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대
金大 / 金大黔
생몰년도 미상
후고구려의 궁예의 휘하 장수 중 한 명. 김대 인지 금대 인지 확실하지 않다. (성은 김이고 이름은 대일수도 있다.)
처음에 궁예는 북원(北原)의 적 양길(梁吉)의 휘하에 있으면서 강원도 일대를 공략하여 세력을 확대하였다. 치악산(雉岳山) 석남사(石南寺)를 근거지로 하여 주천(酒泉)ㆍ나성(奈城 : 지금의 경상북도 봉화) 등을 치고 명주(溟州 : 지금의 강원도 강릉)로 진출하여 갔을 때, 궁예의 무리가 3,500명에 이르게 되자 궁예는 이를 14개의 대(隊)로 나누었다.
이 때 금대검모흔장귀평장일(金大黔毛昕長貴平張一)이 궁예에 의하여 사상(舍上 : 부장)에 임명되어 궁예를 보좌하였다고 하는데, 명확하게 인물이 나눠지지 않아 이를 '''김대검'''ㆍ모흔ㆍ장귀평ㆍ장일, 혹은 '''김대검'''ㆍ모흔장ㆍ귀평ㆍ장일의 4명, 혹은 '''금대'''ㆍ검모ㆍ흔장ㆍ귀평ㆍ장일의 5명으로 파악하는 등 의견이 분분하므로, 해석에 따라선 '''김대검'''이라는 인물이 될지도 모른다. 맨 첫번째 주장을 한 대표적인 학자가 이병도고 이병도의 제자 서울대 김철준 교수는 두 글자씩 끊어서 5인설, 전북대 정청주 교수는 김대검과 모흔장으로 끊어서 4인설을 주장했다. 전근대 인물중에선 동사강목을 지은 안정복이 두글자씩 끊어 5인설을 주장했다.
당시 역사서에서는 성을 누락시키고 이름만 표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므로[1] 해석하는 관념에 따라서 금대, 검모, 흔장, 귀평, 장일의 5명이 맞을 수도 있고, 김대검ㆍ모흔ㆍ장귀평ㆍ장일 혹은 김대검ㆍ모흔장ㆍ귀평ㆍ장일의 4명이 맞을 수도 있다.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도 이 5인설을 차용하여 금대와 장일이 조연으로 출연한다. 상술한 듯 후고구려의 무장으로 묘사되며, 궁예가 집권할 당시 내군의 일원으로 나온다. 배우는 '주몽'의 흑치 장군 역을 비롯, 여러 사극에서 조연으로 출연하는 배우 최운교.
작중에서는 은부가 궁예의 사람이 되고 양길과 한창 대립 중일 때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다.[2] 역할은 내군 장군이었던 은부 밑에서 온갖 일들을 처리하는 것. 염상, 장일과 함께 활동하는데, 일찍이 궁예에게 실망한 모습을 내비쳐 은부에 의해 내군에서 병부로 자리를 옮긴 염상과 그런 염상의 설득을 듣고 궁예를 배신하게 된 장일과 달리 마지막까지 내군의 일원으로서 궁예에게 충성을 다하는 인물이다.
[image]
120화에서 궁예가 은부의 칼에 맞는 것으로 죽음을 당하는 것을 선택했을 때, 은부 역시 같은 방법으로 금대의 칼에 맞아 죽는 것을 선택하고, 금대는 상관 은부를 베어 죽인 후 할복하여 자결하는 것으로 최후를 맞이한다.
여담으로 저 기침 소리를 내고 맞아죽은 신하를 연기한 사람은 원로 배우인 김진오로, 근황올림픽 인터뷰에 따르면 금대가 사용한 철퇴는 클로즈업 장면에서는 쇠로 만든 진짜 철퇴가 사용됐고, 그 외 장면에서는 신문지로 만들어 물에 불려 풀을 먹인 소품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때문에 진짜로 맞으면 아팠다고 밝혔다. 전화 인터뷰를 한 최운교는 농담 섞어 자기가 철퇴로 여럿 죽였다는 이야기를 했다.
코미디빅리그 '2018 궁예'에선 이진호가 맡은 궁예가 명령하면 철퇴로 사람들을 쳐 죽이는 금부장으로 함께 나오는데, 태조 왕건 시절과 비교하면 좀 짧다(...).
코미디빅리그 '2018 ~ 2019 장희빈'에선 금부장에서 금상궁으로 변경되었고 죽이는 용도가 철퇴에서 사약으로 바뀌었다.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후고구려의 궁예의 휘하 장수 중 한 명. 김대 인지 금대 인지 확실하지 않다. (성은 김이고 이름은 대일수도 있다.)
2. 생애
처음에 궁예는 북원(北原)의 적 양길(梁吉)의 휘하에 있으면서 강원도 일대를 공략하여 세력을 확대하였다. 치악산(雉岳山) 석남사(石南寺)를 근거지로 하여 주천(酒泉)ㆍ나성(奈城 : 지금의 경상북도 봉화) 등을 치고 명주(溟州 : 지금의 강원도 강릉)로 진출하여 갔을 때, 궁예의 무리가 3,500명에 이르게 되자 궁예는 이를 14개의 대(隊)로 나누었다.
이 때 금대검모흔장귀평장일(金大黔毛昕長貴平張一)이 궁예에 의하여 사상(舍上 : 부장)에 임명되어 궁예를 보좌하였다고 하는데, 명확하게 인물이 나눠지지 않아 이를 '''김대검'''ㆍ모흔ㆍ장귀평ㆍ장일, 혹은 '''김대검'''ㆍ모흔장ㆍ귀평ㆍ장일의 4명, 혹은 '''금대'''ㆍ검모ㆍ흔장ㆍ귀평ㆍ장일의 5명으로 파악하는 등 의견이 분분하므로, 해석에 따라선 '''김대검'''이라는 인물이 될지도 모른다. 맨 첫번째 주장을 한 대표적인 학자가 이병도고 이병도의 제자 서울대 김철준 교수는 두 글자씩 끊어서 5인설, 전북대 정청주 교수는 김대검과 모흔장으로 끊어서 4인설을 주장했다. 전근대 인물중에선 동사강목을 지은 안정복이 두글자씩 끊어 5인설을 주장했다.
당시 역사서에서는 성을 누락시키고 이름만 표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므로[1] 해석하는 관념에 따라서 금대, 검모, 흔장, 귀평, 장일의 5명이 맞을 수도 있고, 김대검ㆍ모흔ㆍ장귀평ㆍ장일 혹은 김대검ㆍ모흔장ㆍ귀평ㆍ장일의 4명이 맞을 수도 있다.
3. 대중매체에서
3.1. 태조 왕건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도 이 5인설을 차용하여 금대와 장일이 조연으로 출연한다. 상술한 듯 후고구려의 무장으로 묘사되며, 궁예가 집권할 당시 내군의 일원으로 나온다. 배우는 '주몽'의 흑치 장군 역을 비롯, 여러 사극에서 조연으로 출연하는 배우 최운교.
작중에서는 은부가 궁예의 사람이 되고 양길과 한창 대립 중일 때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다.[2] 역할은 내군 장군이었던 은부 밑에서 온갖 일들을 처리하는 것. 염상, 장일과 함께 활동하는데, 일찍이 궁예에게 실망한 모습을 내비쳐 은부에 의해 내군에서 병부로 자리를 옮긴 염상과 그런 염상의 설득을 듣고 궁예를 배신하게 된 장일과 달리 마지막까지 내군의 일원으로서 궁예에게 충성을 다하는 인물이다.
[image]
'''예, 폐하!'''
'''폐하의 명이시니라! 눈을 감아라.'''
장일이 주로 죄인의 압송 또는 궁예 호위 등의 일을 하는 반면에(석총의 문도들을 심문한 적도 있긴 하지만), 금대는 사람을 몰래 죽이는 더러운 일이나 궁예의 명령에 따라 죄인이나 무고한 자를 쳐죽이는 일도 자주 도맡았다. 그 유명한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에서 기침한 신하를 쳐 죽인 것도 금대였다'''. 그 외에도 아지태를 제외하면[3] 석총[4] 이나 강장자 등 네임드(?) 죄인들은 거의 금대가 쳐 죽였다.'''이~야아아아아아아압!!!'''(퍼어억!!!)
120화에서 궁예가 은부의 칼에 맞는 것으로 죽음을 당하는 것을 선택했을 때, 은부 역시 같은 방법으로 금대의 칼에 맞아 죽는 것을 선택하고, 금대는 상관 은부를 베어 죽인 후 할복하여 자결하는 것으로 최후를 맞이한다.
여담으로 저 기침 소리를 내고 맞아죽은 신하를 연기한 사람은 원로 배우인 김진오로, 근황올림픽 인터뷰에 따르면 금대가 사용한 철퇴는 클로즈업 장면에서는 쇠로 만든 진짜 철퇴가 사용됐고, 그 외 장면에서는 신문지로 만들어 물에 불려 풀을 먹인 소품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때문에 진짜로 맞으면 아팠다고 밝혔다. 전화 인터뷰를 한 최운교는 농담 섞어 자기가 철퇴로 여럿 죽였다는 이야기를 했다.
3.2. 코미디빅리그
코미디빅리그 '2018 궁예'에선 이진호가 맡은 궁예가 명령하면 철퇴로 사람들을 쳐 죽이는 금부장으로 함께 나오는데, 태조 왕건 시절과 비교하면 좀 짧다(...).
코미디빅리그 '2018 ~ 2019 장희빈'에선 금부장에서 금상궁으로 변경되었고 죽이는 용도가 철퇴에서 사약으로 바뀌었다.
[1] 견훤의 아들 신검, 양검 등이 대표적이다.[2] 단, 배우 자채는 그보다 앞서서 단역으로 견훤의 미다부리정 비장으로 나왔었다.[3] 아지태는 심문을 주도했던 왕건의 명령으로 장일이 법봉(궁예가 말하는 쇠방망이)으로 쳐 죽였다.[4] 궁예를 비판하다가 철퇴에 맞아 죽었다. 추가로 궁예는 석총을 마구니 또는 거짓미륵이라고 지칭했다. 그런데 실제로는 궁예가 마구니 또는 거짓미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