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중학교(부산)

 



[image]
학교 전경[1]
'''연천중학교
蓮泉中學校
Yeoncheon Middle School
'''


<colbgcolor=gray> '''개교'''
1983년
'''유형'''
일반계 중학교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최상호
'''교감'''
허남국
'''교훈'''
공부하자 효도하자 건강하자
'''교화'''
연꽃
'''교목'''
소나무
'''학생 수'''
443명(남 156명, 여 287명)
(2020년 기준)
'''교직원 수'''
40명(남 14명, 여 26명)
(2020년 기준)
'''관할 교육청'''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주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톳고개로 16 (연산동)
'''홈페이지'''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목 및 교화
3.3. 교훈
3.4. 교가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5.1. 본관
5.2. 별관
5.3. 그 외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6.2. 학과
7. 운동부
8. 출신 인물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9.2. 철도
10. 기타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토곡에 위치한 남녀공학 공립 일반계 중학교로 1983년에 개교했다.

2. 학교 연혁


1982년 12월 27일: 연천중학교 설립 인가(30학급)
1983년 3월 1일: 조우식 초대 교장 취임
1983년 3월 5일: 개교 및 제1회 입학식(10학급 644명)
1986년 2월 14일: 제1회 졸업식(졸업생 642명)
1986년 6월 5일: 제1회 연송제(학예전) 개최
2002년 2월 20일: 교지 <연송> 창간호 발간
2002년 3월 1일: 남녀공학으로 변경[2][3] [4]
2004년 11월 20일: 교사 별관 3층 신축 완공 (실내씨름장, 모둠실 4실 등)
2013년 9월 2일: 제12대 최방희 교장 취임
2015년 2월 12일: 제 30회 졸업식(222명, 누계 13,101명)
2015년 3월 2일: 제 33회 입학식(184명, 총재적수 670명)
2015년 10월 29일 : 제18회 연송제 개최
2016년 2월 15일 : 제31회 졸업식(256명, 누계 13,357명)
2016년 3월 2일 : 제 34회 입학식(191명, 총제적수 : 603명)
2017년 2월 13일 : 제32회 졸업식(212명, 누계 : 13,569명)
2017년 3월 1일 : 제13대 최영숙 교장 취임
2017년 3월 2일 제35회 입학식(146명 총 제적수 534명)
2017년 11월 22일 : 화장실 개령사업, 노후 에어컨 교체
2018년 1월 26일 : 건물 외벽 도색 공사
2018년 2월 12일 : 제33회 졸업식(191명, 누계 : 13,760명)
2018년 3월 2일 : 제36회 입학식(158명, 총제적수 501명)
2018년 10월 30일 : 수배전반교체, 소방시설 수리, 공기청정키드설치
2019년 2월 1일 : 제34회 졸업식(198명, 누계 13,958명)

3. 교훈 및 상징


출처: 연천중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3.2. 교목 및 교화


교목
교화
소나무
연꽃

3.3. 교훈


'"공부하자 효도하자 건강하자"'


3.4. 교가


[image]

4. 학교 특징


부산 시내에 위치한 학교답게 배산 올라가는 길 중간에 학교가 위치해있어 고분로에서부터 학교까지의 길이 꽤나 가파르다. 주변에는 주거지만이 위치해 있어 꽤나 조용하다. 대신 근처에 상점이 없다(...)[5] 교내 매점을 적극 애용하도록 하자. [2020년1학기]

5. 학교 시설



5.1. 본관


총 5층의 건물이다.
1층은 가사실,기술실과 3학년 교실이 있다
2층은 교무실이고 별관 연결통로가 있고,리딩게이트실도 있다,
3층은 3학년 교실과,수학실이 있다
4층은 2학년 교실과,도서실이 있다.
5층은 1학년 교실이며,강당이 있다
,,
각 층의 양 끝에는 공통적으로 운동장에서 건물을 바라보았을 때의 기준으로 왼쪽에는 남자화장실, 오른쪽에는 여자화장실이 있다. 다만, 2층의 양 끝에는 교사 화장실이 있다.[6] 계단은 층 마다 건물 양 끝, 중앙에 위치한다. 그리고 건물 왼쪽 끝 계단의 맞은편에 엘리베이터가 있다.[7] 1층에는 왼쪽부터 급식실, 가사실, 스포츠실[A], 교실 2개, 교사 화장실, 숙직실, 행정실, 회의실, 교장실, 위클래스 상담실, 개별실[8], 기술실이 있다. 2층에는 생물실, 인쇄실, 화학실, 교사 식당, 보건실, 남교사 휴게실, 여교사 휴게실, 방송실[9], 교무실, 영어교과실 [11], 별관 통로가 있다. 3층에는 미술실2, 물리실, 교실 4개, 수학교과1~4실, 미술실1이 있다. 4층에는 무용실, 도서실, 문서고[A], 국어교과1실[A],교실 6개, 음악실1이 있다. 5층에는 강당, 국어교과2실[A], 교실 2개, 복지실, 진로실, 교실 3개, 음악실2가 있다.

5.2. 별관


총 3층의 건물이다. 놀랍게도 두 개의 층이 영어교과실로만[12] 이루어져 있다. 이 건물의 이름은 English Zone이다. 1층은 씨름장이다. 이 안에 씨름부 학생 휴게실, 샤워실 및 화장실도 있다. 2층은 영어교과3~4실, 화장실[B]이 있다. 3층은 영어 도서실[13]과 또 하나의 영어교과실, 화장실[B]이 있다.

5.3. 그 외


-운동장-
연천중학교의 운동장은 조금 넓은 편이며 선생님들이 주차장으로 쓰기도 한다.
양쪽에 골대가 있는데, 학교 정문기준으로 오른쪽 골대는 좀 작고 왼쪽 골대는 크기가 크다 2020년 공사로 그물망을 새로 갈았으며
공을 막는 칸막이도 새로 세워졌다. 기존에 있던 칸막이보다 더 커졌고 튼튼해졌다.
-농구장-
농구장의 위치는 씨름장 바로 앞에 있다. 농구골대는 총 4개이고, 원래는 공을 던지면 부산경상대학교 쪽으로 나가서 밖으로 가서 주워오는 일이 다반사 였지만 2020년 공사로 칸막이가 새로 세워지면서 공이 나갈 확율이 줄어들었다.
-씨름장-
-쓰레기 처리장-
쓰레기 처리장은 학교 입구에서 왼쪽으로 가게되면 학교 본 건물 뒤편에 있다. 어느정도 정리는 되는 편이고 학교 내에서 갈려면
계단 옆에 놓인 작은 문으로 나가면 편리하다.
-매점-
매점은 2020년 3월까지 해오다가 문을 닫았다. 정말 슬픈 일이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6.2. 학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7. 운동부


• 씨름부

8.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경상대학정문, LG아파트
부산 버스 54
부산 버스 100-1
연산엘지아파트, 동서그린아파트
부산 버스 연제7

9.2. 철도


토곡은 도시철도의 대표적인 미싱링크 지역이라 동네 주위를 도시철도 1,2,3,4호선에 동해선 광역전철까지 지나가지만 정작 바로 앞쪽을 경유하는 노선 그런 거 없다. 정 찾자면 동해선 광역전철 안락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연산역, 망미역[14] 정도이다. 이마저도 버스로 환승이나, 장시간 도보가 필수적이다.

10. 기타


출신초등학교는 연천, 과정, 연일, 연신이 대부분이며, 남학교시절에는 연산여중(현 연일중)과 같이 연천, 연일, 연신, 토현, 과정초 출신을 받아들였고 남녀공학이 전환된 이후에는 연천, 과정, 연일, 연신이 다수를 차지한다.[15]

[1] 2020년 기준 새로 벽면도색이 되었으며, 내진공사가 완료되었다.[2] 같은해에 연산여중도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면서 연일중학교로 변경했다. [3] 원래는 남학교였다.[4] 아니 근데 왜 여자애들이 더 많냐고 찌발[5] 편의점은 정말 없었지만 2020년 5월경 한양스토아 옆에 CU 연산엘지점이 개점했다! 또한 이웃한 큰 아파트의 상가에 킹마트co.kr 이라는 도메인이 상당히 이상한 동네 마트가 있고, 조금만 더 가면 더 큰 한양스토아 도 위치한다.[2020년1학기] 매점은 사라졌다. (코로나19사태와 쓰레기문제로 사라진듯하다.)[6] 학생 화장실과 공통적으로 배치하여 왼쪽에는 남교사 화장실, 오른쪽에 여교사 화장실이다.[7] 가끔 보면 엘리베이터 안의 손잡이나 바닥에 가래침이 뱉어져 있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A] A B C D 2017년 까지는 교실로 사용했으나, 학생 수 감소로 인해 이와 같이 바뀌었다.[8] 특수학급[9] 특이하게도, 방송실 문이 복도 쪽으로 나 있지 않고, 교무실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실을 들어가려면 필수적으로 교무실을 잠깐 경유하여야 한다. 그래서 교사 회의나, 시험기간에는 방송실 들어가는 것이 약간 눈치가 보인다.[10] 학교 측에서는 재정적인 이유라고 한다. 원래 운영을 하였던 이유는 학생들이 열심히 하여 사측에서 지원금을 꾸준히 받아왔기 때문이라고. 그러나, 이는 2017년부터 옛말이 되고 말았다.[11] 이곳은 엄연한 컴퓨터실이지만, 이곳에서 주로 하는 활동이 영어 리딩게이트이기에 공식적으로 영어교과1실, 영어교과2실이다. 그런데 이제는 리딩게이트를 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10] 만세!! 타이밍도 알맞게 2018년 입학생들부터 정보 교과 수업을 듣기에 정보실로 바뀔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12] 이곳에 영어계의 슈퍼 울트라 초특급 신흥 강자라고 불리우는 ㅈㅎㅇ쌤이 주둔해 계신다[B] A B 남자 화장실과 여자 화장실이 비슷한 위치에 있다.[13] 사실상 영어교과실로 활용한다. 영어 관련 도서는 본관 4층의 도서실에서 대여할 수 있고, 이곳에는 책을 대여할 수 없다.[14] 직선거리 상으로는 배산역이 더 가깝지만, 배산역에서 오려면 마을버스를 타는 수밖에 없고, 일반 시내버스를 타려면 망미역을 필수적으로 지나쳐야 한다.[15] 이웃 학교 연일중도 연천초, 연일초, 연신초 출신이 다수이지만 여학생 일부 중에 연동초, 연서초가 절반있는데 그 이유는 연동초는 연산초와 같이 남학생은 남중인 연산중으로 배정되고 여학생은 연제중으로 가는 소수를 제외한 연일중을 대부분을 가기 때문이고(연산초의 여학생은 높은 확률로 연제중을 간다.) 연서초는 남자 절반은 이사벨중, 나머지 절반은 연산중으로 가기 때문에 이사벨중으로 가는 여자 절반을 제외한 절반은 연일중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