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

 

1. 개요
2. 본문
2.1. 원본
2.2. 해석본
2.2.1. 다양한 해석
3. 형식
4. 기타


1. 개요


고려 시대에 불렸다고 전해지는 노래로, 창작자 및 창작 연도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지금 전해지는 작품은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문자로 기록된 것이다. 위키문헌그 내용이 있다.
조선 전기의 성종대에 편찬된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악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임진왜란 전까지는 궁중 향악으로 연주되었고 민간에서도 불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곡의 선율을 차용하여 조선 전기 납씨가, 대국, 경근지곡 등의 향악이 창제되었다. 옛 문헌에서 제목이나 해설을 찾을 수 없어 고려 시대에 창작된 노래라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서경별곡', '쌍화점'과 형식이 매우 비슷하고 언어 구사나 정조가 조선 초기의 노래와는 전혀 다르므로 대개 고려가요로 본다.
1등 미디어에서 문과 1등(김성기)의 유행어로 쓰인다.

2. 본문




2.1. 원본


  • 옛한글이 깨져나오는 경우 이미지 파일 참조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ᄒᆞ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ᄯᅩ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ᄅᆞ래 살어리랏다
ᄂᆞᄆᆞ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ᄅᆞ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ᄉᆞ미 ᄌ\ᅵᇝ대예 올아셔 ᄒᆡ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니 ᄇᆡ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ᄆᆡ와 잡ᄉᆞ와니 내 엇디 ᄒᆞ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2.2. 해석본


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 살겠노라.
머루다래를 먹고 청산에 살겠노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야 자고 일어나 우는구나 새야.
너보다 시름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 우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갈던 밭 갈던 밭 본다. 물 아래 갈던 밭 본다.[1]
이끼 묻은 쟁기를 가지고 물 아래서 갈던 밭 본다.[2]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럭저럭 하여 낮은 지내 왔건만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밤은 또 어찌할 것인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디다 던지는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는 돌인가.
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 없이 맞아서 우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바다에 살겠노라.
나문재, , 조개를 먹고 바다에 살겠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을 지나가다가 듣노라.
사슴이 장대에 올라가서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 보니 불룩한 술독에 독한 술을 빚는구나.
조롱박꽃 모양의 누룩이 매워 (나를) 붙잡으니 어찌하리요.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2.2.1. 다양한 해석


이 작품은 여러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유랑민
실연한 여인
좌절한 지식인
가던 새
'''갈던 사래(밭) :'''
평화롭게 농사짓던
옛날을 그리워함
'''떠난 임 :'''
나를 버리고 떠난
임으로 새를 의인화
'''날아가는 새 :'''
자신의 비탄을
위로해주는 벗
잉 무든 장글란
이끼 묻은 쟁기
이끼 묻은 은장도
날이 무딘 병기
주제
삶의 터전인 농토를
잃은 유랑민의 비애
실연의 아픔을 잊기 위한
자연으로의 도피
속세를 떠난 지식인의
염세적인 태도
3연은 시적 화자가 누구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유랑민은

갈던 밭 갈던 밭 보았느냐. 물 아래 갈던 밭 보았느냐. 이끼 묻은 쟁기를 가지고, 물 아래서 갈던 밭 보았느냐.

좌절한 지식인은

가는 새 가는 새 보았느냐. 물 아래로 날아가는 새 보았느냐. 날이 무딘 병기를 가지고, 물 아래로 날아가는 새 보았느냐.

로 해석할 수 있다.
7연의 '장대에 올라 해금을 켜는 사슴'은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1. 진짜 사슴이 장대에 올라가 해금을 연주 = 불가능한 상황 = 현실에서 기적이 일어나기를 바람
2. 사슴 분장을 한 사람이 연주 = 산대잡희 놀이[3]의 한 장면을 보며 시름을 잊고자 함
3. '사ᄅᆞᆷ'을 잘못 적은 것
'''현실과 세속을 피하는 공간으로서 자연은 '청산'과 '바다'로 그려지며''', 그곳을 동경하나 현실은 술로 시름을 달래거나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당시 고려인의 삶의 고뇌와 비애가 드러난다. 극복보다 체념에 가깝다.
7연의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에서 '에졍지'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사찰의 부엌을 의미하는 단어인 정재(淨齋)의 옛 형태가 '졍지'라는 점을 근거로 하여 '외딴 부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라 위 해석본에서는 외딴 부엌으로 번역하였다. 다른 견해로는 뜰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정제(庭際)로 보아 '외딴 마당'이나 '외딴 들판' 등으로 해석하기도 하며, 또 '외딴 부엌'은 '속세와 단절된 공간'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3. 형식


전편이 8연이고, 매 연이 4구씩이며 후렴구가 붙어 있고, 매 구가 3/3/2조(살어리/살어리/랏다)의 정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살어리(a) 살어리랏다(a) 쳥산(靑山)에(b) 살어리랏다(a)의 aaba 구조와 후렴구의 'ㄹ, ㅇ' 음의 사용으로 음악성과 리듬감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5연과 6연을 서로 바꾸면 전체적으로 구조적 대칭을 이루는 형식미가 드러나기 때문에 구전되는 과정에 순서가 좀 바뀐 것이 아닌가 라는 이야기도 있다.
성석제의 소설 <믜리도 괴리도 업시>의 제목은 이 시 5연의 구절 일부를 인용한 것이다. 소설의 내용이 이것에 관한 것이라, 구절의 의미를 생각해 보면 참 절묘하게 쓰였다고 볼 수 있겠다.
또, 화자가 현실에서 도피할 수 있는 공간인 청산과 바다를 찾아가는 심리적 추이를 중심으로 하면 기-승-전-결의 4단 구성이 된다. 이때 1연이 '기', 2~5연이 '승', 6~7연이 '전', 8연이 '결'이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는 악기의 소리를 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후렴구인데, 그 기묘함 덕분에 이곳저곳에서 쓰인다. 미묘하게도 1연에서는 '얄리얄리 얄'''랑'''셩'이지만 2연부터는 '얄리얄리 얄'''라'''셩'이다. '''학력고사 시절 전설의 문제이기도 하였다.'''[4]
여담으로 가사에 등장하는 사슴은 지금 우리가 아는 노루, 고라니와는 다른 동물로 조선 시대 말엽까지 제주도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동물이자 명물이었으나, 1910년대 중반에 제주도의 자생종 사슴은 공식적으로 멸종되었다.

4. 기타


1977년에 열린 제1회 MBC 대학가요제에서 이명우가 부른 노래인 <가시리>의 후렴구와 후반부 가사 내용으로 이 노래의 일부 가사가 쓰였다. 참고로 이 노래는 이스라엘 민요 '밤에 피는 장미'의 가락에 고려가요 가사를 붙인 곡인데, 초창기 대학가요제에는 기성곡으로 출전했거나 외국곡을 번안한 출장자도 있어 이명우가 특별한 경우도 아니었다.
노바소닉 3집 수록곡으로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김진표 본인이 2000년대 초반부터 운영해 오던 개인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하여 팬들에게 정확한 청산별곡의 가사를 물어보기도 하였다.
사극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고려말 떠돌이 강창사로 위장한 검객 이방지부르는 노래로 나온다. 작중 이방지가 대표하는 서글픈 민초의 신세와 잘 어우러져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22학년도 수능 연계교재인 수능특강 문학에 수록되었다

[1] 또는, '날아가는 새 본다. 날아가는 새 본다. 물 아리 날아가던 새 본다.' 로 해석할 수 있다.[2] 또는, '이끼 묻은 은장도를 가지고..' , '지식인의 병기를 가지고..' 로 해석할 수 있다.[3] 큰 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광대들이 탈을 쓰고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이야기 하는 것[4] 알랑셩인 1연은 악기소리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