini

초연일: 1735년 8월 28일 빈
고마운 복수Le Grazie vendicate
1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대본
초연일: 1735년 11월 4일 빈
대 스키피오Scipione Africano il maggiore
1부
지오반니 클라우디오 파스퀴니Giovanni Claudio Pasquini

초연일: 1736년 8월 28일 빈
키루스Ciro riconosciuto
3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6년 11월 4일 빈
테미스토클레스Il Temistocle
3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4.2. 오라토리오


'''작곡년도 또는 초연일'''
'''제목'''
'''구성'''
'''대본'''
'''기타'''
초연일: 1697년, 베네치아
금욕의 승리il trionfo della continenza

베르나르도 산드리넬리Bernardo Sandrinelli
대본
초연일: 1698년 베네치아, 그 뒤 각지에서 여러번 재공연
미식가 부자Il Ricco epulone
2부
베르나르도 산드리넬리Bernardo Sandrinelli

초연일: 아마도 1700년 전, 베네치아, 다시 1713년에 베네치아에서 연주
그리스도 발 아래의 막달레나Maddalena ai piedi di Cristo
2부
로도비코 포르니Lodovico Forni

초연일: 아마도 1700년 경, 베네치아 또는 만토바, 로마에서 1711년 연주
순결의 기만La frode della castità

?

초연일: 1700년 경 베네치아 또는 만토바, 그 뒤 각지에서 여러번 재공연
사랑의 질투Le gelosie d'un amore
2부
자코모 가브리엘리Giacomo Gabrieli

초연일: 1700년 경 베네치아 또는 만토바, 그 뒤 각지에서 여러번 재공연
순결의 승리il Trionfo della innocenza
2부
?

초연일: 1705년 로마, 그 뒤 여러번 재공연
위험 앞에 놓인 순결La Castità al cimento
2부
피에트로 오토보니Pietro Ottoboni

초연일: 1708년 로마
성 카테리나의 순교il martirio di Santa Caterina
2부
프란체스코 포르조니 아콜티Francesco Forzoni Accolti

초연일: 1710년 3월 16일 로마
로마의 성 프란치스코Santa Francesca Romana
2부
?

초연일: 1713년 3월 5일 로마
성 스테파노San Stefano
2부
?

초연일: 1713년 3월 10일 로마
성 페르마Santa Ferma
2부
?

초연일: 1713년 3월 24일 로마
성 수태고지La Santissima Annunziata
2부
?

초연일: 1713년 로마
성 플라비아 도미틸라Santa Flavia Domitilla
2부
?

초연일: 1715년 3월 31일 로마
아비사Abisai
2부
?

초연일: 1715년 4월 7일 로마
예프타Jefte
2부
?

초연일: 1715년 4월 14일 로마
클로비스의 회심La conversione di Clodoveo
2부
카를로 지기스몬도 카페체Carlo Sigismondo Capece

초연일: 1715년 4월 21일 로마
압살롬의 반역La Ribellione d'Assalonne
2부
?

초연일: 1717년 3월 25일 빈
십자가형을 받으신 그리스도Cristo condannato
2부
피에트로 파리아티Pietro Pariati

초연일: 1718년 9월 1일 빈
성 테렌티우스의 순교Il martirio di San Terenziano
2부
주세페 피젤리Giuseppe Piselli

초연일: 1719년 빈
예리코의 몰락La Caduta di Gerico
2부
알레산드로 가르지에리아Alessandro Gargieria

초연일: 1720년 2월 23일 빈
압살롬Assalone
2부
자코모 안토니오 베르가모리Giacomo Antonio Bergamori

초연일: 1722년 2월 25일 빈
에스더Ester
2부
프란체스코 포지오Francesco Pozio

초연일: 1722년 3월 12일 빈
요셉, 야곱과 라헬의 아들Giuseppe, figliuolo di Giacobe e di Rachele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22년 3월 31일 빈
슬픔의 왕Il re del dolore
2부
피에트로 파리아티Pietro Pariati

초연일: 1723년
에스더Ester
2부
프란체스코 포지오Francesco Pozio

초연일: 1724년 빈
그리스도의 죽음과 무덤Morte e Sepultura di Christo
2부
프란체스코 포지오Francesco Pozio

초연일: 1725년 3월 23일 빈
이사야의 복음적 내용Le profezie evangeliche di Isaia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26년 빈
요아스, 유대의 왕Gioas re di Giuda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26년 3월 28일 빈
꿈을 풀이하는 요셉Gioseffo che interpreta i sogni
2부
아포스톨로 제노Giovanni Battista Neri

초연일: 1726년 잘츠부르크
망자의 소생Il morto redivivo[16]
2부
카스토레 몬탈바노Castore Montalbano

초연일: 1727년 3월 27일 빈
세례자 요한Il Batista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28년 3월 4일 빈
요나단Gionata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29년 3월 31일 빈
나봇Naboth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30년 4월 4일
우리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La passione di Gesu Christo Signor Nostro
2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2년 3월 20일 빈
갈보리의 성 엘레나Sant’Elena al Calvario
2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2년 4월 8일 빈
아벨의 죽음La Morte d'Abel
2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초연일: 1732년 3월 27일 빈
세데치아Sedecia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33년 3월 31일 빈
예루살렘의 귀의Gerusalemme convertita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34년 4월 20일 빈
카이사리아의 성 베드로San Pietro in Caesarea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초연일: 1735년 4월 5일 빈
성전에 봉전된 예수Gesu presentato nel Tempio
2부
아포스톨로 제노Apostolo zeno


5. 관련 문서



[1] 트럼펫 2대, 팀파니, 오보에 2대, 바순 2대, 바이올린, 현악기와 통주저음을 위한 곡[2] BWV번호는 1082번이다.[3] 이탈리아 북부에 있는 도시로, 흔히 만투아라고 부른다.[4] la resurrezione, 이탈리아어 오라토리오로 HWV 47번이다.[5] 단, 초연의 지휘는 아르칸젤로 코렐리.[6] 1714년에 지아니와 합작 오페라를 빈 무대에 올린 걸로 봐서는 그 전에도 여러 번 빈으로 여행 온 듯 하다.[7] 실제로 이 시기에 칼다라는 오페라만도 60개를 썼는데 푹스는 10개 정도밖에 없다. 아마 푹스의 건강이 좋지 않았던 것도 한 몫 했을 것이다. 심지어 부악장이었던 칼다라의 연봉이 악장이었던 푹스보다도 더 높았다![8] 사실 두 오라토리오 뿐만 아니라 칼다라의 기악곡도 짤막하게 언급된다.[9] 필사본에서는 살테리오(salterio)라고 지칭되고 있다.[10] 총 5부로 이루어진 합작 오페라인데 각각 1부는 안토니오 로티, 2부는 칼다라, 3부는 아틸리오 아리오스티가 작곡했고, 나머지 4부와 5부의 작곡가는 불확실하다.[11] 3부의 합작 오페라. 1부가 칼다라, 2부는 안토니오 퀸타발레, 3부는 카를로 프란체스코 폴라로로가 작곡.[12] 3부의 합작 오페라. 1부는 안드레아 스테파노 피오레, 2부가 칼다라, 3부는 프란체스코 가스파리니가 작곡.[13] 아쉽게도 공연되지는 않았다.[14] 또는 타르퀴니아의 가을La caduta de' Tarquini.[15] 위의 아테나이데와 대본은 같지만 작곡가나 음악은 다르다. 1부를 마르크 안토니오 지아니가, 2부를 안토니오 네그리, 3부를 칼다라가 각각 작곡했다.[16] 또는 성 안토니오(Sant' Anton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