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45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동화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3.4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image]
- 과거 공동 배차제 시절에는 박촌에서 출발하여 동인천역까지 가던 장거리 노선이었다. 1999년 노선 개편시 월미도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또한 기종점이 박촌에서 월미도로 변경되었다.
- '박촌 - 임학동' 구간이 단축되었다.[2]
- 2002년 개별배차제 시행으로 동화운수 단독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04년 여름에 인천1호선과 계양구 13번 마을버스(현 581번)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면서 '부평구청 - 임학동'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12년 7월 2일에 종점이 부평구청역에서 현재와 같은 신복사거리 회차로 변경되었다. 노선 자체의 변경은 없었다. 하지만 차량의 행선지는 여전히 부평구청행으로 표시하고 다닌다.
- 2014년 3월 31일에 2번에서 3대를 차출하였다.
- 2018년 6월 23일부터 운행횟수가 3회 감회되었다.(198회 → 195회)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부평구청역 - 효성동동화운수차고지 구간이 연장되며, 부평역에서 부평시장역으로 갈 때 시장로터리 대신 부평대로를 거치도록 변경된다. 운행거리가 늘어나 배차간격이 평일 기준 6~7분으로 조정된다.관련 공문
- 2021년 1월 16일에 기종점이 서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저상버스 5대, 좌석버스 31대를 투입해서 운행한다. 동사에서 2번과 함께 저상버스가 운행중인 노선이다.
-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중 승차량 TOP 5위인 노선중 하나다.[3]
- 인천1호선을 제외하면 교통편이 열악한 부평역 이남 지역에 가장 자주 오는 노선이다. 또한 이 노선이 거의 유일하게 이 지역에서 인천 시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승객이 많다. 인천광역시에서 대당 이용객이 가장 많은 시내버스 노선이며 간선버스 최다 운행횟수를 자랑하는 노선이다. 동사의 2번과 비교해도 수요는 전혀 밀리지 않는다.
- 완벽한 일직선형의 노선은 아니지만 인천 버스 치고는 상당히 개념적인 노선을 갖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반대로 놓인 ㄴ자 모양의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다니는 지역도 중심지인 동인천, 구월동, 부평역을 꼬챙이 꿰듯이 지나가니 수요가 매우 많다.
- 과거엔 2번에 밀렸지만 현재는 간선버스 노선 중 8번과 엎치락뒤치락하는 순위를 기록한다. 참고로 8번과 45번 모두 2번보다 이용승객이 많은 노선이다. 특히 2014년을 기준으로 2번이 지속적으로 감차되며 무려 13대나 감차된 것에 비해 이 노선은 거의 감차를 당하지 않아서 예전이랑 비슷한 배차를 유지하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역, 동인천역, 부평역
- [image]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예술회관역, 간석오거리역, 부평삼거리역, 동수역, 부평역, 부평시장역[5] , 부평구청역
- [image]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석천사거리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굴포천역[6] , 부평구청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인천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