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문포 해전

 

'''이순신의 전투 목록'''
제2차 당항포 해전
(1594년 3월 4일)

'''장문포 해전'''
(1594년 9월 29일)
'''영등포 해전'''
(1594년 10월 1일)

명량해전
(1597년 10월 5일)

1. 소개
2. 전투 전개
2.1. 전투 개시(10월 1일)
2.2. 소강 상태(10월 2일 ~ 3일)
2.3. 수륙 양면 작전(10월 4일)
2.4. 일본군 퇴각, 통제영 복귀(10월 6일 ~ 8일)
3. 전투 이후
4. 일본 위키 백과의 반달리즘
5. 대중 매체


1. 소개


임진왜란 기간에 이순신이 9차례 출전해 총 17회에 걸쳐 벌인 크고 작은 해전 가운데서 가장 성과가 작았던 해전이다.
1594년 11월 12일 ~ 12월 29일(음력 10월 1일 ~ 11월 18일)까지 행한 수륙 합동 작전으로, 총 3회의 전투가 벌어졌다. 제1차 장문포 해전, 영등포(永登浦) 해전, 제2차 장문포 해전으로 세분하기도 한다.

2. 전투 전개



2.1. 전투 개시(10월 1일)


아군 함선 50여 척, 일본 수군 함선 117척이 서로 대치하였다. 10월 1일 조선 수군은 새벽에 거제도 장문포 앞바다에[1] 머물다 영등포로 들어가 일본군에게 싸움을 걸었다. 그러나 일본군은 바닷가에 배를 대놓은 채 항전하지 않았다. 해질 무렵 장문포 앞바다로 돌아와 뭍에 배를 매려 할 즈음, 적의 화공을 맞아 배에 불이 붙었으나, 번지기 전에 진화하였다.

2.2. 소강 상태(10월 2일 ~ 3일)


이후 10월 3일까지 일본군이 항전하지 않는 바람에 소강 상태가 지속되었다.

2.3. 수륙 양면 작전(10월 4일)


10월 4일에는 의병장 곽재우·김덕령과 함께 수륙 합동 작전을 전개하기로 하고, 먼저 군사 수백 명을 뭍으로 올려 보내 싸움을 걸었다. 이어 저녁 무렵 수륙 합동 작전을 벌여 적을 혼란에 빠뜨린 뒤, 돌아와 칠천량에 진을 쳤다.

2.4. 일본군 퇴각, 통제영 복귀(10월 6일 ~ 8일)


10월 6일 다시 장문포를 공격했으나, 일본군은 명나라와의 화친을 논의 중이니 싸울 수 없다는 팻말을 꽂은 채 '''도주'''하고 말았다. 이에 이순신은 10월 8일 한차례 장문포를 순회한뒤, 수륙군을 해체하고 한산도 통제영으로 돌아왔다.

3. 전투 이후


총 6일 동안 치른 수륙 합동 작전에서 조선군은 왜선 2척을 격침시켰다. 조선군 피해는 없었으나, 일본군이 항전하지 않아 전과는 미미하였다. 그러나 이 해전의 영향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이순신과 조선 수군은 이 해전으로 인해 일대 위기를 맞는다.
사실 장문포 해전은 원래 이순신이 계획한 것이 아니라, 경상 우수사 원균이 도체찰사 겸 좌의정 윤두수에게 건의해 '''윤두수 자의로 행한''' 수륙 합동 작전이었다. 뒤에 영의정 류성룡 등에 의해 선조의 재가를 받아 작전 중지 명령이 내려지기는 했지만, 명령이 도착하기도 전에 이미 작전이 전개된 상태였다. 결국 수륙 합동 작전은 성공하지 못하고, 2척의 적선만을 격침시키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특히 장문포 해전의 원래 목적은 거제도 북단을 봉쇄하여 고립된 일본군을 섬멸하는 것이었으나, 적의 도주로 그들의 해상 출현을 막는 것에 그쳤다. 게다가 원균의 패전과 장문포 해전 실패 등이 한 원인이 되어 조선 조정이 혼란에 빠졌고, 이 위에 조정에서는 북인과 서인 사이에 당쟁이 일어났다.
조선이 생각하던 전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륙작전을 벌여 왜성을 함락할 규모의 군대와, 이를 지원할 충분한 수군이 필요했다. 그러나 동원된 조선군 전체로 보아도 수성에만 의존한 왜군 보다 많은 수가 아니었을 뿐더러, 실제로 상륙한 부대의 규모만 보면 더 초라했다. 그들을 실어 나른 수군은 바다에서 군선을 기동하거나 적의 지원을 견제하기에 빠듯한 상황이었고 상륙해서 싸우기는 더더욱 요원했다.
한편 일본군 요시라의 간첩 행위[2]로 이순신 장군이 정부에 불복종하였다고 하여 처벌되고, 원균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로 부임한다. 이로써 이순신은 도원수 권율의 휘하로 들어가 백의종군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장문포 해전은 임진왜란 기간에 전황과 조선군의 지휘 체계가 흔들리게 하는 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4. 일본 위키 백과의 반달리즘


여담이지만, 일본 위키에는 이 해전에 대하여 이순신후쿠시마 마사노리시마즈 요시히로 등에게 '''격퇴'''당했다고 왜곡하고 있는데, 애당초 조선 수군의 피해가 전무한 상태에서 왜군들이 극력 전투를 회피하여 교전다운 교전 한 번 없었는데 어떻게 격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지가 참으로 의문이다.[3]

5. 대중 매체


드라마 징비록에서 다루었다. 초반에 이순신을 막으라는 명령에 당황하는 가토와 막판에 가토를 조롱하는 고니시가 깨알같이 뀌는 방귀가 개그 포인트. 그 직후에 뚜껑이 열릴대로 열린 가토의 샤우팅이 걸작.

[1]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앞바다. 장문포 왜성이 아직 남아 있다.[2] 허위 군사 정보로 조선 조정을 오판하도록 유도하여 이순신을 궁지에 빠지게 함[3] 격퇴(擊退). 쳐서 물리침. 일본군은 친 적이 없다. 차라리 그냥 "물러나게 했다" 정도로 표현했다면 어색하지 않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