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장

 

1. 소금이나 간장 등으로 음식을 절여 보존하는 것
1.1. 관련 문서
2. 사람을 약올리는 행위
2.1. 커플이 애정행각으로 민폐 행위를 하는 짓


1. 소금이나 간장 등으로 음식을 절여 보존하는 것


  • 사전적 의미 - 소금간장. 소금과 간장으로 간을 하다. 소금에 절이다.
원리를 설명하면 염분의 고장성(高張性)과 삼투압 작용을 이용해서 유해 세균이 번식하기 힘들게 만들어 해당 육류나 채소 등을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다.
인간이 만들어낸 놀라운 저장기술 중의 하나로 이 방법을 사용하면 원래 금방 썩을 음식도 오랫동안 먹을 만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건조는 햇볕과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고 훈제는 비싸고 거창한 설비가 필요한 데 비하여 염장은 그냥 소금이나 간장을 뿌리고 서늘한 데 밀폐해서 보관하면 끝이므로 그 간편함에 의해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어 왔다.
현재는 신의 발명품 냉장고로 인해 위상이 다소 줄어들었으나 염장과 숙성을 통해 더 풍미가 좋아지는 음식들이 있기 때문에 아직도 과거만큼은 아니지만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젓갈이 대표적. 현재 먹는 염장식품은 냉장고와 방부제 덕분에 덜 짠 편이다. 그 전에는 '''물에 헹궈서 먹어도 짤 만큼''' 짜게 염장했다고 한다. 그래서 과거 유럽인들의 염분 섭취량은 현재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고 한다.
여담으로 염장을 하면 원재료가 다소 쫄아들지만 흐물텅하게 썩지는 않는데 이 때문에 고대 중국에서는 사람 목(처형한 죄수나 적군 등)을 쳐서 그 증거로서 보낼 때 염장을 해서 보냈다.[1]
발효식품도 염장을 어느정도 하는데 효모유산균만 활동할 수 있을 정도로만 절인다.

1.1. 관련 문서



2. 사람을 약올리는 행위


일이 잘 풀리지 않아서 불만인데 다른 사람이 옆에서 그 일에 대한 이야기로 화를 돋우는 경우를 말한다. 한마디로 불난 집에 기름 내지 상처에 소금.
어원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소금과 간장을 의미하는 '염장(鹽醬)'이란 단어에 뿌린다는 뜻을 가진 '지르다' 가 붙어 "생선이나 고기 등을 소금으로 절이는 행위" 를 의미하던 것이 죄인을 심문할 때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고문법으로서의 의미가 더해져 오늘날의 의미로 확대되었다는 설이다.
두번째는 염장이 "염통(심장)" 의 "염"에 내장을 의미하는 한자 '장(臟)'이 합성되어 심장이라는 설이다. '지르다'는 팔다리나 막대기 따위로 대상을 때리거나 찌르는 행위[2]를 일컫는 의미이므로 결국 '염장 지르다'는 "타인의 심장을 찌르는 것처럼 마음을 아프게 한다"라는 의미로 해석된다는 것이다.

2.1. 커플이 애정행각으로 민폐 행위를 하는 짓


[image]
'''이런 거'''
위 사전적 의미의 염장에서 파생되어 쓰이는 유행어다. 일단 현장을 본 사람들은[3] 엄청난 시각, 청각 테러를 당한다.
스킨십같은 성적인 행위보다 깨가 쏟아지고 닭살이 돋는 서로 귀여운 척하는 염장질이 더욱 보기 나쁘다. 최근엔 SNS에서 서로를 태그하며 예의 닭살돋는 멘트를 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경우가 잦다면 최소 팔로우 취소에서 심하게는 차단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 특히 연인이 주변 시선을 배려하지 않고 그 강도를 더할 경우, 최종적으로 주변 사람에게 예쁜 사랑 하라는 말 대신 빨리 헤어지라는 말을 매우 높은 확률로 듣게 될 것이다.
잘못하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안 좋아지다가 심하면 깨뜨리려 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자. 이 행위는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중동의 주요 이슬람 국가에선 정말 불법이다. 현지 종교경찰에 적발되면 구류 및 태형을 받고 추방될 수 있으니까 조심하자.
어원은 2. 사용법도 동일하게 '염장질', '염장지르다'라고 표현한다.
자기들이야 좋아 죽지만, 엄연히 민폐이면서 눈치 없는 짓일 뿐이며 염장질에는 친구고 뭐고 없다. 2010년대 들어서 커플에 대한 인식이 나빠진 원인이라고 볼 수도 있다.

3. 염장(통일신라)




4. 염장(신라)



[1] 쫄아든다는 점 때문에 외형이 좀 변하기도 했으며 이를 악용해 다른 사람의 목을 쳐서 그 사람인 것처럼 위장한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2] 태권도의 지르기를 생각하면 된다.[3] 솔로가 아닌 커플들도 꼴불견이라며 싫어하는 경우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