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자식들
1. 이철용의 소설
이철용이 쓰고 황석영이 검수를 맡은 소설이다.
첫 출판시에는 황석영의 작품으로 알려졌지만 나중에 이철용의 작품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이철용 자신이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그려낸 일종의 르포소설로 이동철이 어렸을때 장애를 앓아 불우한 어린시절을 보냈고, 자신을 놀리던 행상을 찌른것을 계기로 기동서방 노릇을 하거나 시골처녀를 꼬셔서 창녀로 전업하게 만들거나 시비가 붙은 손님들을 처리하는 양아치짓을 하며 젊은 시절을 보내다가 노조의 파업과 교도소 생활을 계기로 깨달음을 얻고 출소후에 야학을 열다는 줄거리를 중심으로 주변인물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1970년대 당대 뒷골목의 생생한 풍경을 담았다는 점때문에 베스트셀러로 등극하게 되었고, 어둠의 자식들은 유행어가 되어서 현재까지도 농담조로 언급되고 있는 소설이 되었다.
어두운 방에서 불을 켜지 않고있을때 어둠의 자식들이라고 하는것이나 군대에서 현역병을 어둠의 자식들이라면서 반 농담조로 지칭하는것도 기실 다 이 작품의 제목에서 유래되어 유행한 단어다.
2. 영화
위의 소설을 영화화 해서 1981년 개봉한 작품으로 돈이 없어 병을 고치지 못하고 딸을 잃은 윤락녀가 다른 윤락녀가 딸을 낳은 직후 죽자 그 고아를 양녀 삼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소설에서는 이동철을 주연으로 여러 인물들을 다루는 식이라면 영화판에서는 영애가 주연으로 나온다. 소설상에서 영애의 비중은 매우 낮지만 영애를 주연으로 내세운것은 당대의 검열을 의식해서인 점이 컸다.
또한 당대의 관행(?)으로 인해서 포스터와 실제 내용의 차이가 커서 못 청소년들이 야한 영화라고 생각했다가 낚였다는 후일담도 존재한다.[1]
참고로 2부도 존재한다. 2부의 제목은 바보선언인데 당시로서는 꽤 흥행했다.
3. 관용어
학생시절 한번 쯤은 들어봤을 관용구.
주로 어두운 방에서 불을 켜지 않고 있을 때, 부모나 교사가 불을 켜며 으레 "너네가 어둠의 자식이냐?"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별 맥락없이 쓰이는 관용어지만 사실은 상술한 소설과 영화에서 유래한 유행어이다. 다만 어둠의 자식들이 당대에는 유명한 작품이기는 했어도 교과목에 포함될 정도로 잘 읽혀지는 작품은 아니다보니까 학생들 입장에서는 아재개그처럼 별 재미를 못느끼는 것이다.
3.1. 군대에서
군대 관련으론 현역으로 병역을 이행하게 되는 대다수의 국민을 말한다.
반대말로 전시근로역, 병역면제자를 뜻하는 신의 아들이 있다. 1990년대 초중반 당시의 농담으로 병역을 얼마나 쨀 수 있었느냐를 가지고 「신의 아들[2] > 사람의 아들 > 장군의 아들 > 어둠의 자식들」 이라고한다. 당대의 유명한 소설이나 만화, 영화 이름을 패러디해서 병역 현실을 풍자한 유머다.
외국 국적을 가지거나 돈이나 인맥이 없는데다 보충역 혹은 면제사유가 없다면, 일단 닥치고 현역으로 가야 하는 불행한 상황 외에는 다른 도리가 없다.
돈이나 인맥을 쓰지 않고도 사병보다는 다소 편하게 병역의 의무를 수행할 방법이 있기야 하나 솔직히 뭘 한다 해도 아예 안 가거나, 민간인 신분의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는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더군다나 간부의 경우 일반 병보다 더욱 무거운 책임이 부과되며 복무 일수도 훨씬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