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좌

 



<colbgcolor=#94153E><colcolor=#FFC224> '''조선의 영의정
《第 157ㆍ159ㆍ164 代》
이광좌
李光佐'''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94153E><colcolor=#FFC224> '''顯宗 15年 - 英祖 16年'''
'''제157대'''
1724. 10. 03 - 1725. 02. 02
'''제159대'''
1727.07.01 - 1729. 05. 18
'''제164대'''
1737. 08. 11 - 1740. 05. 26

'''이름'''
이광좌 (李光佐)
'''출생'''
1674년 (현종 15) 12월 8일
'''사망'''
1740년 (영조 16) 5월 26일 (향년 64세)
한성부
과도한 단식으로 인한 사망
'''직업'''
관료, 유학자, 서예가
'''종교'''
유교 (성리학)
'''재임 기간'''
제157대 영의정
1724년 10월 3일 - 1725년 2월 2일
제159대 영의정
1727년 7월 1일 - 1729년 5월 18일
제164대 영의정
1737년 8월 11일 - 1740년 5월 26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c244> '''군호'''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시호'''
문충(文忠)
'''본관'''
경주 (慶州)
''''''
상보 (尙輔)
''''''
운곡 (雲谷)
'''붕당'''
소론 (완론)[9]
'''추탈'''
1755년 (영조 31년)
'''복권'''
1908년 (순종 2) 4월 30일

1. 개요
2. 생애
3. 여담

[clearfix]

1. 개요


오성부원군 이항복현손이다.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소론 완론[1]에 속했던 자다.[2]

2. 생애


1694년 문과에 장원[3]하여 관료생활을 시작한다.
정언, 지평, 교리, 이조좌랑등 삼사를 역임하고 도승지를 거쳐 이조참판에 이르나 숙종이 소론을 내친 병신처분으로 노론의 편을 드는 것을 반대하자 파직된다.
경종이 즉위한 후 다시 이조참판에 제수되고 이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경종 초기에는 노론의 세력이 강력해 '''경종은 노론의 뜻대로 하는 듯 연기하다가 환국을 일으켜 노론 4대신(이이명, 조태채[4], 이건명, 김창집)을 사사하고 노론의 세력을 꺾었다.''' 그는 경종이 노론의 세력을 약하게 하는데 조태구, 조태억, 유봉휘, 최석항 등과 세제대리청정을 반대하였다. 노론이 쫒겨나는 신축환국이후 예조판서에 오르고 이어 병조와 이조판서 등 6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고 우의정에 올랐다.
영조 즉위 직후 영의정에 올랐지만 이듬해 신임사화의 책임을 묻는 노론의 공격으로 파직당한다.[5][6] 영조가 탕평책의 일환으로 정미환국을 단행하자 영의정이 되고 노론은 힘이 약해진다. 얼마 후 소론 준론과 남인을 일으키자 침착하게 난의 중심 인물을 체포하고 진압하였다. 이 공로로 분무 원종 공신 1등에 봉해졌다.
탕평책의 신봉자였으나 당시 노론 영수인 민진원과 정호가 노론 역사상 송시열 이후로 최고의 강경파인지라 노론들에게 광좌놈이라고 불리는 수모를 겪어야 했고 영조가 직접 노론 신하들을 불러서 대신에게 무엄하게 무슨 짓이냐라고 야단을 쳐도 노론 신하들은 우리 집안에서는 어린애들도 광좌나 광좌놈이라고 부른다라고 지지않고 맞섰다.
다른 소론 대신들이 영조에게 납작 업드린 상황에서도 삼수의 옥은 역적이 맞다고 강변하였고 덕분에 노론의 공적 1호가 되어 무수한 탄핵을 받았다. 여러번 영의정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여 시골로 내려간 기간이 더 길었다.
1740년 탄핵을 당하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단식 중에 죽었다. 공교롭게도 바로 전날에 영조숙종의 사당을 찾아 비를 맞으면서 "신하 놈들이 탕평을 하래도 안하고 깽판치니 내가 못난 탓이다! 왕 안해!"라고 선포하자 신하들이 또 우리들이 당파 싸움이나 하면 우릴 벌하소서!라고 울고불며 말린 다음날로 상대적 강경파였던 이광좌의 죽음으로 조정은 그나마 좀 조용해진다. 하지만 영조 31년의 나주 궤서 사건으로 벼슬이 추탈된다. 순종 때 다시 복권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3. 여담


  • 영조의 명령으로 인해 노론 대신들과 악수를 한 적이 있다. 그것도 한번이 아닌 두번이나.
    • 강제로 노론의 수장 민진원[7]과 악수 인사를 했다.[8]
    • 민진원 사후 새로운 노론의 수장 김재로가 등장하자 영조는 또다시 악수 인사를 하라고 하지만 김재로가 거부했다.

  • 여담으로 박문수와 인척 관계로 그의 후원자이자 스승이기도 했다. 박문수 관련 설화에도 드문드문 출연한다.
  • 글씨를 잘 썼고 서예와 그림에도 일가견이 있었다. 또 자화상을 즐겨 그렸다고 한다.
[1] 이광좌는 준소라는 견해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완소란 경종 신축환국 이후 비주류를 말하며 왕세제보호론을 주창한 조현명조문명 형제, 박문수, 송인명 등을 의미하며 김일경 등을 급소/조태구이광좌 등을 준소로 보는 경향도 있다. 즉 쉽게 얘기하자면 김일경은 타협 자체를 불허하는 초강경파였고, 이광좌는 그래도 일단 한번 정도는 들어보자하는 강경파 정도.[2] 하지만 소론 완론 중에서 가장 강경파였다. 소론 준론 소멸 이후 강경파가 되어서 노론에게 많은 공격을 받았다.[3] 20세 약관에 그것도 장원급제한 것이다[4] 소론 대신 조태구의 친척이다.[5] 조태구, 유봉휘, 최석항은 이미 사망했다. 그래서 남은 조태억과 그에게 공격이 집중되는 것은 당연하다.[6] 영조(당시 연잉군)는 노론이 지지하고 있었고 경종(당시 세자)는 소론이 지지하고 있었음[7] 사실 민진원은 비타협적인 이미지 때문에 과소평가되는 점이 많다. 하지만 장희재, 장희빈을 변호하다 귀양을 간 원로 대신 남구만(소론 대신)을 변호해 준 적 있고 붕당 정치를 심하게 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8] 당사자들은 싫어했겠지만 악수를 시킨 영조 본인은 이것에 감동을 받아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