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와요 부산항에

 

1. 개요
2. 역사
3. 노래 가사
4. 일본에서의 인기
5. 그 외


1. 개요



한국의 가왕 조용필의 데뷔곡이자 최대 히트곡 중 하나다. 그리고 부산광역시를 상징하는 노래 중 하나.

2. 역사


법원이 인정한 가사 표절 판정곡이다. 정확히는 이 곡의 작사 겸 작곡가 황선우가 가사의 일부를 표절했다는 판정이다.[1] 사연은 조금 복잡한데, 이 곡의 창작, 편곡 과정과 연결되어 있다.
작곡가 황선우가 1969년에 처음 이 곡을 처음 만들었을 때의 제목은 '돌아와요 부산항에' 였다. 황선우는 이 곡을 통영 출신의 가수 지망생이었던 김해일(본명 김성술)과 음반 작업을 하게 되었는데, 김해일이 "통영과 관련된 노래를 부르면 통영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라고 얘기를 하여 제목을 '돌아와요 충무항에'라고 바꾸고 이 곡에다가 김해일 본인이 가사를 작사한 후 김해일 본인이 직접 노래를 불러 <유니버어살레코오드사>가 1970년 12월16일에 발표했다. #[2] 그러나 '돌아와요 충무항에'는 당시에 거의 전혀 알려지지 못했는데, 지금의 곡과는 달리 다소 늘어지는 반주였고, 가수였던 김해일은 음반 발표 후 별다른 활동을 안 하다가 군에 입대를 했고, 1971년 휴가를 나왔다가 대연각 화재사건 때 사망하고 말았다. 김해일의 사망 후 슬픔에 잠긴 유가족들은 음반을 전부 회수해 불살라버렸고 이 곡은 묻혔다. 훗날 김성술의 친구가 간직하고 있던 음반이 세상에 다시 드러난다. # # KBS 방송자료실에도 보관되었던 모양. #
그러나 작곡가 황선우는 이 곡이 사장되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1972년에 이 곡을 다시 김트리오의 멤버였던 조용필에게 줬다. 황선우는 제목을 원래 자신이 원했던 '돌아와요 부산항에'라고 바꾸고 가사도 일부 수정하여 1972년에 발표했다. 그러나 이 때도 곡은 크게 히트치지는 못했다. 이 1972년 버전은 일명 '돌아와요 해운대에'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2절에 해운대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1972년 '돌아와요 해운대에'라는 제목으로 당시 조용필과 이남이 등이 팀을 이룬 김트리오에게 넘겼다는 설이 있다.#)
4년 후인 1976년 조용필이 다시 이곡을 빠른 템포로 편곡하고 가사의 일부를 수정하여 본인의 독집 앨범에서 발표해 공전의 히트를 쳤다. 이 곡은 황선우가 작곡 겸 작사가로 기재되어 있지만, 가사의 일부분은 과거 김해일이 작사한 '돌아와요 충무항에'와 같았다. 이에 대해 작사자 김해일(본명 김성술)의 어머니가 2004년 가사 표절 소송을 제기했던 것이다.관련 기사 재판 결과 3000만원을 배상하라는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이 났고, 이후 황선우가 김성술의 유족들에게 합의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표절 논란은 일단락되었다.[3] 관련 기사 / 서울서부지법 2006. 3. 17., 선고, 2004가합4676, 판결
이후에도 조용필은 이 곡을 다시 조금 더 빠르고 경쾌한 분위기로 편곡하여 1980년, 조용필이 정규 1집을 발표하면서 수록되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게 바로 1980년 버전이다.

돌아와요 부산항에의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
이 노래가 히트한 배경에는 발표 당시에 재일교포들의 고국방문이 활성화되면서 그 정서가 이 노래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후로 이 노래는 문성재의 '부산 갈매기', '이별의 부산정거장'과 더불어 부산광역시를 상징하는 노래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조용필의 최대 히트곡 중의 하나가 되었다.

3. 노래 가사


1. 꽃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

형제 떠난 부산항에 갈매기만 슬피우네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마다

목메어 불러 봐도 대답 없는 내 형제여

돌아와요 부산항그리운 내 형제

2. 가고파 목이 메여 부르던 이 거리는

그리워서 헤매이던 긴긴날의 꿈이었지

언제나 말없는 저 물결들도

부딪혀 슬퍼하며 가는 길을 막았었지

돌아왔다 부산항그리운 내 형제


4. 일본에서의 인기



조용필이 직접 일본어로 부르는 영상도 있으며 원곡과 일본어곡의 가사는 다르다. 마지막에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한국어 원어 그대로 노래한다.
그리고 일본 방송에서 엔카 가수 덴도 요시미와 같이 출연해서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부른 적이 있었으며[4] 덴도 요시미는 1절, 조용필은 2절을 불렀다.당시의 영상으로, 25분 45초부터 보시기 바람.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일본에도 널리 알려져서 수많은 일본 가수들이 리메이크했다. 일본에서 정식 싱글로 처음 발매한 가수는 코믹 엔카 그룹 도노사마킹즈(殿さまキングス)로, 1979년 눈물의 부두(泪の波止場)라는 곡으로 발매했다. 이 당시 가사는 한국어 가사와 거의 같았다고. 이후 1983년 아츠미 지로(渥美二郎)가 釜山港へ帰れ(부산항으로 돌아와요)의 제목으로 정식 발매하면서 70만장을 팔았고, 현재 이 곡은 아츠미 지로의 대표곡 중 하나로 남아있다. 참고로 아츠미 지로 버전부터 노래 가사가 아래 내용으로 개사되었다.
그 외에도 일본 엔카의 여왕이라 불리는 미소라 히바리도 이 곡을 리메이크 하였고, 타이완의 명가수인 덩리쥔도 일본어 버전으로 이 노래를 불렀다. 일본에서 활약하던 김연자나 유명 미녀 엔카 가수인 야시로 아키, 모리 마사코, 흑인 엔카 가수 제로도 리메이크를 해서 불렀다. 당장 일본 제목인 釜山港へ帰れ로 유튜브에 검색하면 20여개의 일본 가수들의 리메이크를 볼 수 있다.
일본어 버전의 특징은, 가사가 항구에서 돌아오지 않는 남자를 기다리는 여자라는 내용으로 수정이 되었다. 미군연인을 애타게 기다리다가 숨지는 '마담 버터플라이'의 한일 버전으로 해석해 식민지을 잃은 애잔한 감정을 내포시켰다는 해석이 있으며 주간조선의 한 칼럼에서는 일본의 상속제도에서 기인한 문화차이라는 가설도 있다.[5] , 독특하게도 가사 중간의 "부산항"과 후렴의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일본어로 번역하지 않고 한국어 발음 그대로 부른다. 이 부분 가사 표기도 가타카나로 "トラワヨ プサンハンへ"일 정도. 일본에서는 그야말로 80년대 성인 가요계를 대표하던 명곡이었다. 2020년대인 지금까지도 일본 가라오케에서 한국가요 한정으로 매우 인기가 많은 인기곡으로 늘 등록되어 있을 정도. 우리나라로 따지면 사치코, 블루 라이트 요코하마를 생각하면 된다.
일본에서 리메이크를 한 대표적인 가수는 아래와 같다.

모리 마사코가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에

덩리쥔(등려군=테레사 덩)이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에 (24bit 고해상도 음질 버전)

폴 모리아의 "Please Return to Pusan[6] Port".

일본 엔카의 여왕 미소라 히바리가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에

5. 그 외


이지리스닝 음악의 대가 폴 모리아도 연주곡으로 편곡해 '''Please Return to Pusan Port'''라는 제목으로 음반에 실었는데, 그 음악은 MBC FM 라디오의 12시~2시 프로그램인 '강석, 김혜영의 싱글벙글쇼' 시그널로 쓰이고 있었다.
부산광역시 연고의 KBO 리그 구단 롯데 자이언츠는 "부산갈매기"와 더불어 이 노래를 응원가로 부른다. 1984년 한국시리즈 영상을 보면 롯데 응원단 밴드에서 이 노래를 연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 마산야구장에서 롯데 자이언츠 제2홈경기가 열릴 때는 가사의 '부산' 부분을 모두 ''''마산''''으로 바꾸고 노래 제목도 ''''돌아와요 마산항에''''로 바꿔 불렀으나 2012년 NC 다이노스가 창단된 이후부터 '돌아와요 마산항에'라는 노래는 없다. 다만 2014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울산 문수야구장에서 제2홈경기가 열리면서 이 경기장에서는 가사의 '부산' 부분이 '울산'으로 바뀌고 제목도 ''''돌아와요 울산항에''''로 바뀌었다. 그래서 울산 홈경기에서는 '동백섬'과 '오륙도' 부분을 ''''방어진''''[7]으로 바꿔 부르고 있다.[8] 2018년부터 야구장에서 부산갈매기를 부를 수 없게 되자 이 노래가 명실상부한 롯데의 대표 응원가가 됐다.
메탈슬러그 2X의 4스테이지는 아무리 봐도 배경이 중국 또는 홍콩임에도 불구하고 스테이지 이름이 '부산항에 돌아와요'이다.
애니콜의 SCH-S260의 기본 벨소리 중에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있다.

[1] 작곡은 황선우 본인이 했다.[2] 제작은 12월 16일이고, 발매는 1971년 1월 4일일 가능성이 있다.#[3] 지금의 노래 제목은 황선우가 처음 지었을 때 붙인 노래 제목이라고 한다.[4] 덴도 요시미는 공교롭게도 한국과 연관이 깊은 가수다. 1996년 전라남도진도군을 배경으로 하는 "진도 이야기(珍島物語)" 싱글을 130만장을 팔면서 대형가수의 반열에 올라서고, 2007년에는 나훈아의 "울긴 왜 울어"의 번안곡을 리메이크해서 자신의 가수생활 35주년 기념곡으로 발매했다.[5] 이는 일본에선 개항 이전부터 장남의 권위가 컸기에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형제는 남이 되는 시초""라는 속담도 있을 정도.여기 참조.[6]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Busan이지만, 노래 제목 자체는 Pusan이므로 이에 따라 표기.[7] 울산을 상징하는 어항(漁港) 중 한 곳이다.[8] 이 부분은 2008년에 개그콘서트의 전 코너 달인에서 김병만이 써먹었던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