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걸스/콘서트
이 문서는 원더걸스 문서에서 분리된 문서입니다.
2009년 2월 28일 태국 콘서트를 시작으로, 3월 28일 서울 콘서트까지 이어졌다. 콘서트 준비과정과 콘서트의 몇 장면을 담은 원더 랜드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기도 하였다. 약 11년만에 열리는 걸그룹의 단독콘서트라고 한다. 멤버들 역시 이에 대하여 자부심을 갖기도 하였다. 게스트의 경우 부산에서는 2PM, 서울 공연에서는 2AM이 공연하였으며, 2AM은 라이브 AR 문제로 인하여 없이 공연을 하였다. 30분만에 표가 매진되는 상황이 생겼는데, 올림픽 펜싱경기장이 아니라 체조 경기장에서 공연해도 된다는 평이 있다.
<Like This> 활동 이후, 두번째 단독콘서트가 열리기로 하였다. 관객 동원수는 6000명으로 2009년의 7000명보다는 적으나, 팬덤이 와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걸그룹 기준으로는 괜찮은 성적이다. 서울 콘서트의 관람객도 많은 화제가 되었는데 데뷔부터 라이벌이자 친구로 지내온 소녀시대 멤버 티파니, 서현이 왔으며, 활동중지 멤버인 선미가 와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또한, 2NE1과 리쌍, 그리고 타이거 JK, 간미연, 민효린과 같은 소속사 식구인 미쓰에이, 투피엠, 2PM, JOO, San.E와 대표인 박진영이 오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멤버 혜림의 Act Cool의 무대에서 누가 피쳐링했으면 좋겠냐는 외침에 산이가 가장 많은 환호를 받았으나, 대표인 박진영은 욕을 듣기도 하였다. (...) 또한, 7월 7일 7시에 열렸다고, 팬들 사이에서는 777 콘서트(777ㅋ콘)라고 한다. 이게 사실상 원더걸스의 마지막 단체 국내 활동인데, 가지 못한 원더풀은 아주 많은 후회를 한다고 하였다. 팬들의 이벤트인 Wishing On A Star에서 멤버들 다 울어서 팬들이 '울지마'라고 계속 말을 했으나, 소희는 담담한 표정으로 '저는 강한 여자니깐 울지 않아요' 라는 말에 팬들은 울어라고 외치기도 하였다. 콘서트 이후 미국에서는 Like Money, 일본에서는 Nobody (japanese ver.)로 활동하였으나, 이 뒤로 한국활동을 하지는 안하고, 2015년 기준 공백기 1000일을 찍었다 (...)
1. 단독 콘서트
1.1. 첫번째 단독콘서트 'The 1st Wonder'
2009년 2월 28일 태국 콘서트를 시작으로, 3월 28일 서울 콘서트까지 이어졌다. 콘서트 준비과정과 콘서트의 몇 장면을 담은 원더 랜드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기도 하였다. 약 11년만에 열리는 걸그룹의 단독콘서트라고 한다. 멤버들 역시 이에 대하여 자부심을 갖기도 하였다. 게스트의 경우 부산에서는 2PM, 서울 공연에서는 2AM이 공연하였으며, 2AM은 라이브 AR 문제로 인하여 없이 공연을 하였다. 30분만에 표가 매진되는 상황이 생겼는데, 올림픽 펜싱경기장이 아니라 체조 경기장에서 공연해도 된다는 평이 있다.
1.2. 두번째 단독콘서트 'Wonder World Tour'
<Like This> 활동 이후, 두번째 단독콘서트가 열리기로 하였다. 관객 동원수는 6000명으로 2009년의 7000명보다는 적으나, 팬덤이 와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걸그룹 기준으로는 괜찮은 성적이다. 서울 콘서트의 관람객도 많은 화제가 되었는데 데뷔부터 라이벌이자 친구로 지내온 소녀시대 멤버 티파니, 서현이 왔으며, 활동중지 멤버인 선미가 와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또한, 2NE1과 리쌍, 그리고 타이거 JK, 간미연, 민효린과 같은 소속사 식구인 미쓰에이, 투피엠, 2PM, JOO, San.E와 대표인 박진영이 오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멤버 혜림의 Act Cool의 무대에서 누가 피쳐링했으면 좋겠냐는 외침에 산이가 가장 많은 환호를 받았으나, 대표인 박진영은 욕을 듣기도 하였다. (...) 또한, 7월 7일 7시에 열렸다고, 팬들 사이에서는 777 콘서트(777ㅋ콘)라고 한다. 이게 사실상 원더걸스의 마지막 단체 국내 활동인데, 가지 못한 원더풀은 아주 많은 후회를 한다고 하였다. 팬들의 이벤트인 Wishing On A Star에서 멤버들 다 울어서 팬들이 '울지마'라고 계속 말을 했으나, 소희는 담담한 표정으로 '저는 강한 여자니깐 울지 않아요' 라는 말에 팬들은 울어라고 외치기도 하였다. 콘서트 이후 미국에서는 Like Money, 일본에서는 Nobody (japanese ver.)로 활동하였으나, 이 뒤로 한국활동을 하지는 안하고, 2015년 기준 공백기 1000일을 찍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