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필 1집

 


1. 개요
2. 대표곡
3. 전국적 히트
4. 수록곡

[image]
[image]
'''커버 앞면'''
'''커버 뒷면'''
'''앨범 제목'''
'''조용필 1집'''
'''발매일'''
1980년 3월 20일
'''장르'''
디스코, 국악,
'''러닝 타임'''
40:50
'''트랙'''
12
1집 곡 메들리 공연 영상. (정, 돌아오지 않는 강, 돌아와요 부산항에, 님이여[1]
<창밖의 여자> 무대 공연 영상 (1980)

1. 개요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29위(2차)'''
'''55위(3차)'''
1980년 3월 20일 발표된 조용필의 정규 1집 음반. 이전에도 음악활동을 해왔고 솔로로서도 음반을 여러 낸 바 있기 때문에[2], 엄밀히 말하면 조용필 음악 커리어에서 1집이라기보다 '''"지구레코드" 음반사에서의 첫 앨범'''이라 하는 게 정확하다. 사실상, 대마초 문제로 활동을 중단한 이후 수년만에 복귀하며 준비한 '''야심의 컴백작''' 성격이 더 강하다 볼 수 있겠다. 그렇기 때문에 이 앨범을 발표하기 전의 기존 히트곡(돌아와요 부산항에, 너무 짧아요 등)도 약간의 편곡을 거쳐 수록되어 있다. 이전에 여러 장의 앨범을 냈지만 조용필 본인도 지구레코드에서의 1집인 이 앨범을 자신의 정식적인 1집으로 카운팅한다. 이전의 앨범들은 습작의 성격이 강해 공식적인 발표작으로 취급하기에는 부끄러움이 많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2. 대표곡


이 앨범에서 가장 인기있는 곡은 "돌아와요 부산항에"이지만, 사실 이 앨범에 수록된 것은 예전에 부른 것을 편곡만 살짝 바꿔 셀프 리메이크한 것이다. 들어보면 알겠지만 당시 유행하던 Funk/Disco풍으로 편곡했다. 물론 그게 큰 비중을 차지하진 않고 조용필의 보컬과 트로트풍 연주가 주가 되며, 그를 펑키한 기타가 받쳐주는 식이다. 이전에 라디오 드라마 주제곡으로 녹음한 "돌아오지 않는 강"도 수록되어 있는 등, 앨범 발표 이전에 발표했던 곡 (너무짧아요, 돌아와요 부산항에, 정, 돌아오지 않는 강 등등...)이 꽤 많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1집자체가 1970년대 조용필이 활동하면서 취입했던 곡의 모음집 성격이 강한데, 1집 LP판 뒷면에 "조용필 대표곡 모음"이라고 쓰여 있는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물론 오리지널 곡들의 커다란 성공도 빼놓을 수 없다. 타이틀곡인 "창밖의 여자"는 엄격히 말하면, 드라마를 위해 작곡되어 먼저 발표되었지만 1집의 발매와 비슷한 시기였기 때문에 대체로 1집 오리지널 곡으로 인식된다. 기존의 단조 발라드와 달리 신시사이저 사운드의 도입과[3], 느리면서 중후한 블루스 스타일의 일렉트릭 기타 솔로의 삽입[4] 등으로 신선함을 가미시켜 폭발적 인기를 얻었다. 이러한 발라드에도 전자 음악/록 음악을 접목시키려는 시도는 꽤 대단한 것이다. 블루스 락 스타일의 기타 솔로, Kayokyoku 스타일의 멜로디이긴 하나 신스팝의 영향을 받은 신디사이저 리프...
또하나의 히트곡은 지금도 자주 불리는 "단발머리". 경쾌한 멜로디에, 당시에는 독특한 리듬이 큰 인기를 얻었다. 반주에서 소위 말하는 "뿅뿅뿅" 거리는 신시사이저 음도 이 곡이 인기를 끄는데 한 몫 했다. 1980년의 미국 디스코 히트곡인 아이작 헤이즈의 "Don't Let Go"와 1980년 당시 인기 있었던 디스코와 소프트 락을 결합한 형태의 음악들이 연상되는, 말그대로 그 당시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보아도 아주 트렌디한 음악이었다.. 미국의 1980년 연말차트를 듣고 나면 이 노래가 당시 미국에서 인기 있던 노래들과 아주 흡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미국 가수가 원곡과 다른 미국식 영어 가사로 이 노래를 불렀다면, Top 10에 들어갔을 확률이 높다. 1980년 당시 미국은 디스코의 인기가 추락함과 동시에 소프트 록, 디스코, 뉴웨이브, 락 등 다양한 장르가 갑자기 급부상하던 과도기적 시대 (디스코 폭파의 밤 이후 비 지스, 도나 서머를 대표로 하는 정통 디스코의 인기가 추락했다. 이는 1983년 마이클 잭슨, 듀란 듀란, 컬처 클럽, 프린스로 인한 MTV의 급성장 때의 컨트리 음악의 추락에 비할 수 있다. 영문 위키백과 참조)로, 단발머리와 비슷한 곡들도 인기를 끌었다. 딱 1980년만 말이다. 1981년쯤 가면 단발머리와 흡사한 스타일은 찾아볼 수 없다. 뉴웨이브, 포스트 디스코, 80년대식 프로그레시브 • 하드 록 등으로 트렌드가 확실히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81년도 과도기였으며 대체적으로 미국의 음악 평론가들이나 음악 팬들은 이 과도기를 79년부터 82년, 즉 디스코 폭파의 밤 이후부터 마이클 잭슨의 "Thriller" 열풍 이전까지로 본다. 아무튼 간에 빠르게 변화하는 영미권의 음악 트렌드를 잘 따라간 것. [5]
민요를 리메이크한 "한오백년"도 상당히 유명하다. "대전 블루스"도 리메이크하여 수록되어 있다. 록에, 트로트에, 발라드 등등 여러 장르를 소화하시는 가왕의 위엄을 이 앨범을 통해서 느낄 수 있다. 조용필 전성기의 시작인 동시에 조용필을 대표하는 앨범.

3. 전국적 히트


1집이 발매된 1980년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영상. 외부에서의 영상 재생이 불가능한 관계로 링크로 대체한다.
이 앨범의 수록곡 대다수가 전국적 히트를 치면서, 조용필은 전국적인 인기 가수의 반열에 올라서게 된다. 물론 이후의 음악 활동도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지만 조용필이 "국민 가수"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앨범의 커다란 성공이 큰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부인할 순 없다. 실제로, 이 음반은 1980년의 전체 음반 판매량에서 '''50%''' 가량을 차지했다고 한다. 마이클 잭슨을 연상시킨다. MJ이 성인이 되고 나서 처음 발표한 앨범 "Off The Wall"은 전 세계 음반 판매량의 40%를 차지했다. 게다가 연도도 똑같은 1980년이다! 이 앨범이 발표된 뒤 꽤 시간이 흐른 뒤의 일이긴 하지만,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최초로 판매량 100만장을 돌파하며 밀리언 셀러 시대를 연 작품이기도 하다.
이 앨범이 발표된 1980년은 대한민국에 컬러 TV 방송이 시작되던 시점이었다. 조용필이 이 앨범 이후 전 국민적 인기를 얻게한 요인 중 하나로, 컬러 TV 방송의 도입을 드는 연구 사례도 적지 않은데, 실제로 조용필은 정규 1집인 이 음반을 비롯해 90년대 초까지 왕성한 방송 무대활동을 하였다.

4. 수록곡


유튜브에서 듣기[6]
  • 1. 창밖의 여자 (배명숙 작사/조용필 작곡)
    • 1980년 당시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한 전자 음악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다. 당시의 초창기 신스팝/뉴웨이브와 한국적 멜로디를 결합했으며 기타 솔로에서는 블루스 록/소프트 록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다.
  • 2. 돌아와요 부산항에 (황선우 작사, 작곡)
    • 본래는 1970년에 김해일이 부른 "돌아와요 충무항에"가 원곡이나 김해일이 이듬해 대연각호텔 화재로 사망하고 작곡자 황선우가 가사 등을 고쳐서 "돌아와요 부산항에"라는 곡으로 조용필의 앨범으로 1972년 취입했다. 1976년 서라벌 레코드로 발표한 버전이 크게 히트쳤으나, 대마초 파동으로 조용필은 한동안 음악 활동을 중단해야 했고, 본작에서 다시 한 번 셀프 리메이크 하였다. 즉 정규 1집에 실린 버전은 세 번째 버전이다. 디스코의 영향을 받은 편곡이며, 펑키한 기타가 자그마한 소리로 들린다.
  • 3. 단발머리 (박건호 작사/조용필 작곡)
    • 오빠부대의 시작이라 보면 되는 곡. 1980년을 시대적 배경으로 삼은 영화 택시운전사에서도 도입부에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1980년 당시 미국의 소프트 락/디스코 음악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 4. 잊혀진 사랑 (김중순 작사/김희갑 작곡)
    • 다른 쟁쟁한 곡에 묻혀서 그렇지 꽤 히트쳤던 노래로 최근 콘서트에서도 애창하는 곡.
  • 5. 한 오백년 (민요)
  • 6. 돌아오지 않는 강 (임택수 작사, 작곡)
    • 서라벌 레코드 시절 발매했던 곡을 셀프 리메이크하였다.
  • 7.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오사랑 작사/허영철 작곡)
    • 1977년도 이은하가 발표한 히트곡이었지만 1979년 조용필이 다시 불러 사랑받았다. 애초 원곡은 1971년 발표한 나훈아의 <마지막 한마디>다. 당시는 새마을운동이 한창 전개되었던 시절이라 정부의 시책에 의해 사기를 저하시키는 슬픈 노래들은 방송 금지곡이 되었다. 그런 분위기에 휩쓸려 나훈아의 원곡은 대중에게 전혀 알려지지 못했다.
  • 8. 정 (조남사 작사/김학송 작곡)
    • 오리지널 가수는 방주연이다. 1970년 '아씨'라는 TBC 드라마가 이미자의 주제가에 힘입어 공전의 시청률을 기록했는데, 이에 경쟁사 MBC는 1971년 시대극 <정>을 기획하게 된다. 주제가에도 공을 들여서 곡을 완성한 후 김상희 등 10여 명의 인기가수들에 경합을 붙인다.투표를 통해 방주연이 최종 선정되었고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주제가도 동반 히트했다.
    • 서라벌 레코드 시절 발매했던 곡을 셀프 리메이크하였다.
  • 9. 대전 부르스 (최치수 작사/김부해 작곡)
    • 1959년 안정애가 발표했던 곡을 리메이크했다. 이 때문에 해당 곡은 80년대에 다시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이 때문에 1999년 대전역 광장에 노래비를 건립할 때 안정애는 조용필 이름을 같이 넣어달라고 했지만, 이건 받아들여지지 않아 현재 노래비에는 두 사람 이름이 모두 빠져 있다.
  • 10. 너무 짧아요 (윤철 작사/조용필 작곡)
    • 서라벌 레코드 시절 발매했던 곡을 셀프 리메이크하였다.
  • 11. 슬픈 미소 (유현종 작사/조용필 작곡)

[1] 이 곡은 후에 3집에 수록된다.[2] 두 번째 링크에 걸린 음반은 조용필이 서라벌 레코드를 통해 낸 음반 3장의 수록곡들을 추려 1장 분량으로 1984년에 재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지구레코드 이전 조용필이 녹음한 음반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조하면 좋다. 1, 2, 3, 4, 5 이 중 2번인 스테레오 힛트 앨범 제 1집은 비타민에서 재발매가 되었다.[3] 당시 세계음악의 흐름은 독일의 크라프트록을 위시로 한 전자음악이 The Human League, Devo, Gary Numan, Eurythmics와 같은 영국의 신스팝, 뉴웨이브/ Shalamar, Kool & The Gang, Prince과 같은 미국의 Post-disco/Boogie로 발전하여 정착하던 시기였다. 비록 당대의 신스팝에 비해 부족하긴 하지만, 조용필은 이런 세계적인 조류를 놓치지 않았다.[4] 1절의 녹음을 막 마친 후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녹음이 중단되어 2절 전반부에 일렉트릭 기타 솔로를 땜방으로 넣었다고 한다.[5] 당시에 이 앨범의 1면에 첫곡으로 수록된 <창밖의 여자> 가 가요톱텐 등의 프로에서 수주 동안 1위를 한 후, 2면의 첫곡인 <단발머리>가 바로 뒤를 이어서 몇 주 간 또 1위를 하는, 한 앨범에서 1위가 2곡이 나오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6] 업로더의 실수로, 재생목록은 트랙 배치가 거꾸로 되어 있으니 재생시 유의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