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마이누

 

[image]
코마이누상(왼쪽)과 사자상(오른쪽)을 비교하는 일본의 사진. 오른쪽 아래에 '''고려'''(高麗)에서 유래했다는 내용을 담은 서술이 보인다.
1. 개요
2. 상세
3. 이외의 더 다양한 사진
4. 대중문화에서


1. 개요


狛犬(こまいぬ[1]
일본 대부분의 신사에 늘어서있는 개와 유사한 형태의 동물 조각상.[2] 보통 수호견/수호수라는 의미에서 신사 주변에 배치해두거나 한다.[3]
한자가 달라졌지만 고려(코마)에서 기원했다하여 코마이누라는 이름이 붙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고마이누이다.
일부 코마이누상에 뿔이 있는 점은 해태 원판과 유사하지만, 한국의 해태(해치)[4]의 모습과 비슷하다. 일본에서는 이런 한국의 해태를 지금도 '高麗犬(코마이누,고려견)'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2. 상세


최초의 원형은 고대 서아시아일대의 사자 조각과 기원전 3세기경 인도(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 왕이 세운 돌기둥 꼭대기의 사자상이 당나라로 전해진 것으로 여겨진다.[5] 이후 중국 왕조의 사자, 해태상과 한국 왕조의 사자 또는 해태상의 영향을 받고, 일본만의 특색이 가미된 것이 현재의 코마이누이다.
한국에서 일본, 그리고 오키나와로 전래되었고, 처음 조각상을 접한 당대 일본인들은 이를 고려('코마')에서 넘어왔으니 코마이누라 부르게 되었다. 상술했듯이 한자가 달라졌지만, 이는 현재까지 코마이누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다. 다른 이름으로는 '가라이누' 로도 부른다.
일본에서는 신사와 동시에 코마이누는 그 역사가 깊은데, 나라 시대 동안에는 코마이누 한 쌍은 항상 두 개의 사자로 구성되었다. 14세기까지 실내에서만 사용되었으며, 주로 목재로 만들어졌다. 8세기경 건립된 도지에서 나온 유물에 따르자면, 이미 당대부터 코마이누상과 사자상은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image]
[image]
코마이누상
사자상
헤이안 시대 초기에는 입을 벌린 것을 동물과 닮았기 때문에 '아'형, 입을 다문 것을 '운(훔)' 형이라고 불렀다.[6]
이때부터 명칭이 굳어져 코마이누(komainu) 또는 "고구려 개"라고 불리게 되었고 점차 모습도 다양해지며 우스꽝스러운 모습부터 근육돼지적인 야수의 모습을 갖추거나 때로는 머리에 단 하나의 뿔로 만들어질만큼 변해갔지만, 동물의 외형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지는 않았기에 공통적으로 풍성한 머리결이 조각상에 나타난다.
이렇듯 형상에 있어서 크게 변했으나 여전히 코마이누라 불렸다.
[image]
기묘한 포즈의 코마이누
[image]
마치 사자 같은 코마이누
[image]
굳센 모습의 코마이누
[image]
우습게 생긴 코마이누
센고쿠 시대에서부터 각기 신사에 보편적으로 자리매김되었으나 주로 입구에서만 사용되었는데, 이는 해태와 본질이 비슷하여 악마를 내쫒거나, 악한 것들로부터 건물을 수호한다고 믿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코마이누는 관습적으로 문과 문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일본의 비오는 날씨에 대한 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코마이누는 점차 목재가 아닌 습윤기후에 좀 더 잘 버티는 돌로 새겨지기 시작한다.
에도 시대부터 사자 또는 개 대신에 야생 동물 , 호랑이, 용 , 여우, 토끼등의 동물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개(코마이누)와 함께 다른 동물들이 함께 설치되기도 하였다. 이 경우 '코마-(狛-)'를 앞에 붙이고 해당 동물상의 동물 명칭을 붙여 불렀다.[7] 신사에 안치된 카미(神:신)에 따라 코마상의 종류와 모습도 다르다.
[image]
교토 이나리 대사에 있는 코마이누 대신으로 세워진 여우석상[8]

3. 이외의 더 다양한 사진


[image]
효고현의 니시노미야(西宮神社) 신사의 코마이누.
[image]
시마네현 야에야마 신사의 코마이누
[image]
이즈모 로쿠쇼 신사의 코마이누
[image]
시코쿠의 코타히라 신사의 코마이누. 오카자키 양식이라고 하여 근대에 제작된 코마이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image]
키타규슈 야카사 신사(八坂神社)의 코마이누

4. 대중문화에서


코마이누를 모티브로 한 로봇 가우디안阿가우디안吽이 등장한다.
단역으로 등장했다.
3면 보스인 코마노 아운의 모티브로, 동방자가선에서 하쿠레이 신사 앞에 있던 코마이누상이 사계이변의 영향으로 석상의 신령이 구현화된 존재라는것이 밝혀졌다.
보스인 아고일 더 시사로이드&우고일 더 시사로이드의 모티브가 된 두 동물 중 하나. 시사를 모티브로 하고 있지만, 둘이 한조라든가, "입을 벌린" 아가타의 아고일, "입을 다문" 운가타의 우고일이라는 이름 등 코마이누의 요소 또한 가지고 있다.
등장요괴인 프리티족코마상코마지로 형제의 모티브이다.
910화에서 와노쿠니에서 히히라는 요괴와 싸우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폭포에 휩쓸려 일행에 떨어진뒤 정신을 차린 루피가 이를 목격한다. 코마이누를 멧돼지같은 개로 생각한다.
마스코트 캐릭터 타마 할아범이 코마이누다.
사쿠라바 카즈키라이트 노벨 GOSICK의 후기에는 신사의 코마이누를 훔쳐간 작가의 친구에 대한 에피소드가 나온다.
NPC 캐릭터 안개족의 족장 중 한 명인 토요쿠니의 모티브이다.
등장인물 소준의 종족이 코마이누이며, 이명또한, '악마의 코마이누'

[1] 한국어 한자 독음으로는 狛犬을 "박견"이라 읽는다.[2] 아래의 유래를 보면 알겠지만 '개' 라고 칭해지면서도 개보다는 해태를 더 많이 닮은듯한 모습이 눈에 띈다.[3] 정작 이름을 직역하면 '''고려(에서 온)개''' 라는 뜻이 된다. 다만 이 용래로 쓰이기보단 보통 문이나 신사의 수호견이라는 의미로 통용된다.[4] 한국의 해태, 특히 조선왕실에서 쓰인 해태에 이 없는 이유는 당시 제후국으로 있던 조선의 입장이 반영되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해태 문서를 참조하는게 좋다.[5] 실크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변형된 사자상은 독특한 개성을 얻게 되었고, 이것이 중국에 도착하여 후대 해태의 형태 정립에 영향을 미쳤다.[6] 산스크리트어의 첫 글자가 아, 마지막 글자가 훔이라고 한다. 신비적으로 해석하여 각각 우주의 시작과 끝을 상징한다고 한다. 그래서 불교 영향을 받은 종교상에서 입을 벌린 것을 아, 닫은 것을 훔이라고 부르며 한 쌍으로 배치한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 석굴암의 금강역사상도 입을 벌린 것과 닫은 것이 있어서 각각을 아 금강역사, 훔 금강역사라고 구분한다.[7] 코마도라(狛虎.호랑이), 코마키츠네(狛狐.여우)처럼.[8] 이나리신-여우처럼 어느 특정 신의 권속이나 사자(使者)로 여겨지는 동물을 신시(神使, しんし)라고 부르는데, 해당 신의 신사에 코마이누 대신 이런 신시의 석상이 있는 경우가 있다. 다른 예시로 사이타마현 지치부시의 신사들에서는 코마이누 대신 늑대를 신시로 모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