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 게이머
1. 개요
코어 게이머는 캐주얼 장르만 즐기거나 짧게 게임을 즐기는 라이트 게이머보다 다양한 장르를 폭 넓게 열성적으로 즐기는 게이머를 칭하며 '미드코어 게이머'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커뮤니티 활동, 레이드, 공대, 랭킹과 같은 경쟁 등으로 게임을 더 깊게 파고드는 유저들을 다시 분류해서 '하드코어 게이머'라고 부른다.[1]
2. 상세
플랫폼별로 나눈다면 업소용(아케이드)>가정용(거치형 콘솔, PC)>휴대용(휴대형 콘솔, 모바일)순으로 기체의 크기나 가격이 높고 시장이 작을수록 코어 게이머의 비율이 높다.[2]
콘솔 게임의 주 타겟층이며 한때 캐주얼 게임이 강세였던 모바일 시장조차도 지금은 코어 게이머들을 타겟으로 게임을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3][4] 사실 이는 당연한 것이 캐주얼 게이머들은 게임을 잠깐 하고 말기 때문에 게임에 지출하는 것을 꺼리고, 플레이 주기와 플레이 시간이 고정적이지 못하며 게임 자체를 더 이상 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유저층 자체가 안정적이지 못하다. 반면에 코어 게이머들은 게임 구매나 인앱 결제에 거리낌이 없고 플레이 주기와 플레이 시간이 고정적이기 때문에 유저층이 굉장히 안정적이다. 또한 후속작이 나오든 말든 큰 관심이 없는 캐주얼 게이머들과 달리 코어 게이머들은 후속작이 나온다고 하면 전작에서 평가를 말아먹지 않은 이상은 무조건 구매를 하기 때문에 후속작에 대한 판매량이 보장된다. 이를 바꿔 생각하면, 결국 게임 시장은 특정 소비자층을 타게팅하여 만들 수밖에 없는 비교적 마이너한 시장이라는 뜻도 된다.
콘솔 게임은 현세대에 와서 코어 게이머 위주의 시장이 되었기 때문에 플레이스테이션 4나 엑스박스 원을 보유한 사람들 중 상당수는 코어 게이머로 보면 된다.[5][6] SIE의 정책 또한 코어 게이머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서 대중적인 게임보다는 매니악한 게임 위주로 발매하고 있으며, 대상 소비자층도 여성이나 청소년보다는 성인 남성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콘솔의 대중성이 점점 사라지는 것을 우려하는 시각도 상당히 많다.
반면 닌텐도는 게임 인구의 확대를 목표로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이와는 반대로 저연령, 캐주얼 게이머들을 중시하고 있다. 비록 코어 게이머와 라이트 게이머를 모두 수용하기 위해 개발한 Wii U가 처참하게 망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스플래툰이나 마리오 카트 같은 캐주얼 게임들을 내놓고 있다. 최근에 출시된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과 유료 온라인 정책 등을 봤을 때 닌텐도 역시 성인 코어 게이머를 대상으로 타겟을 조금씩 옮기는 중이라는 추측도 존재한다 스위치 유저의 86%가 18세 이상이라고 한다. # 다만 이 추측에서 한가지 간과한 점은 바로 성인 유저 = 코어 게이머가 아니라는 점. 또한 스위치의 컨셉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던 즐기는 게임" 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닌텐도 스위치 또한 주 타겟층은 라이트 게이머라고 할 수 있다.
루리웹. 인벤, 디시인사이드 등의 게임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유저들도 대부분 코어 게이머에 해당된다.
3. 비판
3.1. 선민사상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벌어지는 플레이스테이션, 엑스박스, 닌텐도 간의 기종싸움을 봐도 알 수 있지만, 코어 게이머는 자신들이 다른 일반인과는 다르게 게임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선민사상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라이트 게이머, 특히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람들을 겜알못이라며 무시하는 사고를 가지며 이들을 비난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7]
코어 게이머는 주로 콘솔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많은데, 콘솔 게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콘솔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는 유저들을 무시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루리웹에서 자주 벌어지는 일인데, 특정 게임이 특정 콘솔 독점으로 나올 경우 이에 대해서 불평한다면 그냥 콘솔 사면 안되나? 는 식으로 응수하기도 한다.
3.2. 국산 게임을 향한 과도한 적개심
하지만 이들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국산 게임을 향한 과도한 적개심이라 할 수 있는데, 루리웹 등 게임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국산 모바일 게임이나 국산 온라인 게임에 대한 기사를 올리면 대부분이 딱 봐도 망하게 생겼다, 한국 게임이 한국 했다, 내가 하는 게임보다 훨씬 못하네 는 식의 의견이 올라올 정도이다. 여기까지는 소비자의 정당한 의견 제시로 볼 수 있지만, 문제는 코어 게이머가 국산 게임,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를 보고 개돼지, 도박사 등의 멸칭을 쓰며 이들을 비난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물론 국산 게임이 문제가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코어 게이머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소비자의 입장에서 비판할 수 있지만, 국산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까지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과연 옳은 행동일지는 생각해 볼 문제이다. 개인의 선택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선택이지, 이에 대해 비난하는 것은 자신의 취향을 강요하는 것 그 이상도 되지 못한다.
4. 관련 문서
[1] 사실 게이머의 분류는 유명 커뮤니티나 개발자들이 얘기한 것들을 통일하고 정리한 것만 있을 뿐 명확히 정의된 게 없다. 그래서 좀 애매한 감이 있다.[2] 예를 들면, 플스방이나 PC방까진 몰라도 PSP방이나 아이폰방을 이용할 게이머는 없을 것이다.[3] 시드 마이어가 말하길 역사적으로 캐주얼한 게임 플랫폼과 시장은 어느 정도 흥했다가 다시 떨어지는 패턴을 보였다고 한다.[4] 그러나 서비스 기간이 길고 넓은 유저풀이 중요한 온라인 게임에서는 라이트 게이머의 비중도 무시할 수 없기에 마냥 코어 게이머 위주로만 컨텐츠를 만들진 않는다.[5] 라이트 게이머의 대부분은 게임전용 콘솔을 소유할 생각이 없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보면 당연하다.[6] 재밌게도 PC 보급률이 낮았던 시기에는 컴퓨터로 게임을 하는 쪽이 코어 게이머였다.[7] 하지만 이들 중 일부는 게임성이 빈약하다고 지적받는 소녀전선, 라스트 오리진 같은 코레류 게임을 하거나 지나친 과금 유도로 비판받는 시어터 데이즈, FIFA 시리즈같은 게임을 즐기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코어 게이머가 악성 유저가 되는 경우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