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게 리먼

 

[image]

'''키리코, 이번엔 내가 확인해주마!'''

'''반드시 죽을 거다! 인간이라면!'''

[1]
장갑기병 보톰즈 레드 숄더 다큐먼트 야망의 루트의 등장인물. 담당 성우이케다 마사루.
행성 오돈의 레드 숄더 기지 사령관 요란 페일젠의 오른팔 격이라 할 수 있는 부관. 그레고르 갈로슈 등 그에게 반항적이었던 대원들은 기지를 수용소로 비꼬아서 소장이란 별명으로 불렀다.
"이상적인 병사는 철저한 시련을 통해 태어난다"는 과거의 페일젠의 이상에 공감해 이상적인 전투집단의 조직화에 조력한 인물로, 본인도 그에 걸맞는 기량을 가진 AT 파일럿이었다. 허나 페일젠이 이능생존체설을 제안함에 따라 방침을 바꾸면서 과거의 이상을 부정하는것에 반발해 이능생존체인 키리코 큐비를 죽여서 그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증명하려 하나, 역으로 이능생존체의 상식을 초월한 불사성을 목격하게 되어버린다.
결국엔 자신의 손으로 키리코를 말살하기 위해 제3차 산사 공략전 도중 전선에서 고립된 키리코를 부하 2명과 함께 습격한다. 사투 끝에 키리코를 과다출혈로 기절시켜버리나, 자신도 키리코의 공격으로 사망했다.[2] 갑자기 키리코를 공격한 원인에 대해 페일젠 파일즈에서는 '리먼 소령은 페일젠 파일을 직접 보고 그걸 확인하기위해 키리코를 공격했다' 라고 했는데 애초에 페일젠 파일 자체가 가짜라는 설정이라 그게 사실인지는 불명. 페일젠 파일 자체도 일단은 리먼 소령의 시신에서 회수됐다는 설정이다.
페일젠과는 키리코에 대한 가치관 차이로 대립했지만 방법은 둘째쳐도 수련교관으로서의 수완이 우수했는데, 산사 공방전 이후 키리코가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존재가 아니란 걸 깨닫고 레드 숄더의 중요성이 늘어났단 걸 인식한 페일젠은 리먼을 잃은 것을 굉장히 안타까워했을 정도였으며, '''PS도 아닌 보통의 인간이면서 키리코의 AT를 파괴하고 죽기 일보직전까지 몰아 넣은 유일한 사례이기도 하다.'''[3]
제2차 슈퍼로봇대전 Z 파계편에서 등장. 참전작에 야망의 루트가 있긴 하지만 해당 스토리 자체는 재현되지 않아서 시간대상 원작 종료 이후에도 살아남은 셈이 되며, 레드 숄더를 이끌고 PMC 트러스트에 소속되어 있으며, 전용 커맨더 커스텀을 타고 키리코의 앞을 가로막는다. 보톰즈계 적 캐릭터들 중에선 얼마 안되는 공통분기에서 몇번이고 상대하는 적 캐릭터인지라 분기 놓치면 아예 대면도 못하는 다른 캐릭터들과는 달리 자주 볼 수 있으며, 끈질기게 살아남아 39화 더 라스트 레드 숄더에선 원작에선 타보지 못했던 블러드 서커를 탈 기회가 주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살아남은 누구랑은 달리 블러드 서커를 탄 그 화에서 사망한다.'''(…)[4] 슈퍼로봇대전 Operation Extend의 경우에는 제3차 산사 공략전이 재현되어 출전한 그 화에 사망. 당연하지만 키리코는 괴물같이 부활해 다시 나온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차분한 톤이었던 야망의 루트 당시와 달리 전투대사가 높은 톤이 되어 있어서 묘하게 인간미가 넘친다.[5] 특히 키리코에게 격추될 때의 대사 중 하나인 "'''네놈은 인간이 아냐! 인간 따위가!!'''"가 진국. 또한 커맨더 커스텀 탑승시엔 전용무장인 전압식 파일벙커를 사용하지만, 정작 다이가드 일행은, 파일벙커의 시조라 할 수 있는 벨젤가재세편에 등장하기 때문인지 반응하지 않았다.

[1] 파계편, OE에서 이 컷이 기본 얼굴 그래픽이다.(…)[2] 이 사망묘사는 야망의 루트 당시에선 키리코 시점이라서 교전 도중 키리코가 기절해 버렸기에 리먼이 어떻게 죽었는지의 묘사는 자세히 안 나오고 키리코가 깨어났을 땐 박살난 스코프 독과 함께 절명해있는 모습만 나오는 정도였다. 그러다가 꽤 오랜 세월이 지난 뒤의 페일젠 파일즈 1화에서 풀네임과 함께 정확한 사흉이 밝혀졌다.[3] 게다가 이때의 키리코 기체는 터보 커스텀이지만, 리먼기는 커맨더 커스텀이라는 대장 전용 사양인데, 터보 커스텀의 제트 롤러가 달려있지 않다(!!!). 물론 3명이서 다굴을 친 것이 주효했기 때문에 리먼이 PS급의 전투능력을 가졌다고는 절대로 말 할 수 없지만.[4] 더 안습한 건, 노멀 난이도로 갈 때 한정으로 리먼이 탑승한 블러드 서커의 스펙이 일반병사 사양과 똑같아진다.(…)[5] 오랜 세월이 지난 덕에 성우가 당시의 톤을 잊었거나 혹은 그 배역의 목소리를 내기 힘들어졌다고 변호할 수 있겠다. 뭐, 찾다보면 비슷한 사례가 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