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 X
[image]
''' 부드러운 선율을 닮은 웨이브 X '''
1. 출시일
중국 카트라이더에서 2020년 1월 16일자 패치로 출시된 아이템 카트바디. 대만 카트라이더에서는 동년 1월 17일 패치로 출시되었으며 한국 카트라이더에서는 동년 1월 30일 패치 때 시간의 상점 구성품으로 등장했다.
2. 기능
- [물폭탄]을 [얼음 폭탄]으로 변경
- [물파리]를 [얼음 물파리]로 변경
- 일정확률로 [물폭탄] 방어
- 아이템 슬롯 3개 (아이템전)
- [물폭탄/물파리] 탈출 시 순간 부스터 가능
- 스타트 부스터 강화 (아이템전)
- 배틀/챔스에서 필살기 슬롯 2개
3. 획득 방법
제일 확률을 높여서 뽑는 방법은 실버칸에 전부 캐릭터와 치장성 아이템이 뜨고 그것들을 모두 무제한으로 보유한 상태에서 뽑는 것 뿐인데 그 과정에서 몇천 코인이 깨질 뿐더러 그 꿀패가 예전에 비해 잘 나오지 않아 기다리는 걸 참지 못하고 모래시계를 돌려버릴 경우 그 몇 배가 깨져버린다. 때문에 코인과 무제한 아이템들을 모아두지 못한 신규 및 복귀 유저에게는 그림의 떡.
그렇지만 아이템 카트바디라 분해 한정으로 레전드 파츠 X보다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베히모스 X와 히드라 X의 전례처럼 몇 개월 뒤라면 스피드 카트바디보다 보급이 수월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아이템전 유저라면 게임을 잠시 접고 몇달 뒤 많이 뿌릴 때 복귀해서 얻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 그러고 싶지 않다면 중고 사이트에서 윷놀이 이벤트로 나온 황금 기어와 플래티넘 캡슐 기어 쿠폰을 구매해서 무제한 아이템들을 최대한 확보한 뒤 코인 쿠폰을 대량 매입해서 현금 박치기를 하는 것 밖에 없다.
현재는 시간의 상점 종료로 획득이 불가능하며 추후에 기어의 구성품 추가와 동시에 여러 이벤트를 통해 수급해질 가능성도 있으니 이 점을 노리는 것이 좋다.
그러나 2020년 6월 11일 패치로 다오의 캡슐 머신 이벤트가 진행되면서 웨이브 X를 일정 확률로 획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설의 카트 박스에도 황금기사 X와 함께 획득 카트 목록에 추가되었다.
2020년 7월 16일에 렉키 X 출시 때 등장한 렉키 X 상자에서 30일 치와 무제한의 웨이브 X가 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2020년 7월 23일에 시즌패스의 프리미엄 시즌 레벨 30 달성시 얻는 최종 보상인 레전드 카트바디 교환권에 웨이브 X가 포함되어있음이 확인되었고, PC방 프리미엄 혜택 카트바디로도 선정되어 PC방에서도 누구나 탑승 가능하다. 같은 날 새로 상점에 판매하기 시작한 퍼플 마스터리 기어 품목에도 웨이브 X가 들어있다.
4. 성능
핸들만 '''레전드 핸들 4'''가 장착되어 있고 나머지들은 전부 '''레어 1'''인 레전드 등급 아이템 카트바디이다. 베히모스 X나 히드라 X의 사례처럼 분해 시 레어 파츠가 드랍되는건 동일하나, 레전드 등급이기 때문에 하급 레전드 파츠들을 붙여 더 높은 파츠를 수급하려고 하는 유저들도 보인다.
매우 빠름 속도의 빌리지 손가락 기준 헤어핀 감속이 135~141km으로 우퍼 X와 동일하게 감속이 매우 좋다. X엔진 아이템 카트바디에서 이 정도와 같거나 그 이상의 감속을 보여준 카트바디는 헤어핀 감속 150km대인 곰신 X, 140km 대의 뛰라이더 카트바디와 데몰리션 X밖에 없다. 다만 몸싸움 측면에서는 살짝 약한 편.
레전드 파츠가 많이 풀림에 따라 모자라는 스펙은 파츠로 해결할 수가 있다보니 파츠만 어느정도 맞으면 최상위권 성능의 감속 덕분에 스피드 카트들을 코너에서 제치는 모습을 보여줄 정도. 물론 아이템 카트는 아이템 카트이므로 스피드전에서 스타트 부스터 출력 강화, 드리프트 중 충돌 시 게이지 보호 등의 기능은 없지만 무한부스터 모드에서는 그런 것들이 의미가 없다. SR 이후로 변신 부스터의 등장으로 인해 하이브리드라는 개념이 희미해졌는데, '''아이템 카트가 스피드전에서 뛰는 모습'''에 굴욕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기는 하다.[1] 사실 디자인부터가 루나 9의 사례처럼 정말 멋들어지게 생겨서 이게 아이템 카트냐며 의아해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러다가 최근에 한삼변이 직접 '''유니크 바퀴 1''', 레전드 핸들 9, 레전드 부스터 7, 레전드 엔진 6의 초고파츠 웨이브 X를 소개해주며 시승해봤는데 아이템 카트라 출발 부스터와 게충이 느린 것 때문에 기록이 늦어진 거지, '''실제로는 고파츠 레어/레전드급 스피드 카트바디와 기록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이며 가속이 미친듯이 빨라지는 모습을 보여줬다.'''
4.1. 강점
루나 9, 크리스마스 캔디 9의 얼음폭탄과 은월검 9의 얼음 물파리를 모두 갖추고 있는 카트바디이며, 일정 확률로 물폭탄을 막는 기능도 있다. 히드라 X와 아이템 카트 1대장을 먹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공격 기능에서는 루나 9과 은월검 9의 상위호환 격이다. 얼음폭탄과 얼음 물파리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디펜스에 상당히 강한 카트바디가 될 것이며 일정 확률로 물폭탄 방어 기능도 있어서 어느 정도는 안정적인 주행도 가능하다.[2]
크리스마스 캔디 9와 비교할 경우 캔디 미사일이 없지만 얼음 물파리를 사용하는데, 직접 조준해야 하는 미사일과 달리 오토 타게팅이므로 삑사리 위험이 없고 난이도가 낮아 사용하기 더 편하다. 정지 시간은 둘 다 2초이지만, 탈출 후 순간부스터가 나가지 않는 얼파리가 조금 더 이득이다. 그리고 엔진 등급이 차이나므로 기본 주행 성능에서도 앞선다. 다만 물파리이므로 캔디 미사일과 달리 빽샷이 안 되고, 웨이브 X는 재탈이 없으므로 마냥 상위호환은 아니다.
한국 카트라이더에서는 현재 물파리 방어 펫이 대세인데, 히드라 X처럼 이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다음 시즌 리그에서 이게 도입이 된다면 디펜스에 특화된 아이템전 전문 프로게이머 선수들도 탑승을 고려해볼 것으로 보인다. 특히 크리스마스 캔디 9의 얼폭을 기가 막히게 활용했던 이은택, 김승태 선수가 이 카트에 주목을 할 가능성이 높다.
4.2. 약점
공격 기능은 사기적인 반면 방어 기능이 부실하다. 크리스마스 캔디와는 달리 아이템전 밸런스를 고려한건지 재빨리 탈출 기능이 없어서 제자리 R키가 필수다. 물론 중카와 대카는 플로터가 있어서 해당 사항이 없지만 플로터 시스템을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는 한카에서는 더 뼈저리게 느낄 수 있는 사항.
물폭탄 방어기능이 있다고 해도 확률이 높지 않으며 당연히 독성 물폭탄과 얼음 물폭탄은 방어 불가.[3] 이것 때문에 팀전에서 활용한다면 팀킬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아이템 거리와 천사 타이밍을 적절하게 재야하는 그야말로 상급자용 카트바디.
또한 루나 9의 완전히 상위호환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 보통 카트와 똑같이 물폭탄에서 부스터가 나오지 않아 물폭탄을 맞는다면 위의 재탈 문제와 더해 가속에서 애로사항이 필 것이다. 이 문제는 파츠 장착을 하면 해결되지 않느냐 싶겠지만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차고 스테이지 항목에도 나와있듯이 엔진을 레전드 파츠로 장착해도 가속력 수치는 변신 부스터에'''만''' 영향을 끼친다. 아이템전에서는 부스터를 모아서 역전할 것이 아닌 이상 쓸모없는 기능.[4]
5. 탑승 선수
- SA : 스피드 에이스 / RN : 러너 / SW : 스위퍼 / MD : 미들 / HY : 하이브리드 / IA : 아이템 에이스
- HLE - 배성빈 (RN), 강석인 (IA)
- ROX - 송용준 (SW)
- AF - 이은택 (IA), 유영혁 (SA)
- SB - 정승하 (SW)
- GC - 유관영 (IA)
- SGA -
- STL - 최민석 (MD)
- MOTO -
6. 여담
- 왠지 모르게 X엔진 아이템 레전드 카트바디는 매번 새로운 카트바디가 출시될 때마다 핸들 파츠의 수치가 5씩 늘어나고 있다.
- 디자인 측면에서 볼 때, 이 카트도 우퍼 X처럼 뒷부분은 스펙터 X와 같고, 옆부분은 폭스 X, 앞부분은 스톰 9과 비슷하게 생겼다. 사실상 스피드 카트바디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은 수준의 디자인.[6]
- 3월 12일자 패치로 얼음파리/얼음폭탄에 피격 시 좌우 방향키 연타로 재빠른 탈출이 가능하게 됐는데 이것은 오류였고 3월 26일 패치로 다시 좌우 방향키 연타로 재빨리 탈출이 불가능해졌다.
7. 관련 문서
[1] SR 등급의 저스티스는 하이브리드 카트바디로 뛸 수 있었고, 루찌였기 때문에 돈 없는 뉴비들이 저스티스를 구매해서 아이템, 스피드 모두 사용하곤 했다.[2] 대만과 중국에서는 여기에 플로터 시스템으로 물폭탄/물파리 재탈이나 대마왕류 면역까지 갖출 경우 히드라 X를 위협하는 1대장급 아이템 카트바디가 되는 것도 시간 문제이다. 물론 플로터 시스템이 삭제된 한국 카트에서는 해당 없는 얘기.[3] 얼음폭탄 방어 펫은 아이스 펭귄, 수박 펭귄, 나타샤 펫이 있지만 세 종류 모두 일정 확률 방어기 때문에 그대로 피격당할 확률이 더 높다.[4] 다만 아래에서 후술한 것과 같이 무한 부스터 채널에서 이 카트로 주행하거나 아이템전이라도 기본 방제 그대로 부스터로 역전하는 상황이 올 때가 있기 때문에 레전드 파츠를 안낀 것보다는 낫다. 파츠 여유가 있다면 취향대로 장착하자.[5] 프로토 X가 갓 나왔을 때의 초창기 X엔진 사운드도 9엔진 기반에 듀얼부스터 효과음만 추가된 형태였다.[6] 애초에 스피드 카트인 우퍼 X와 디자인이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