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논슈터/스킬
1. 개요
2.1. 컴백홈 캐논(Homeward Cannon)
2.2. 수영의 달인(Master of the Swimming)
2.3. 수납의 달인(Master of the Organization)
2.4. 파이렛 블레스(Pirate Blessing)
3. 1차: 해적(캐논슈터) (해적 입문서, 레벨 10)
3.1. 캐논 스플래셔(Cannon Blaster)
3.2. 펀칭 캐논(Cannon Strike)
3.3. 기간틱 백스텝(Blast Back)
3.4. 몽키 푸시(Monkey Boost)
3.5. 빌드업 캐논(Cannon Boost)
4. 2차: 캐논슈터(캐논슈터 가이드, 레벨 30)
4.1. 슬러그 샷(Scatter Shot)
4.2. 몽키 러쉬붐(Barrel Bomb)
4.3. 캐논 부스터(Cannon Booster)
4.4. 몽키 매직(Monkey Magic)
4.5. 크리티컬 파이어(Critical Fire)
4.6. 캐논 마스터리(Cannon Mastery)
4.7. 파이렛 트레이닝(Pirate Training)
5. 3차: 캐논블래스터(캐논블래스터의 길, 레벨 60)
5.1. 캐논 스파이크(Cannon Spike)
5.2. 몽키 퓨리어스(Monkey Fury)
5.3. 몽키 웨이브(Monkey Wave)
5.4. 캐논 점프(Cannon Jump)
5.5. 오크통 룰렛(Barrel Roulette)
5.6. 럭키 다이스(Luck of the Dice)
5.7. 리인포스 캐논(Reinforced Cannon)
5.8. 바이탈 익스트림(Pirate Rush)
5.9. 반격의 슈터(Counter Crush)
6. 4차: 캐논마스터(캐논마스터의 완성, 레벨 100)
6.1. 캐논 바주카(Cannon Bazooka)
6.2. 캐논 버스터(Cannon Barrage)
6.3. 마그네틱 앵커(Anchors Aweigh)
6.4. 서포트 몽키 트윈스(Monkey Militia)
6.5. 전함 노틸러스(Nautilus Strike)
6.6. 파이렛 스피릿(Pirate's Spirit)
6.9. 오버버닝 캐논(Cannon Overload)
6.10. 하이퍼 몽키 스펠(Mega Monkey Magic)
6.11. 더블 럭키 다이스(Double Down)
7.1. 스킬 강화 패시브
7.1.1. 서포트 몽키 트윈스-스플릿 데미지(Monkey Militia–Splitter)
7.1.2. 서포트 몽키 트윈스-퍼시스트(Monkey Militia–Persist)
7.1.3. 서포트 몽키 트윈스-인핸스(Monkey Militia-Enhance)
7.1.4. 캐논 바주카-리인포스(Cannon Bazooka–Reinforce)
7.1.5. 캐논 바주카-엑스트라 타겟(Cannon Bazooka–Spread)
7.1.6. 캐논 바주카-보너스 어택(Cannon Bazooka–Extra Strike)
7.1.7. 캐논 버스터-리인포스(Cannon Barrage–Reinforce)
7.1.8. 캐논 버스터-크리티컬 레이트(Cannon Barrage–Critical Chance)
7.1.9. 캐논 버스터-보너스 어택(Cannon Barrage–Extra Strike)
7.2. 공격 / 버프 액티브
8.1. 스킬 코어
8.1.1. 로디드 다이스(Loaded Dice)(해적 공통)
8.1.2. 파이렛 플래그(Pirate's Banner)(모험가 해적 공통)
8.1.3. 오버 드라이브(Overdrive)(해적 공통)
8.1.4.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Maple World Goddess's Blessing)
8.1.5. 빅 휴즈 기간틱 캐논볼(Cannon of Mass Destruction)
8.1.7. 스페셜 몽키 에스코트(Monkey Business)
8.1.8. 풀 메이커(Poolmaker)
8.2. 강화 코어
9. 관련 문서
1. 개요
메이플스토리의 직업 캐논슈터가 사용하는 스킬들을 정리한 문서.
2. 0차: 초보자 (모험의 기술)
2.1. 컴백홈 캐논(Homeward Cannon)
[image]
캐논슈터의 귀환 스킬. 캐릭터가 90˚로 거치된 커다란 대포 안에 들어간 뒤, 안대를 쓴 몽키가 도화선을 잡아당기며 격발한다.
2.2. 수영의 달인(Master of the Swimming)
모험가 해적 공통 패시브. 아쿠아로드와 같은 수중 필드에서의 움직임을 한결 수월하게 만들어 준다.
2.3. 수납의 달인(Master of the Organization)
캐시 인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인벤토리를 확장시키는 모험가 해적 공통 패시브. 이 덕분에 초반 인벤토리 걱정을 덜 수 있다.
2.4. 파이렛 블레스(Pirate Blessing)
모험가 해적(바이퍼, 캡틴, 캐논슈터)의 링크 스킬. 캐논슈터 전용에서 해적 공용이 된 스킬로서, 메이플스토리 '''최초'''의 링크 스킬이다. 무난한 효과지만 직접적으로 와닿는 효과가 없어서 우선 순위는 밀리는 편이다. 그나마 4개 스탯 중 3개를 사용하는 제논이나 몸 약한 유니온 캐릭을 키울 때 제로 링크와 함께 챙겨볼 만한 정도.
3. 1차: 해적(캐논슈터) (해적 입문서, 레벨 10)
3.1. 캐논 스플래셔(Cannon Blaster)
[image]
1차 주력 다수기. 허공에 폭발을 일으켜 주변의 적을 공격한다. 1차 스킬 치고는 사거리가 긴 편이지만, 폭발 범위가 좁아서 최대 대상을 노리기는 힘들다.
3.2. 펀칭 캐논(Cannon Strike)
[image]
대인 공격기. 캐논으로 장난감 펀치글러브를 발사한다. 1차 당시에는 단일 대상을 공격할 일도 없고, 캐논슈터 스킬 치고는 사거리가 짧은 편이라 외면당하기 일쑤다. 무엇보다도 4차 때 캐논 버스터를 배우면 당연히 버려진다.
3.3. 기간틱 백스텝(Blast Back)
후방 회피기. 전방으로 캐논을 발사하여 그 반동을 타고 후방으로 약간 밀려나듯 이동한다. 날아가는 도중 급정거하거나 보스몬스터 패턴 피하기 등 미세한 컨트롤이 필요할 때 주로 사용한다.
3.4. 몽키 푸시(Monkey Boost)
[image]
[image]
캐논슈터의 더블 점프. 체공 중에 점프 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원숭이가 있는 힘껏 등을 떠밀어 먼 거리를 도약한다. "꺅!"(...) 하는 원숭이의 시끄러운 울음소리는 압권. 모험가 3도적의 플래시 점프를 연상시킬 정도로 이동 거리가 길다.
3.5. 빌드업 캐논(Cannon Boost)
공격력과 방어력을 제공하는 패시브.
4. 2차: 캐논슈터(캐논슈터 가이드, 레벨 30)
4.1. 슬러그 샷(Scatter Shot)
[image]
[image]
2차 주력 다수기. 전방으로 여러 발의 포탄을 발사해 공격한다. 퍼댐은 높지만 타겟 수가 몽키 러쉬붐에 비해 적어서 주력으로 사용하기에는 뭔가 아쉬울 때가 많다. 대신 러쉬붐과 달리 점프샷이 가능하기 때문에 러쉬붐을 사용하기 힘든 곳에서 요긴하다.
4.2. 몽키 러쉬붐(Barrel Bomb)
[image]
[image]
제자리 밀격기. 사용 시 커다란 오크통을 굴려서 일정한 거리만큼 보스 몬스터를 제외한 일반 몬스터들을 밀어내고 마지막에 폭발한다. 오크통은 발판 끄트머리에 도달하면 알아서 밑층으로 굴러떨어진다. 필드 정리나 적을 밀어내는 용도로는 확실하지만 가끔 공격 중인 적을 밀어내지 못할 때가 있고, 발판 끄트머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무릉에서 코코볼 풀히트를 위해 자주 쓰인다.
4.3. 캐논 부스터(Cannon Booster)
[image]
공격속도 증가 액티브 버프. 단풍잎이 표시되는 모험가들의 부스터 스킬 이펙트와 달리 시전 시 위쪽에 보라색 핸드 캐논의 이펙트가 표시된다.
4.4. 몽키 매직(Monkey Magic)
[image]
다양한 효과를 구비한 액티브 파티 버프. 최대 HP/MP와 올스탯, 이동속도, 점프력을 올려준다. 4차 전직 후 하이퍼 몽키 스펠로 강화할 수 있다.
4.5. 크리티컬 파이어(Critical Fire)
크리티컬 확률과 데미지를 증가시키는 패시브.
4.6. 캐논 마스터리(Cannon Mastery)
무기 마스터리 패시브.
4.7. 파이렛 트레이닝(Pirate Training)
주스탯 및 부스탯 증가 패시브.
5. 3차: 캐논블래스터(캐논블래스터의 길, 레벨 60)
5.1. 캐논 스파이크(Cannon Spike)
[image]
[image]
3차 주력 다수기. 커다란 대포와 거치대를 소환해 전방 일직선으로 포탄을 발사한다.[1] 퍼뎀은 괜찮으나 신궁의 피어싱처럼 유도 기능이 없으며 다수의 적을 공격해도 뒤쪽에 있는 몬스터가 시간차를 두고 조금 후에 데미지를 입는다는 점이 흠. 어차피 4차 스킬인 캐논 바주카의 하위호환 내지 열화판에 가깝기 때문에 4차 전직 이후에는 완벽히 버려진다.
5.2. 몽키 퓨리어스(Monkey Fury)
- 시전 이펙트
- 고탄성 포탄
- 디버프
댐증 디버프기. 목이 좁은 항아리 모양의 대포를 소환해서 주변 지형에 튕기는 대포알을 발사한다. 대포알에 맞은 적들은 일정 시간 동안 지속 피해와 총 데미지가 증가하는 댐증 디버프를 받는다. 보스전 필수 스킬. 한 일(一)자 필드에서는 상당히 먼곳까지 날아가기 때문에 코어강화를 해서 사냥기로 쓰기도 한다.
5.3. 몽키 웨이브(Monkey Wave)
[image]
크리티컬 확률을 겸한 다수 공격기 및 크리티컬 데미지 액티브 버프. 커다란 북을 힘껏 쳐서 천둥과 번개를 일으켜 적을 공격한다. 아무런 조건 없이 사용하면 충전해서 사용해야 하지만, 크리티컬 공격 시 일정 확률로 완충 상태가 되어 즉발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완충 상태에서 사용 시 캐릭터에게 60초 동안 크리티컬 데미지가 증가하는 버프가 걸리는데, 양은 적지만 확정 크리티컬을 구비했을 시의 효율이 좋아서 공격기보다는 버프기 개념으로 자주 쓰인다.
5.4. 캐논 점프(Cannon Jump)
[image]
[image]
상향 이동기. 아래로 캐논을 발사해서 그 반동을 이용해 위로 뛰어오른다. 지상에서는 세 번, 공중에서 두 번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몽키 푸시를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점프 높이가 상당해서 위쪽으로 긴 사냥터에서 엄청난 효율을 자랑한다.[3] 단, 공격 스킬이 제한되는 필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 스킬도 퍼뎀이 책정된 공격 스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격 스킬이므로 공격 반사도 주의해야 한다.
몇몇 초고자본 캐슈 유저의 경우 이 스킬을 V 매트릭스 강화하여 사냥기로 쓰기도 한다.[4] 캐논 바주카의 경직 문제가 심하기 때문이다. 다만 퍼뎀이 210%로 너무 낮아서 벅 샷의 효과를 받아도 웬만한 스공으로는 원킬이 안 난다는 게 문제.
5.5. 오크통 룰렛(Barrel Roulette)
[image][image]
[image][image]
최종 데미지 증가를 겸한 랜덤 액티브 버프. 사용 시 4가지 버프 중에 하나가 무작위로 걸린다. 가장 선호되는 옵션은 얼음의 크뎀증. 그러나 뜻밖에도 슬로우 또한 선호되는 경우가 있다.[5] 하지만 코코볼에 맞춰 보스의 움직임을 유도할 때는 방해가 될 수도 있다.
5.6. 럭키 다이스(Luck of the Dice)
모험가 해적 직업군 공통 랜덤 버프. 4차 스킬 더블 럭키 다이스로 강화할 수 있다. 보통 주사위의 눈이 4 이상 나왔을 때를 성공한 것으로 본다.
5.7. 리인포스 캐논(Reinforced Cannon)
공격력 및 공격속도 증가 패시브. 캐논의 공격속도가 느리고, 1레벨만 올려도 공격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직 후에 바로 포인트를 투자하는 게 좋다.
5.8. 바이탈 익스트림(Pirate Rush)
방어 능력치를 제공하는 패시브. 공격이 최선의 방어인 메이플 특성상 우선순위가 밀린다. 또한 실질적인 방어력이라 할 수 있는 피해 감소나 피해흡수 관련 효과는 없기 때문에 방어력 50%를 증가시킨다 하더라도 종잇장같은 내구도를 자랑한다.
5.9. 반격의 슈터(Counter Crush)
[image]
반격을 발동시키는 패시브. 적에게 공격당할 때마다 일정 확률로 캐논을 휘두르는 모션을 취하며 반격한다. 이때 캐릭터의 머리 위에는 '''COUNTER'''라는 보라색 문구가 뜨며, 최대 HP에 비례한 피해를 주는 공격을 제외한 모든 공격의 피해를 받지 않는다.[6] 덕분에 아카이럼과 카오스 반반의 즉사기, 파풀라투스의 레이저 교차, 카오스 블러디 퀸의 화염 브레스와 같이 고정 데미지를 입히는 공격을 맞으면 35% 확률[7] 로 즉사하지 않는다. 확률도 낮은 편이 아닌지라 운이 좋으면 간간이 발동된다.
6. 4차: 캐논마스터(캐논마스터의 완성, 레벨 100)
- 필요 마스터리 북
마스터리 북 20 : 8개
마스터리 북 30 : 7개
마스터리 북 30 : 7개
6.1. 캐논 바주카(Cannon Bazooka)
[image]
4차 주력 다수 공격기. 전방을 향해 직선으로 나아가는 화염을 발사하여 다수의 적을 공격한다. 순차적 공격을 하는 캐논 스파이크와는 달리 동시 공격이며, 전방 사거리가 어지간한 원거리 공격기보다 길고[8] 벅 샷 없이 퍼뎀도 강력한 편이라 팬텀이 스틸 스킬로 애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MP 소비량이 많고, 자체 효과음도 큰데다 벅 샷의 효과까지 겹치면 스피커가 째질 정도의 소음이 발생한다.[9]
6.2. 캐논 버스터(Cannon Barrage)
[image]
[image]
캐논슈터의 보스전 단일 주력기. 캐논 바주카보다 사거리가 짧은 대신 타당 퍼뎀만 750%, 총합 퍼뎀도 3,000%에 달해서 준수한 축에 속한다. 하이퍼 스킬 보너스 어택을 찍으면 3,750%라는 독보적인 퍼뎀을 자랑한다.[10] 추가 크리티컬 확률과 자체 추가 방무는 보너스. 다만 캐논슈터의 스킬이 다 그렇듯 2등급(최대 공속) 기준 지연 시간이 690ms로 다른 직업군들 주력기보다 조금 느리다.[11] MP 소비량은 63으로 제법 많고 공격 효과음도 캐논 바주카와 다름없다.
아쉽게도 투사체 스킬이기에 20레벨 코어 강화 시 타겟 수 1 증가 효과를 받지 못한다.
6.3. 마그네틱 앵커(Anchors Aweigh)
[image]
[image]
설치형 소환수 스킬. 사용 즉시 전방에 N극(빨간색)과 S극(파란색)을 지닌 닻 모양의 자석을 설치한다. 자석은 주기적으로 자기장을 방출히 주변의 적을 끌어당기며 공격하고, 유지시간이 만료되면 폭발하여 2차 피해를 가한다. 퍼댐이 낮아서 피해량 자체는 경미하지만, 보스전에서는 어그로 분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공이 높은 편이라면 5차 전직 후 스킬 강화 60레벨을 달성해서 설치형 사냥기로 쓰는 경우도 있다.
6.4. 서포트 몽키 트윈스(Monkey Militia)
[image]
[image]
[image]
[image]
설치형 소환수 스킬. 제자리에서 대포 공격을 하는 두 마리의 원숭이를 즉시 불러낸다. 소환수라서 벅 샷의 영향은 받지 않지만, 일단 설치형이라는 장점 덕분에 스공과 강화 코어 레벨을 높여 1~2킬 컷을 맞추면 사냥 속도도 빨라지고, 보스전에서도 주목할 만한 점유율이 나온다. 그리고 설치 전후로 별도 동작이 없어 자리 이동이 빠른 것도 장점이다.
6.5. 전함 노틸러스(Nautilus Strike)
[image]
[image]
모험가 해적 공통 광범위 공격기.[12] 캐릭터의 머리 위에 전함 노틸러스를 소환해 폭격한다. 소환수 스킬처럼 보이지만, 즉발 스킬로 판정되기 때문에 벅 샷의 효과를 받는다. 또한 시전 시 오크통 룰렛과 럭키 다이스의 '진행중인 재사용 대기시간'을 반감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6.6. 파이렛 스피릿(Pirate's Spirit)
[image]
추가 반격 확률과 보공 패시브를 포함한 액티브 버프. 스탠스 확률이 생기고 영구적으로 반격 확률이 35%가 된다. 확정 스탠스가 아니라 80%인 점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패시브 효과가 이를 어느 정도 보상해 준다.[13]
6.7. 메이플 용사(Maple Warior)
6.8. 용사의 의지(Hero's Will)
6.9. 오버버닝 캐논(Cannon Overload)
어드밴스드 마스터리(엑스퍼트)를 겸하는 공격 능력치 제공 패시브. 최종 데미지와 공격속도, 방무까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전직하자마자 1레벨은 찍어주고 빠르게 마스터하는 편이 좋다.
6.10. 하이퍼 몽키 스펠(Mega Monkey Magic)
몽키 매직의 강화판. 몽키 매직의 기존 효과를 대체하지만, 비숍의 어드밴스드 블레스처럼 별도 액티브 효과로 판정되지는 않는다.
6.11. 더블 럭키 다이스(Double Down)
럭키 다이스의 강화판. 주사위 두 개를 굴려서 숫자가 같으면 해당 숫자의 버프 효과가 강화되어 나온다. 물론 숫자 1은 똑같이 꽝이고,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효과가 강화되는 일도 없다.
7. 하이퍼 스킬 : 캐논마스터(레벨 140)
7.1. 스킬 강화 패시브
보통 캐논 버스터-리인포스/보너스 어택, 캐논 바주카-리인포스/보너스 어택, 서포트 몽키 트윈스-인핸스를 선택하는 편이다.
최상위 보스를 바라보는 초고자본 유저의 경우 바주카를 강화하지 않아도 원킬이 나므로 캐논 바주카-리인포스 대신 서포트 몽키 트윈스-스플릿 데미지를 찍고 보스 딜링에 집중하는 스킬트리를 타기도 한다. 원숭이 1마리를 추가하는 인핸스보다 퍼뎀은 낮지만, 대신 인핸스보다 타수가 1 많아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모험가 해적 중에서도 바이퍼, 캡틴과 달리 더블 럭키 다이스 관련 패시브가 없다.
7.1.1. 서포트 몽키 트윈스-스플릿 데미지(Monkey Militia–Splitter)
실질적으로 서포트 몽키 트윈스의 최종 데미지가 20% 증가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스킬 포인트가 빠듯해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스킬은 아니다.
7.1.2. 서포트 몽키 트윈스-퍼시스트(Monkey Militia–Persist)
서포트 몽키 트윈스는 재사용 대기시간에 비해 지속시간이 월등히 길기 때문에 추천되지 않는다.
7.1.3. 서포트 몽키 트윈스-인핸스(Monkey Militia-Enhance)
설치 장소에 안대를 한 원숭이 한 마리가 추가되며, 실질적으로 서포트 몽키 트윈스의 최종 데미지가 50% 증가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7.1.4. 캐논 바주카-리인포스(Cannon Bazooka–Reinforce)
사냥 뿐만 아니라 보스전을 도는 캐릭터에게도 추천된다. 캐논 버스터의 사거리가 바주카보다 짧을뿐더러 버스터의 해괴한 판정 때문에 보스를 맞추지 못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
7.1.5. 캐논 바주카-엑스트라 타겟(Cannon Bazooka–Spread)
캐논 바주카의 기본 대상 수가 8명이고, 강화 코어 20레벨을 달성하면 9명이기 때문에 굳이 추가할 필요는 없다. 다만 아케인 리버 이후로는 좁은 지형에 필드몹들이 밀집되어 있는 경우도 잦기 때문에 고려할 만하다.
7.1.6. 캐논 바주카-보너스 어택(Cannon Bazooka–Extra Strike)
캐논 바주카의 타수가 적고 타당 퍼댐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최종 데미지 25% 증가나 다름없다. 이 스킬 없이 원킬이 난다 하더라도 타수 증가 자체는 다방면에 쓸모가 많으니 필수.[14]
7.1.7. 캐논 버스터-리인포스(Cannon Barrage–Reinforce)
보스 주력기이니까 필수.
7.1.8. 캐논 버스터-크리티컬 레이트(Cannon Barrage–Critical Chance)
크리티컬 확률은 다른 요소로 충분히 보충할 수 있고, 이 패시브의 크리티컬 확률은 오직 캐논 버스터에만 적용된다. 즉 범용성이 적다.
7.1.9. 캐논 버스터-보너스 어택(Cannon Barrage–Extra Strike)
캐논 바주카-보너스 어택을 선택하는 이유와 같다. 캐논 바주카의 공격 횟수가 5회로 늘어나 총합 퍼댐인 3,750%로 증가하며 벅 샷의 최종 데미지까지 추가되면 약 4,900%에 육박하는 전직업 원탑의 퍼댐이 나온다.
여담으로 캐논 버스트의 이펙트가 탄환을 4개 발사하는 형식인데 이 하이퍼를 투자하면 4번째 탄환이 발사된 직후 바로 마지막 탄환이 한 발 더 나가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7.2. 공격 / 버프 액티브
7.2.1. 벅 샷(Buckshot)
[image][15]
공격 스킬의 공격 횟수를 3배로 늘리는 대신, 최종 데미지를 감소시키는 액티브 버프. 깎아내는 폭이 절반 이상이지만 타수가 3배로 늘어나기 때문에 '''최종 데미지가 (0.45×3=)1.35배로 증가한다.''' 캐논슈터의 스킬들은 대개 타수가 4~5타로 적은 편이며 선후 경직이 긴 대신 퍼댐이 높은 스킬이 대다수라 최소/최대 스공 차이로 인한 데미지 격차가 큰 편이다. 벅 샷은 타수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타격당 딜 점유율이 각 타격에 비교적 고르게 분산되어 격차로 인한 리스크도 덩달아 줄어든다. 다시 말해 벅 샷은 안정성과 딜링 강화를 동시에 잡는 버프라고 할 수 있다.
지속시간이 180초로 꽤 짧은 편인데도 하이퍼 스킬이라서 버프 지속시간 증가 옵션의 효과를 받지 못하지만, 이건 펫 자동 버프 등록으로 상쇄된다. 소환수에 적용되지 않는 것도 전 직업이 소유한 모든 타수 증가 스킬의 공통점이니 논할 것도 없다. 오히려 진짜 문제는 '''소음 유발'''에 있다. 벅 샷이 적용된 캐논 바주카와 캐논 버스터의 효과음이 스피커가 찢어질 정도로 커지는데, 타수를 3배로 늘리면서 타격음도 '''동시에''' 3번씩 출력된 결과다.[16] 볼륨 조절에 소홀하면 깜짝 놀랄 수도 있으니 요주의.
공격 횟수를 최대치만큼 늘려줄 수 있는 스킬이라 신스킬이 추가될 때마다 오류도 종종 발생한다. 벅 샷을 쓴 캐논슈터가 일부 공격 횟수가 6회를 넘어가는 공격 스킬을 쓰면 사실상 공격 횟수가 5회까지만 적용된다. 이는 신스킬 추가 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며, 간혹 조율자의 섬세한 손길 업데이트로 생긴 소환수 공격 미적용도 무시하고 적용되어 대개 5회를 상회하는 소환수의 공격이 대폭 약해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한술 더 떠서 아예 데미지 감소만 받고 타수 증가가 적용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7.2.2. 롤링 캐논 레인보우(Rolling Rainbow)
[image]
[image]
설치형 소환수 스킬. 사용 시 스토너와 서포트 트윈 몽키 형제가 거대한 범선을 타고 나와서 삼색 광선포를 발사한다. 소환수 스킬이라 벅 샷은 적용되지 않지만 공격 주기가 짧아서 피해량 비중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사냥에서 설치형 광역기로 쓸 수도 있고 보스전에서도 아래의 빅 휴즈 기간틱 캐논볼과 더불어 준수한 극딜기로 쓸 수 있다.
7.2.3. 에픽 어드벤쳐(Epic Adventure)
[image]
8. 5차: 캐논마스터(레벨 200) / V 매트릭스
8.1. 스킬 코어
8.1.1. 로디드 다이스(Loaded Dice)(해적 공통)
[image]
[image]
럭키 다이스의 눈을 고정하여 원하는 버프를 얻을 수 있다. 럭키 다이스와 별개의 버프이며 더블 럭키 다이스 발동 시 주사위를 3개 던진다. 같은 눈은 합산하여 적용된다. 럭키 다이스 스킬을 가지고 있지만 바이퍼와 캡틴과 달리 하이퍼 스킬 강화가 존재하지 않는 캐논슈터의 경우 7번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스킬 레벨을 올려도 패시브 공격력 외 강화 효과가 없으므로 최상위 스펙을 노리지 않는 한 1렙으로 둬도 상관없다.
8.1.2. 파이렛 플래그(Pirate's Banner)(모험가 해적 공통)
[image]
능력치 증폭과 방어율 감소 효과를 지닌 장판을 설치하는 모험가 해적 공통 액티브 버프. 깃발을 꽂는 모션을 취하는 동안 슈퍼 스탠스가 적용되지만, 스탠스 유지 시간이 짧은 편이라 활용하기는 힘들다. 대신 장판 자체의 기능이 준수한데, 당장 마스터 기준 메이플 용사보다도 7~10%나 더 높은 AP 증가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리저리 이동하는 매그너스나 스우, 데미안같은 보스를 상대로는 안정적으로 장판의 효과를 누릴 수 없다는 게 단점이다.
8.1.3. 오버 드라이브(Overdrive)(해적 공통)
[image]
일정 시간 동안 무기 순수 공격력을 증폭시켜 피해량을 높이는 해적 공통 액티브 버프. 아케인셰이드 무기처럼 순수 공격력이 높은 무기를 착용하고, 레벨을 착실히 올려두면 꽤 높은 폭의 공격력 증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핸드캐논은 해적 직업군 무기중 순수 공격력이 가장 높으므로 효율이 매우 좋다.
8.1.4.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Maple World Goddess's Blessing)
[image]
8.1.5. 빅 휴즈 기간틱 캐논볼(Cannon of Mass Destruction)
- 시전 이펙트
- 거대 포탄
설치형 광범위 공격기이자 극딜기. 사용 시 전방을 향해 천천히 날아가면서 접촉한 적을 0.35초 주기로 공격하는 거대 포탄을 발사한다.[26] 높은 퍼댐과 날아가는 속도에 비해 공격 주기가 짧아 빠르게 다단히트하며, 소환수가 아닌 설치기에 가까운 스킬인지라 벅 샷이 적용된다. 패치 내역에 따라 캐논슈터의 화력을 좌지우지하는 최중요 스킬.
다만 이 스킬에는 태생적인 단점이 있는데, 일단 설치형 스킬이다 보니 자주 자리를 변경하는 보스를 상대로는 효율이 급감한다. 또한 보스의 이동 경로가 포탄의 이동 경로와 정반대이거나 지나치게 빠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대로 공격하지 못한다. 특히 상위 보스(윌, 루시드, 데미안 등) 일수록 순간이동과 회피기동이 심해서 더욱 두드러진다. 그리고 V 업데이트 이전까지는 정식 캐릭터에게 사용되지 않았던 충전식[27] 인데, 이 준비 시간을 표기하는 방법이 약간 낮은 명도의 회색을 쿨다운과 비슷한 방식으로 걷어내는 것이고, 여기에 준비 시간과 쿨다운을 한 아이콘에 표현하지 못한 탓에 시각적 편의성이 심하게 떨어진다.[28] 그밖에도 공격 주기가 너무 짧아서 저사양 컴퓨터의 렉을 유발하는 등 각종 단점들이 산재해 있다.[29]
여담으로 이 스킬은 본명보다 별명이 더 보편적이다. 이른바 '''코코볼'''. 5차 스킬이 공개되었을 때는 정식 명칭이 'BF 캐논볼'이었고, 이를 본 인소야의 한 유저가 5차 스킬을 '코코볼'이라고 부른 것이 유행이 되어 이름이 바뀐 현재까지도 널리 쓰이게 되었다. 사건 정리글 왜 하필 '코코볼'이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30] 코코볼 광고 중 원숭이가 커다란 바나나를 타고 가는 것이 캐논볼과 비슷해서 이렇게 이름 붙여졌다는 추측이 가장 유력하다. 해당 광고 영상
8.1.6. ICBM(The Nuclear Option)
[image]
[image]
[image]
[image]
무적 겸 수동 조준형 광범위 공격기. 시전 후 키다운 시 캐릭터가 커다란 대포를 들고서 최대 5초 동안 조준 자세를 취하며, 위아래 방향키로 발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키다운을 마치면 그 직전의 각도로 포탄을 발사한다.[33] 이후 발사한 포탄이 떨어진 자리에는 15초 동안 오염지역이 생성되며, 오염지역 안의 적들은 일정 주기로 피해를 입는다.[34]
높은 총 피해량과 함께 보스 레이드에서 꼭 필요한 유틸리티인 '''무적'''을 제공하는 스킬이므로, 반드시 채용해야 할 스킬이다. 사냥에서는 캐논슈터에게 부족한 상향 범위를 커버하는 스킬이기도 하지만, 오염지대를 깔아두는 장판 설치형 스킬로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대신 사용 시 경직이 크기 때문에 패턴을 고려하지 않고 섣불리 썼다간 그대로 비득할 수 있고, 너무 빠르게 키다운을 풀어버리면 준비하기도 전에 취소될 위험이 있다.
8.1.7. 스페셜 몽키 에스코트(Monkey Business)
- 시전 이펙트
- 기본의 로이
- 속사의 맥시
- 폭발의 카키
- 몽키 봄 이펙트
종속•이동형 소환수 스킬. 캐릭터의 등 뒤를 따라다니는 원숭이 세 마리를 소환한다. 원숭이들은 각기 다른 주기로 대포를 발사하며 공격한다. 적을 인식하는 범위는 평범하지만, 화력 측면에서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데다 몽키 붐의 폭발 범위도 넓다. 고로 보스전에서는 화력 보조원으로, 사냥에서는 보통 메소나 아이템 회수할 때 주변을 정리하는 용도로 쓴다.
8.1.8. 풀 메이커(Poolmaker)
- 시전 이펙트
- 포격
- 보급품 투하
자신 및 파티원을 지원하는 기능이 포함된 보조 공격기. 사용 시 공중에 벅 샷 적용이 가능한 포격을 연사한다. 연사된 포격은 일정 주기로 지면을 수직으로 폭격하며, 최대 HP가 가장 높은 적을 되도록 우선으로 노린다. 적을 타격하지 못한 포격은 보급품으로 변경되어 투하되며, 시전자를 포함한 파티원이 보급품에 가까이 가서 위 방향키(↑)를 누르면 데미지가 증가하는 버프가 걸리고 최대 HP의 일정 비율이 회복된다.
최대 HP가 높은 적을 우선으로 타격한다고는 하나, 보급품을 제외한 타격이 반드시 일점으로 집중되지는 않는다. 평균 5~6회 가량은 빗나가거나, 보급품으로 전환된다고 보면 된다. 또한 보급품은 같은 필드에 셋 이상 놓일 수 없으므로, 보급품이 2개 쌓인 후부터는 빗나가도 보급품으로 투하되지는 않는다. 그러니 쏘고 난 후부터는 그냥 최대한 원하는 대상에 맞기만을 기대해야 하는, 다소 무작위성이 짙은 화력 보조 스킬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8.2. 강화 코어
주력 다수기인 '''캐논 바주카'''와 보스전 주력기인 '''캐논 버스터'''가 우선이며, 3중 코어를 노린다면 '''서포트 몽키 트윈스'''를 포함한다. 그외에는 사냥 보조 용도로 마그네틱 앵커, 전함 노틸러스, 몽키 퓨리어스를, 보스전 보조 용도로 롤링 캐논 레인보우를 강화하기도 하나 필수는 아니다. 이렇게 유효 코어는 3개, 2순위까지 포함한다면 최대 7개 정도로, 얼핏 보면 무난하다. 하지만 코어 종류가 무려 16개라 3줄 코어를 위해 무효 코어 9~13개와 긴 싸움을 해야 하므로, 강화 난이도는 강화 순위에 비해 매우 높다.[42]
전용 스킬 코어는 '''빅 휴즈 기간틱 캐논볼-스페셜 몽키 에스코트-풀 메이커-ICBM'''로 순위가 정해진다. 캐논볼, 통칭 '코코볼'은 캐논슈터의 화력을 책임지는 중추이므로 가장 먼저 강화해야 한다. 에스코트는 강화할수록 지속시간이 늘어나 화력 비중이 커지므로 그 다음 순위가 된다. 마지막으로 ICBM은 보통 무적 보고 쓰는 스킬이고, 낙진지대의 비중도 보기보다 크지 않으므로 풀 메이커에 밀린다.
9. 관련 문서
[1] 이펙트 변경 이전 진짜로 스파이크라는 이름에 걸맞게 드릴을 쏘던 스킬이었다.[2] 대상 수가 적혀있지 않다. 대략 8~10명 정도로 추정.[3] 몽키 푸시로 튀어나가는 도중에 중 이 스킬을 타이밍에 맞게 사용하면 도약하는 거리가 대폭 늘어난다.[4] 아란의 파이널 토스, 듀얼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어센션도 같은 맥락이다.[5] 검은 마법사 3페의 파괴의 천사 패턴에서 선호된다. 투사체가 중앙으로만 발사되는 만큼, 이를 구석에 몰고 슬로우로 잡아두기 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6] 반격해도 리스크테이커 링의 버프는 해제된다.[7] 파이렛 스피릿 마스터 레벨 적용 기준.[8] 전방 범위가 무려 '''695px'''다. 이를 뛰어넘는 전방 범위를 가진 스킬은 신궁의 피어싱(710px)과 스나이핑(730px), 그리고 차지드 애로우(약 '''1100px'''), 메카닉의 매시브 파이어: IRON-B('''1100px''') 정도뿐이다.[9] 이때는 옵션 창에서 효과음을 최대한 낮추면 해결된다.[10] 여기에다 벅 샷의 최종 데미지 35%가 추가되면 총합 퍼댐만 무려 4,900%에 육박한다.[11] 대부분 직업군들의 보스전 단일 주력기의 평균 지연 시간 수치는 600ms다.[12] 듀얼블레이드의 써든레이드처럼, 전함 노틸러스도 캐논슈터가 원조였다가 공통 스킬로 바뀌었다.[13] 스탠스 100%를 향유하고 싶다면 유니온이나 하이퍼 스탯에 투자하면 된다.[14] 루시드 1페이즈같이 소환 잡몹이 길막하는 경우 다수기인 캐논볼이랑 바주카로 때려야 한다.[15] 스킬 시전 이펙트에서 산탄이 나가는 이펙트는 캡틴의 3차 전직 발키리의 스킬인 더블 배럴 샷의 이펙트이다.[16] 비단 벅 샷만이 아닌 메이플 효과음 출력 방식 자체의 문제다. 우르스 Great나, 팔라딘의 그랜드 크로스 다수 적중 시 등 터질 듯한 소리를 느껴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17] (10+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18] (10+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19] (60-스킬 레벨)초[20] (2000-스킬 레벨×10)[21] (20+스킬 레벨×2)%[22] 기본 70초에 5레벨마다 1초씩 감소한다.[23] (100+스킬 레벨×10)%[24] (5+스킬 레벨 2레벨 당 1)% 소수점은 버린다.[25] (450+스킬 레벨×15)%[26] 1366×768 해상도를 기준으로 화면의 1/12 가량을 차지할 정도의 크기다.[27] 첫 도입은 핑크빈의 불꽃 요요다.[28] 심지어 준비 시간은 기존 재사용 대기시간과는 다른 구조를 가져서 다른 직업의 5차 스킬들과는 달리 각종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효과를 받지 못한다.[29] 루시드 1페이즈에서 캐논슈터만으로 구성된 6인 파티에서 6명 모두 코코볼 3개를 연달아 사용하면 엄청난 프레임 드롭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 클라이언트가 종료되기까지 한다. [30] 작성자 본인도 자신이 코코볼이란 별명을 만든 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밝혔다.[31] (800+스킬 레벨×32)%[32] (500+스킬 레벨×20)%[33] 포탄의 공격 판정은 1초 동안 6회 발생하므로, 실제 타수는 15(벅 샷 적용)×6=90타이다.[34] 무적은 꺼낼 때와 발사 직후 적용되는데, 꺼낼 때 무적 시간은 굉장히 짧으므로 무적기로 활용하려면 발사 후 1초 동안 이어지는 무적시간을 이용하는 게 훨씬 낫다.[35] (30+스킬 레벨×0.5)초. 소수점은 버린다.[36] (300+스킬 레벨×12)%[37] (450+스킬 레벨×18)%[38] (700+스킬 레벨×28)%[39] (5+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40] (15+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41] '번개'의 효과로 나오는 추가 공격의 피해량을 강화한다.[42] 캐논슈터가 코어 강화를 정말 완벽하게 하려면 4개의 스킬 중 3개가 들어있는 '''4/16, 3/15, 2/14'''라는 확률을 뚫어야 하는데, 당연히 유효 3줄이 하나일 리는 없다. 애초에 캐논이 첫 3줄을 뽑을 확률도 약 '''0.71%'''에 불과하다. 그러니 바주카와 버스터 위주로 먼저 강화하고, 나머지는 육성 상황에 따라 차츰차츰 늘려나가는 방식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