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논슈터/역사
1. 출시 당시
7. V(5차 전직) 패치
8. KMS 1.2.269 패치
9. KMS 1.2.274 패치
10. KMS 1.2.276 패치
11. KMS 1.2.278 패치
12. KMS 1.2.284 패치
13. KMS 1.2.294 패치
14. KMS 1.2.309 패치
15. KMS 1.2.313 패치
16. KMS 1.2.316 패치
17. KMS 1.2.319 패치
18. KMS 1.2.324 패치
19. KMS 1.2.324(3) 패치
20. KMS 1.2.332 패치
21. KMS 1.2.335 패치
22. KMS 1.2.338 패치
23. KMS 1.2.340 패치
24. KMS 1.2.344 패치
1. 출시 당시
처음 나왔을 때에는 신직업답게 사기 소리도 듣고, 듀얼블레이드와 함께 유이한 유니크 직업군이라서 생성 제한까지 있었다. 더불어 최초로 '''링크 스킬'''을 들고 나온 직업이기도 했다. 그러나 레전드 때 캐논슈터랑 같이 나온 2명에 비해 여러면으로 크게 빈약했고 나중엔 큰 너프까지 당해버렸다. 나올땐 좋았지만 오한별 시기 이후에 '''보스 몬스터 및 기타 잡몹의 악몽들'''이 하나 둘씩 등장한 나머지, 순식간에 공기라는 이름의 불명예스러운 칭호까지 달게 되었다.
물론 인식만 공기 수준이었지, 실제로는 괜찮은 성능을 자랑했던 것은 사실이다. 허나 상기했듯이 독자적인 스토리 라인도 빈약하고, 게임 등골을 분질러버릴 정도로 신직업만 죽어라 우대하던 당시 특성상 캐논슈터는 자연스레 망각의 대명사가 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제작진들까지 캐논슈터를 공기 취급해서 제대로 된 상향도 없었기 때문에 오죽하면 창고지기 캐서방이라 불렸겠는가.
자세한 역사는 캐논슈터 문서의 '''공기''' 문단을 보면 알 수 있다.
2. RE:BOOT 패치
메르세데스, 제논, 류드 안 든 카이저처럼 밸런스의 평균점에 위치한(?) 직업이라 그런지 운영자 측에서 공속 향상과 세부사항 개선 및 벅 샷 상향만 해주었다. 게다가 상향은 상향인데 오히려 패치 전보다 DPM순위가 더 낮아지고 다른 직업들이 크게 상향될 때 캐논슈터는 제대로 된 상향을 받지 못했다.
3. 조율자의 섬세한 손길 1차 패치
수치 상으로는 확실한 상향이나 '''데미지 증가와 보스 공격시 데미지 증가가 합 적용'''인걸 감안하면 그렇게까지 잘한 패치는 아니다. 단점 항목에서도 볼 수 있겠지만 비교적 잘 오르는 노버프 스탯 공격력과 퍼센트 데미지에 비해 '''캐논슈터의 화력은 그다지 높지 않다.''' 일부 스킬은 최종 데미지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4. 조율자의 섬세한 손길 2차 패치
기간틱 백스텝의 시전 딜레이 감소는 상당히 좋은 패치임이 분명하다. 이 스킬과 캐논 점프를 조합하면 더 나은 기동성을 보여줌은 물론인데다 공격 회피도 조금 더 용이하게 되어서 캐슈콥터, 캐로호 라는 소리까지 듣게 되었다.
몽키 웨이브는 이제서야 잉여 공격기에서 벗어나는 줄 알았지만 새로 생긴 부가 기능의 지속 시간이 고작 10초. 몽키 웨이브 데미지도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닌데 부가 효과를 받기 위해 틈틈이 써줘도 안 쓰는 경우와 비교했을때 차이가 거의 없어서 오히려 DPM이 낮아지지는 않을지 의문.
오크통 룰렛의 기능은 제법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딜레이가 길고 지속 시간 150초, 쿨타임 180초라는 점은 불만을 사고 있다. 쿨타임은 노틸러스의 부가 효과를 의식해 길게 잡은 걸로 보이지만 지속 시간 150초는 캐논슈터의 주력 버프의 지속시간이 180초라는 걸 생각하면 이것은 지속시간을 단순화하겠다는 리부트 패치 때의 컨셉을 무시하는 패치로 보인다.
상술한 것도 있고 단점 항목에서도 서술하겠지만 '''캐논슈터의 화력은 생각보다 밑바닥권에 위치한다.''' 3번 연속으로 상향되었음에도 말이다. 몽키 퓨리어스나 오버버닝 캐논의 데미지 증가를 최종 데미지 증가로 바꾸는 등 계속적인 큰 개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 조율자의 섬세한 손길 3차 패치
- 캐논 점프 - 공중에서 2회만 사용 가능하게 바뀝니다.
6.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2차 패치
'''스킬 하나가 달라지면 사람을 얼마나 웃고 울게 만드는지 알려주는 패치'''
우선 '''소환수 스킬이 캐릭터 데미지 공식을 따르게 되면서 캐논슈터의 화력은 몰라보게 개선'''되어 제논의 저격만큼의 화력을 가지게 되어 '느린 공격속도를 가졌지만 높은 퍼센트데미지를 가져 중간은 간다는 설정'은 어느 정도 지켜진 셈이다. 이 부분에서는 분명 캐논슈터가 얻은 것이 있다.
하지만 얻은 것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오류이긴 하지만 키다운 스킬에서 소환수 스킬로 바뀌었음에도 벅샷이 적용되던 롤링 캐논 레인보우였는데 벅샷의 설명을 공식적으로 수정하고 '''롤링 캐논 레인보우에 벅샷이 적용되던 오류를 수정'''함으로서 일부 고자본 캐논슈터의 비판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오류는 당연히 수정해야 할 것이었지만 비숍의 조율자의 섬세한 손길 패치 사례처럼 '''익숙해진 유저가 손해를 보지 않게끔 패치를 하는게 좋았을것'''이라는게 유저들의 중론이다.
마크네틱 앵커가 왼쪽을 보고 설치하면 앵커가 공격할 때 좌우가 바뀌는 오류, 소환수의 공격은 크리티컬이 적용되는데 파티원한테는 적용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소소한 오류가 남았지만... 일단 롤링 캐논 레인보우를 빼면 상향으로 보는 분위기다.
그리고 상향 덕을 꽤 보았는지, 2016년 2월 26일 노멀 데미안 최초 클리어 파티에 당당히 딜러로 입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1]
7. V(5차 전직) 패치
'''전설이 되다'''
''' 모험가 해적, 아니 은월과 더불어 모든 해적직업의 희망'''
문장 뜻 그대로 크고 아름다운 5차 스킬을 받았다. '''B'''ig '''F'''use '''G'''igantic Cannon, 줄여서 BFG 캐논(...). 15초마다 1개씩 준비되고 최다 3개까지 저장할 수 있는 메이플에서 드문 충전식 스킬인데, 사용하면 정말 '''크고 아름다운''' 대포가 화면의 1/9 정도를 뒤덮으면서 느릿느릿 날아간다. 이 과정에서 다단히트를 하게 되고, 거기다가 벅 샷의 효과까지 적용되기 때문에 타격 횟수가 화면을 가득 채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모험가 해적 중 공격력을 운에 맡기는 총잡이는 사냥기만 하나 더 받았고, 출시 후 지속적으로 컨셉이 옅어진 싸움꾼은 초사이언으로 변신만 했지 이렇다 할 상향점이 없는 데에 비해 캐논슈터는 걸출한 성능의 설치기를 받게 되면서 타 해적과의 격차가 엄청나게 벌어졌다. 게다가 코어 강화도 심플한 것이, 보스 전용인 캐논 버스터와 캐논 바주카, 설치기인 서포트 몽키 트윈스만 집중적으로 강화시키고 나면 나머지는 알아서 고르면 된다. (하지만 코어강화만 심플하지 쉬운 것은 아니다. 하단의 단점 참조.)
느린 기본 공격속도도 쓸만한 윈드부스터로 커버하면 그다지 신경쓰지 않아도 될 정도.(단, 고레벨이 되고 상위보스에 참가하게 되면 풀공속은 필수이다.) 여러 모로 모험가 중에서 5차 전직 덕을 잘 본 편이다.
8월 18일 패치로 BFG 캐논의 연사 딜레이가 1초에서 3초로 늘었지만, 캐논의 성능이 워낙 좋아서(...) 납득되는 하향이라는 게 중론. 실제로 5차 이후 DPM 순위가 5위로 상승하였다.(캐논볼 5초 풀히트 기준. 2016/09/27 DPM표 참조.)
하지만 보스가 항상 5초간 풀히트해주는 경우는 보스가 고정형이거나 바인드사용 아니면 없으므로 유도를 잘 해서 스킬을 사용해야(즉, 보스가 캐논볼에 노출되는 시간을 늘려줘야) 제대로 된 딜을 뽑아낼 수 있다. 캐슈는 캐논볼의 의존도가 높으니 보스를 잘 유도해보자.
테스트 10월 21일 패치로 캐논 바주카의 딜레이가 변경되어 데미지가 좀 늦게 들어가게 변경되었다. 루시드 잡몹 처리에 매우 뛰어난 능력을 견제하려는 패치로 보인다.
8. KMS 1.2.269 패치
'''천상계에서 인간계로 내려오다.'''
BFG 캐논의 탄알 준비 시간이 20초로 늘어났다.[2] 쿨타임 5초 추가는 본래 쿨타임(15초)에서 무려 33.3%가 증가한 것으로 체감이 꽤 큰 편이다. 그에 걸맞게 DPM도 수직 하락하여 12월 22일 기준으로 6위에서 12위(11103055.98%)로 추락하였다. 하지만 관짝으로 들어간 것은 아니며, 캐논슈터의 긴 사거리와 간단한 딜싸이클은 그대로이므로 그럭저럭 납득하는 분위기.
또한 신규 5차 스킬로 아주 처참한 스킬을 받았다. 캐논슈터/스킬 참조....
9. KMS 1.2.274 패치
'''캐논슈터는 어떻게 다시 초강캐가 되었나'''
캐논슈터의 핵심 기술인 캐논볼의 준비시간이 20초에서 25초로 증가했다. 캐논볼의 첫번째 너프 이후 캐논슈터의 딜량은 최상위권에서 중상위권으로 내려온 상태라 유저들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여론이 거세다. 아마 하향 평준화 패치에 캐논슈터도 포함된 모양. 이 패치로 캐논슈터는 사냥만 그럭저럭 좋은[3] 이도저도 아닌 중하위권 캐릭이 되어버렸다.
이와는 별개로 ICBM에 무적 판정이 생겼는데, 현재 테스트서버에 캔슬로 완전무적이 되는 버그가 생겨버렸다. 이 버그는 본섭으로 넘어오면서 수정되었으나 발사 후 무적이기에 정작 중요한 조준 중에는 아무런 보호를 받지 못하며, 조준-발사 과정에서 오는 딜손실은 여전하다. 그리고 무적 시간도 불규칙하여(1~3초)활용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역대급 잉여스킬의 행보를 계속 이어갈 전망이다.
10. KMS 1.2.276 패치
캐논 버스터의 퍼댐은 확실히 올라갔지만, 그 이전에 ICBM의 문제가 수치가 아닌 스킬 메커니즘 그 자체에 있다는 사실을 인지를 못 하는 듯.
11. KMS 1.2.278 패치
ICBM 무적시간 패치 후, 최소 0.5초, 최대 7초까지 지속됐던 들쑥날쑥했던 무적시간이 수정되었는데 수정된 시간이 1초(...)[4] 라 하향이라고 보는게 편하다. 이젠 활용 가치조차 없는 스킬.
12. KMS 1.2.284 패치
폭발 피해 자체는 타당 2,800%p만큼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무적 시간도 준비 동작까지 옮겨갔다. 하지만 가장 문제인 스킬 매커니즘 자체는 그대로이기에 숫자 놀이나 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상황. 활용도는 여전히 낮을 전망이다.
13. KMS 1.2.294 패치
오버버닝 캐논이 최종 데미지를 증가시키도록 변경되었고, 동시에 ICBM을 '''또''' 건드렸다. 이번에는 폭발 피해를 대폭 줄이고 지속 공격으로 바꾸면서 오염 지역의 피해량을 소폭 늘렸는데, 여전히 준비 모션의 긴 선딜은 그대로이고 보스가 순간이동 등으로 1초를 다 채워 맞지 않으면 기존보다 딜이 하향이라 더 안습해졌다. 그나마 오버버닝 캐논의 상향 덕분에 30위권을 유지하던 DPM이 11위로 뛰어오른 것은 다행이지만, 여전히 BFG 캐논볼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에 아쉽기는 매한가지.
14. KMS 1.2.309 패치
스페셜 몽키 에스코트의 사거리와 타수가 상향 조정되었다. 추가로 버프 프리저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리스크도 줄어들었다. 물론 몽키 에스코트 자체는 피해량보다 자체 AI의 문제가 더 심각해서 유의미하다고는 할 수 없다.
15. KMS 1.2.313 패치
16. KMS 1.2.316 패치
17. KMS 1.2.319 패치
캐논슈터의 전용 링크 스킬이었던 파이렛 블레스가 모험가 해적 공통 링크 스킬로 바뀌었다. 최대 HP/MP 증가 효과가 퍼센티지에서 고정 수치로 바뀌었고, 여기에 받는 피해 흡수 효과가 추가로 붙었다. 마스터 레벨이 6레벨까지 올라가면서 올스탯을 조금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링크 스킬 칸을 차지하지 않고 레벨만 올라가는 점은 장점이지만, 모험가 중 유일한 링크 스킬 보유자라는 특징은 사라졌다.
18. KMS 1.2.324 패치
ICBM의 폭발 피해량이 증가했다.
19. KMS 1.2.324(3) 패치
2019년 9월 26일 서버렉 개선을 빌미로 먹인 잠수함 패치의 보상 목적으로 무적 시간을 늘려주었다. 발사 전 무적시간은 안 늘려준게 아쉽다는 평이 다수. 쿨타임이 30초인 대신 무적시간이 3초로 크게 늘어서 유틸기의 효율은 크게 좋아졌다.
20. KMS 1.2.332 패치
테섭에서는 40회였으나, 여론이 들끓자 본섭 도입 직전에 50회로 소폭 늘렸다. 또한 캐논 바주카의 액션 딜레이를 줄여서 사냥 편의성을 늘렸다. 코코볼 너프가 타격이 크나 다른 직업들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타수가 많았던 것은 사실이었고, 타수는 너프될 만했다. 이로 인해 대미지 총량까지 줄어들어 아쉽다는 평이 많았다.
21. KMS 1.2.335 패치
- 캐논슈터의 몽키가 가끔 보이지 않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 캐논슈터의 몽키 웨이브 버프가 현행 로직과 동일하게 버프 지속시간 증가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는 스킬 설명이 추가됩니다.
22. KMS 1.2.338 패치
코코볼의 타수가 대상 1명당 40회로 감소되고, 캐논 스파이크와 바주카의 액션 딜레이가 줄었다. 그리고 ICBM의 발사 후 무적시간이 줄어들었기에 보다 섬세한 컨트롤이 필요해졌다.
23. KMS 1.2.340 패치
ICBM의 타수 분할은 초고스펙이 아니라면 큰 의미가 없지만, 준비 동작의 무적 시간이 공격 속도에 영향을 받는 현상이 수정됨에 따라 준비 동작 시 무적시간과 발사 후 동작의 무적시간이 끊기지 않고 이어질 수 있어 기존에 활용이 어려웠던 준비 동작 무적시간을 활용하기 용이해졌다. 무릉에서 오염 지역이 남아 있어 소소하게 이득을 볼 수 있던 점은 수정되었다.
24. KMS 1.2.344 패치
캐논 버스터에 유도 기능이 추가됐고, 몽키 웨이브의 크뎀 버프 지속시간이 2배 증가했다. 그밖에는 공격 범위 증가와 액션 딜레이 감소가 주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