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산역

 

'''배산역'''

[image]

'''다국어 표기'''
영어
Baesan
한자
盃山
중국어
杯山
일본어
盃山(ペサン
'''주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 지하 229 (연산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3호선
배산관리역 / 제3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3호선

'''개업일'''
3호선
2005년 11월 28일
'''역사 구조'''
'''지하 8층''' '''(심도: 55.2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盃山驛 / Baesan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이용객
5. 승강장
6. 요금
7. 연계 교통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03번.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 지하 229 (연산동) 소재. 역 이름은 인근에 있는 산인 배산에서 유래하였다. 3호선 건설당시 가역명은 연산동과 망미동에서 한 글자씩 따서 연미역이었다.
이 역은 제3운영사업소 산하의 관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망미역물만골역을 관리한다. 1번과 2번 출구를 지나가면 바로 수영구 망미동이다.
한때 3호선 중 LED 전광판을 가진 차량들에게서 Baesan이 아닌 Baesn이 출력되었으나 현재는 고쳐졌다.

2. 역 정보


망미고개 밑에 도시철도역이 있는 탓에 55.2m로 '''정말로 깊다.'''[1][2]층수는 '''지하 8층'''으로 수도권 전철 5호선 신금호역과 동급이며 심도도 만덕역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깊다.'''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역 답게 내부는 전체적으로 대리석으로 마감되어 매우 깨끗하다.
연수로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7미터 높이 정도의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출입구를 통해 지하 1층으로 내려간다.
  • 개찰구에서 요금을 내고 들어간다.
  • 건물 3층짜리 높이 에스컬레이터를 3번 타고 내려가거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건물 9층짜리 깊이를 내려가면 승강장에 도착한다.
역사 내의 에스컬레이터는 실로 경사도 가파른데다 크기도 크다.연산동이나 망미동에 사시는 어르신들은 이 에스컬레이터에 '''앉아서''' 오르내리셨다는 소문도 있다. 이러한 사유 때문에 주민들은 이 역을 이용하기보단 시내버스를 타는 편이고 이 역의 주 이동수단은 엘리베이터이다. 부산에서 순위권에 드는 깊은 역이다 보니(수도권 산성역이랑 비슷한 깊이다.) 에스컬레이터로만 2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열차 내부 안내 방송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을 권장한다. 물론 만덕역과는 달리 9~21시에는 에스컬레이터도 가동하고 비상 시에 사용하는 계단도 존재하나 말 그대로 비상 시에 사용하는 계단이다. 언제부터인가 심야 시간대에 전기 절약을 위해 에스컬레이터를 꺼둔다. 만약 하차한 승강장에 엘리베이터가 줄이 길다면 지하 7층 통로에서 옆 승강장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양쪽 끝에 1대씩 있다.

3. 역 주변 정보


역세권은 북쪽의 배산, 남쪽의 금련산 사이에 낀 좁은 시가지이다. 그리 번화한 지역은 아니라 이용객 수는 3호선 안에서도 많지는 않은 편. 인근에 연미초등학교, 망미중학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가 있다.
부산지방병무청은 이웃한 역인 망미역의 부역명이지만 이 역과 망미역 가운데 쯤에서 망미역에 약간 더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이 역의 2번 출구에도 부산지방병무청이 안내되고 있다.
배산에 거칠산국[3]의 유적으로 추정되는 배산성지가 있으며 이 지역이 거칠산국의 중심지로 추정된다. 만약 맞다면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중심지인 셈. 또한 고려가요의 하나인 정과정곡이 배산 인근에서 지어진 시라고 한다. 그 흔적으로 배산 옆으로 지나가는 과정로가 있다.[4]

4. 이용객


배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6,093명
7,458명
7,336명
7,766명
8,105명
8,450명
8,939명
9,089명
9,276명
9,406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9,257명
9,361명
9,363명
9,213명
'''9,438명'''
7,369명
  •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11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금련산배산 사이의 연수로 상의 고개 밑에 역이 있어서 심도가 매우 깊기 때문에 승객을 끌어모으는 데에 제약이 있지만 하루 평균 이용객은 9,438명(2019년 기준)으로 이웃 물만골역보다 승객 숫자가 더 많다. 뿐만 아니라 경부선 열차를 탈 수 있는 구포역보다도 수요가 많다. 두 개의 산 사이에 있어 역세권의 범위가 좁고, 온통 경사진 길이라 역을 오가는 것이 평지의 역들보다 더 힘들다는 핸디캡이 있다는 점, 역 바로 앞쪽에 버스 정류장이 있는 덕분에[5] 환승이 편리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선방하는 셈이다.

5. 승강장


[image]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
[image]
역 안내도
망미




물만골

[image]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망미·수영 방면

연산·미남·덕천·대저 방면

6. 요금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
부산진역

연 산

두 실
2
장 산

수영·서면

냉 정
3
수 영

배 산

남산정
4

미 남

반여농산물시장
동해[6]
부 전

교 대

오시리아

7. 연계 교통


  • 배산역(정류장 번호: 13-091)
    • 부산 버스 5-1 - 회동동행
    • 부산 버스 63 - 청강리공영차고지
    • 부산 버스 141[심야] - 해운대(송정)행
  • 배산역(정류장 번호: 13-094)
    • 부산 버스 20 - 용호동행
    • 부산 버스 51[심야] - 동천초등학교행
    • 부산 버스 57 - 사직동행
    • 부산 버스 62 - 민락동행
    • 부산 버스 131 - 오륙도 SK View 아파트행
  • 배산역(정류장 번호: 13-093)
    • 부산 버스 5-1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20 - 서면행
    • 부산 버스 51[심야] - 금정공영차고지
    • 부산 버스 57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62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63 - 서면행
    • 부산 버스 131 - 금정공영차고지
    • 부산 버스 141[심야] - 당감동행

[1] 전국 3위로, 전국 2위인 서울 8호선의 산성역과 '''0.2m''' 차이에 불과하다. 게다가 전국 1위는 배산역과 같은 노선에 있다.[2] 참고로 금정터널에서 부전역 구간의 심도도 배산역과 동급인 55m이다.[3] 원삼국시대 신라의 변방에 위치했던 속국.[4] 고등학교 2학년 문학 시간에 이 시를 꼭 한 번쯤은 접하게 된다. 실제 예전에 수능에서도 나왔던 적이 있다.[5] 특히 연제6번을 타고 부산여상으로 올라가려는 사람들과 망미동 안쪽을 거쳐 연산LG아파트로 가려는 승객들로 인하여 장사진을 이룬다.[6]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심야] A B C D 심야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