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일

 

1. 후삼국시대의 인물
1.1. 개요
1.2. 대중 매체에서
2. 한국의 농구
3. 한국의 정치인


1. 후삼국시대의 인물


張一
생몰년도 미상

1.1. 개요


후고구려궁예의 휘하 장수 중 한 명.
처음에 궁예는 북원(北原)의 적 양길(梁吉)의 휘하에 있으면서 강원도 일대를 공략하여 세력을 확대하였다.
치악산(雉岳山) 석남사(石南寺)를 근거지로 하여 주천(酒泉)ㆍ나성(奈城 : 지금의 경상북도 봉화) 등을 치고 명주(溟州 : 지금의 강원도 강릉)로 진출하여 갔을 때, 궁예의 무리가 3,500명에 이르게 되자 궁예는 이를 14개의 대(隊)로 나누었다.
이 때 금대(金大)ㆍ검모(黔毛)ㆍ흔장(昕張)ㆍ귀평(貴平)[1] 등과 함께 궁예에 의하여 사상(舍上 : 部長의 직)에 임명되어 궁예를 보좌하였다. 그리고 장일의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는다.

1.2. 대중 매체에서


태조 왕건에서는 궁예의 초기 거병시에 따른 4명 혹은 5명의 부장들 중에서 성으로 자주쓰는 장(張)씨인 까닭에 어떤 설을 채택해도 이름에 논란이 없어서인지 선택받아 금대와 함께 유이하게 등장한다. 후고구려 건국 이후 등장하여 궁예가 집권할 당시 내군 부장을 맡고 있었다. 당시 내군 장군이었던 은부 밑에서 여러가지 일들을 도맡아 처리했는데[2], 궁예가 자신의 아내인 강비와 두 아들을 심문할 때, 당시 나주에 파견나가있던 왕건을 소환하는 역할을 한다. 철원에 돌아가봤자 살아남을 방법이 딱히 없는지라, 태평을 비롯한 장수들은 왕건에게 장일을 죽이고 아예 독립해버리라고 건의하는데, 어차피 왕건은 쿠테타를 일으킬 생각도 없고, 당시 같이 있던 형미 대사가 철원에 돌아가라고 조언하는지라, 왕건은 그대로 장일을 따라 철원으로 올라간다. 이때 신숭겸이 장일을 붙잡고 "우리가 당신을 죽이자는 걸 왕 장군이 살려준 것이다. 그 사실을 잘 알것이다."라는 말을 한다.
심문에서 결국 궁예가 강비와 두 아들을 끔찍하게 죽여버리자, 궁예의 잔혹한 살육에 회의감을 가졌던 장일은 앞서 신숭겸의 조언이 겹친 듯 궁예에 대한 충성심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훗날 금대에게 '철원의 피비린내가 지겹다'는 속내를 털어놓고 타박을 듣기도 했으며, 그 후 염상[3]이 찾아와 훈련 계획을 보고하면서 동시에 역성혁명(쿠테타)에 가담할 것을 제의하는 것이 결정타가 되었다. 처음에 장일은 못들은 것으로 하겠다고 말하긴 했지만 결국 쿠테타에 가담한다. 당시 복지겸, 신숭겸 등 반역에 가담하던 장수들이 훈련을 핑계로 지방에 있던 병력들을 철원으로 끌어들여 서서히 철원을 포위하고 있었는데, 수상한 기운을 감지하고 은부가 장일에게 이를 수사할 것을 지시하지만 장일은 내군에 별다른 이상 조짐이 없다는 거짓 정보를 보낸다.
나중에 쿠테타가 일어나기 직전에서야 은부와 금대 등 내군 측은 뭔가 수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상하게도 정보가 들어오지 않는다는걸 알아차렸지만, 그저 장일이 일을 제대로 못해서라고 생각했는지, 장일의 배신을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 쿠테타가 벌어진 날 장일은 미리 근무지를 이탈해 자신을 따르는 병사들을 모았고, 그제서야 은부는 장일의 배신을 눈치챘다. 그 직후 장일은 궁예의 탈출로를 막아선다.
궁예가 도주하는 것을 막는 것에는 실패했지만, 4기장과 왕건이 대전에 이르기 전에 왕궁을 정리하는 역할은 충실히 해냈고, 이후 복지겸을 중심으로 재편된 내군에서 왕건#s-1에 반대하는 반역 세력들을 척결하는데 활약하게 된다. 그러나 얼마 안가 아자개가 고려로 귀부하는 날 왕건이 직접 맞으러 나가는 틈을 타 이흔암이 왕건을 죽이려고 모반을 꾀했을 때, 왕건을 지키다 그만 독화살[4]을 맞고 전사한다. 병상으로 옮겨진 뒤 독화살의 독을 이겨내지 못해 심한 경련을 일으키고 죽어가면서 복지겸에게 뒷일을 부탁하는데, 자신은 과거 폐주를 따르며 많은 죄를 저지른 몸이었기에 이렇게 폐하를 위해 죽을수 있어 행복하고 영광이라는 유언을 남기고 숨을 거두는 장면은 나름 명장면. 게다가 바로 앞에 나온 장면이 왕건과 대소 신료들이 아자개와 파안대소하며 즐겁게 연회를 즐기는 장면이라, 바로 뒤이어 장일이 숨을 거두는 장면은 앞선 연회가 많은 장졸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강조하는 듯해 시청자들에게 씁쓸함을 안겨주기도 했다.[5]
사실 장일의 최후를 제외한 행적은 역사상 궁예의 호위무장으로 시작했다가 어느 순간 왕건의 신임을 받는 측근이 된 박술희의 행적과 굉장히 유사하다.

2. 한국의 농구



3. 한국의 정치인


[1] 혹은 김대검(金大黔), 모흔(毛昕), 장귀평(長貴平)과 김대검, 모흔장(毛昕長), 귀평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고, 실제로 학자에 따라서 의견이 분분한 부분이 있다. 그리고 사서에서 이 당시의 인물을 표기할 때는 앞에서 언급한 인물이 성과 이름을 붙여 기록했으면, 그 뒤에 언급되는 경우에는 성을 생략하고, 이름을 표기하는 경우가 잦았다. 그래서 학자의 관점에 따라서 김대검, 모흔, 장귀평, 장일과 금대, 검모, 흔장, 귀평, 장일 또는 김대검, 모흔장, 귀평, 장일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금대 항목 참조.[2] 이 과정에서 심문을 주도한 왕건의 명령으로 아지태를 처형했다.[3] 염상은 원래 내군 출신인 만큼, 장일에겐 염상은 옛 직장 상사였다.[4] 예전에 궁예가 맞았던 것과 같은 독이다.[5] 실제로 2020년 태조 왕건이 유튜브의 KBS Drama Classic 연속 무료 스트리밍이 방영될 때 이 장면을 두고 채팅창의 시청자 대부분은 '한쪽은 목숨이 왔다갔다 하고있는데 저것들은 술판이냐'는 식으로 씁쓸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