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펙티오
[image]
ペルフェクティオ
슈퍼로봇대전 D의 최종 보스. 2차 OG에서 배정된 성우는 세키 토시히코.
루이나의 총수. 파브라 포레스에서 나타난 파멸의 왕이 페리오 래드클리프의 영혼을 소멸시키고, 그 육체를 차지한 모습이다.
다른 멜리오르 에세의 이름이 특정 요소를 뜻하는 이름인데 반해, 이쪽은 이름이 라틴어로 '''완벽하게 만듦'''이라는 의미.[1]
이유는 모르겠지만 파멸의 왕이 빙의할 때, 페리오의 육체가 젊은 모습으로 돌아가서 겉모습은 조슈아과 비슷한 또래의 젊은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버지의 육체답게 조슈아와 외모도 비슷하게 생겼다. 이 덕에 보통 일본 쪽에서 농담삼아 부르는 호칭이 '완벽아버지(完璧親父)'.
일시적인 육체에 불과하기에, 파멸의 왕 그 자체의 힘을 전부 발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페르펙티오 자체도 상당히 강력하지만.
"파멸의 왕"은 작중에서 상당히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는 '''그가 완벽하게 나타나게 되면, 그 세계는 반드시 멸망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파멸의 왕이란 '무한하게 퍼진 세계를, 무한하게 원초의 어둠으로 되돌리는 것(멸망시키는 것)'인 듯하다.아예 '''세계의 멸망이라는 현상 그 자체'''를 파멸의 왕이라 칭하고 있는 듯.
탑승기는 파툼. 말이 탑승기지, 파멸의 왕 입장에선 이것 역시 페리오의 육체처럼 이쪽 세계에서 쓰는 임시적인 기계몸에 지나지 않는다.
스스로 말하기를 모든 우주에 걸쳐 존재한다고 하며 D에서는 본편 세계 이전에 메가존 23의 세계에 강림하려 했으나 역시 사전에 저지된 바 있다. 하지만 강림하는 접점을 끊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지구를 두들겨 부쉈고 덕분에 메가존 23 세계의 지구는 죽음의 별이 되고 말았다.
본편에서도 파멸의 왕의 부활을 막기 위해 기신성간 제국군의 즈루 황제는 차원 이동의 중심점이 되는 지구를 파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고 지구를 반양자폭탄으로 파괴하려고 했다. 저 존재에 대해 가장 정확하게 알고 있는것은 프로토 데빌룬으로 게페르니치는 "그가 존재하는 우주는 예외없이 멸망으로 치닫는다."며 블루 스웨어에게 우주의 멸망을 막기 위해서는 지구를 파괴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하지만 그대로 지구를 포기할 수 없었으므로 블루 스웨어는 자신들이 실패하면 프로토데빌룬이 지구를 파괴한다는 전제하에 페르펙티오와의 최종전에 돌입한다.
블루 스웨어의 활약에 의해 "파멸의 왕"이 완전히 이 세계로 넘어오지 못하게 되지만, 그 일부분인 페르펙티오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위협이 되었다. 일부분만 넘어온 것이라 본체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고 있어서 2개의 우주에 동시에 "파멸의 왕"이 존재하는 형태가 되었다. 페르펙티오 역시 본래는 파멸만을 추구하지만, 페리오의 몸을 차지함으로 인해 지각과 의식을 얻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멜리오르 에세들을 만들어내고, 루이나의 기동병기들을 생산해낼 수가 있었다.
수세에 몰리자 블루 스웨어에게 멸망의 파동을 내뿜어 그들을 절망과 공포에 빠트리지만, 사운드 포스의 도움으로 이를 이겨낸 블루 스웨어에게 다시 패배하게 되고, 최후에는 "파멸의 왕"의 본체가 직접 파브라 포레스를 통해 나타나려고 했으나 트레즈 크슈리나다의 자폭에 의해 에너지의 공급이 끊긴 순간 블루 스웨어의 직접 공격을 받아 파브라 포레스가 완전히 파괴당하게 되면서 결국 본체는 그 모습을 드러내지 못한 채 페르펙티오는 소멸한다.
물론 소멸한 것은 어디까지나 '''파멸의 왕의 단말에 지나지 않는 페르펙티오'''이며, 파멸의 왕 본체는 다른 세계에서 넘어오지 못했을 뿐, 멀쩡하게 존재하고 있다.
제 2차 OG에서 화려한 연출과 함께 귀환했다.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에서 바랄의 남선 카난 준은 파멸의 왕에 대해 "적살의 저편에서 도래할 나후신... 태양을 좀먹고 파멸을 가져올 흉신"이라고 설명한다. OG2에서 용호왕이 예언했던 '''적살의 저편에서 도래할 나후신'''의 정체가 바로 파멸의 왕이었던 것.
싸우기에 앞서 심파티아의 정보 및 관계[2] , 조슈랑 크리아나의 진실[3] 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한 후 싸우게 된다. 싸우던 도중 멸망의 파동으로 강룡전대를 절망으로 몰아놓지만[4] 크로스게이트 = 파불라 포레스의 의미[5] 랑 이루이 간에덴의 도움으로 희망을 얻으면서 멸망의 파동을 이겨낸 강룡전대에 의해 파툼이 파괴된 후 본체가 나오려고 하지만 웬토스랑 크로스게이트에 남아있던 크리아나의 원래 인격 크리스의 희생으로 크로스게이트가 닫히면서 저지된다.
등장시 말한 "옛날에 나를 봉인하고 사멸한 태고의 지식 소유자"는 문 드웰러즈에서 과거 그랑티드 드라코데우스가 페르펙티오를 봉인한 걸로 미뤄보면 퓨리를 가리키는 걸로 보인다. 그리고 루이나 측의 양산형 병기들의 개량형 후속기들이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은 언제든지 다시 등장할 수 있다는 것을 예고한다.
2차 OG의 최종보스는 아니지만, 많은 보스들이 HP 회복 없이 끔살당하는 가운데 열심히 초근성을 써대며 버티는 끈질긴 모습과 존재 자체가 우주가 파멸하는 미래인 코즈믹 호러스러운 설정, 인상 깊은 BGM이 어우러져 최종보스보다 강하게 느껴진다는 의견이 많다. 분신만으로도 아군을 고전시키는 위엄에 걸맞게 바랄의 수장인 손광룡이나 유제스 곳초조차 강룡전대가 파멸의 왕을 봉인한 것에 감사의 기분마저 들 정도라며 다행으로 여긴다.
다만 손광룡은 파멸의 왕과 나심 간에덴이 싸울 때 지구가 완전히 망가질 가능성[6] 을 염려하고 있었고, 유제스 곳초는 강룡전대가 페르펙티오를 격파한 덕에 크로스게이트를 손에 넣을 수 있었다며 고마워한다.
여담으로 자신을 '파계를 다스리는 자'라고 했다. 다른 것들과 섞여서 나온 말이지만 2차 Z를 생각나게 하는 말.
하지만 페르펙티오는 어디까지나 파멸의 왕에 단말기에 지나지 않으며 D에서든 OG 시리즈든 게이트로 넘어오지 못했을 뿐, 본체는 여전히 온전히 존재하고 있다.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기준. 파툼의 능력도 강한 편인데다가 스킬은 별로 없지만 그 몇개 가지고 있지 않은 스킬 중에 캐사기 스킬인 2회 행동 때문에 까다롭고 저력도 높아서 HP가 좀 깎이면 단단해진다.
이름이 딱 한글자 다른 파계의 왕 가이오우과는 전혀 관계없다. 애시당초 가이오우 보다 먼저 나왔다. 다만 2차 Z가 훗날 OG 시리즈에 참전하게 되면 뭔가 엮일지도?
TCG 카드로 나온 다른 멜리오르 에세랑은 달리 페르펙티오랑 파툼은 스포일러를 막기 위해선지 카드로 나오지 않았다.
전용 테마곡은 '''"Despair(절망)"'''슈퍼로봇대전D ver.제2차OG버전
조슈아의 테마곡인 '''"Desire(소망)"'''과 같이 D로 시작한다.[7] 오리지날 D에서는 곡명은 없었지만 영어권에서는 파멸의 왕의 이름을 따서 '''"King of Ruin"'''로 부른다.
전체적으로 평가가 좋은 편에 속하는 D의 오리지널 BGM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좋은 BGM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반의 잔잔한 부분에서 카오틱하게 본 멜로디로 넘어가는 부분이 특히 인상적이다. OGs에서 리메이크 될 때는 잔잔하던 초반부가 장엄하게 바뀌었는데 이에 대해서 호불호는 약간 있지만 편곡 자체의 평은 좋은 편. 니코동 등에서 페르펙티오 관련 영상을 보면 BGM이 좋다는 평을 상당히 자주 볼 수 있으며 Youtube에서 자작 리메이크된 곡도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한다.
그리고 보스들의 테마조차 우선시하는 레첼의 테마곡 트롬베보다 우선도가 높다. 단 2차 OG에서는 꼭 이 곡만 트롬베에 우선하는 것은 아니고 최종보스 테마도 트롬베보다 우선도가 높다.
'''페르펙티오라 함은 내가 깃들어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이 육신의 이름.... 나는 파멸, 나는 혼돈.… 모든 존재를 지울뿐인 자. 무한히 퍼져가는 우주를 게속해서 무한한 태초의 어둠으로 되돌리는 자.'''
1. 개요
ペルフェクティオ
슈퍼로봇대전 D의 최종 보스. 2차 OG에서 배정된 성우는 세키 토시히코.
루이나의 총수. 파브라 포레스에서 나타난 파멸의 왕이 페리오 래드클리프의 영혼을 소멸시키고, 그 육체를 차지한 모습이다.
다른 멜리오르 에세의 이름이 특정 요소를 뜻하는 이름인데 반해, 이쪽은 이름이 라틴어로 '''완벽하게 만듦'''이라는 의미.[1]
이유는 모르겠지만 파멸의 왕이 빙의할 때, 페리오의 육체가 젊은 모습으로 돌아가서 겉모습은 조슈아과 비슷한 또래의 젊은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버지의 육체답게 조슈아와 외모도 비슷하게 생겼다. 이 덕에 보통 일본 쪽에서 농담삼아 부르는 호칭이 '완벽아버지(完璧親父)'.
일시적인 육체에 불과하기에, 파멸의 왕 그 자체의 힘을 전부 발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페르펙티오 자체도 상당히 강력하지만.
"파멸의 왕"은 작중에서 상당히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는 '''그가 완벽하게 나타나게 되면, 그 세계는 반드시 멸망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파멸의 왕이란 '무한하게 퍼진 세계를, 무한하게 원초의 어둠으로 되돌리는 것(멸망시키는 것)'인 듯하다.아예 '''세계의 멸망이라는 현상 그 자체'''를 파멸의 왕이라 칭하고 있는 듯.
탑승기는 파툼. 말이 탑승기지, 파멸의 왕 입장에선 이것 역시 페리오의 육체처럼 이쪽 세계에서 쓰는 임시적인 기계몸에 지나지 않는다.
2. 작중 행보
2.1. 슈퍼로봇대전 D
스스로 말하기를 모든 우주에 걸쳐 존재한다고 하며 D에서는 본편 세계 이전에 메가존 23의 세계에 강림하려 했으나 역시 사전에 저지된 바 있다. 하지만 강림하는 접점을 끊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지구를 두들겨 부쉈고 덕분에 메가존 23 세계의 지구는 죽음의 별이 되고 말았다.
본편에서도 파멸의 왕의 부활을 막기 위해 기신성간 제국군의 즈루 황제는 차원 이동의 중심점이 되는 지구를 파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고 지구를 반양자폭탄으로 파괴하려고 했다. 저 존재에 대해 가장 정확하게 알고 있는것은 프로토 데빌룬으로 게페르니치는 "그가 존재하는 우주는 예외없이 멸망으로 치닫는다."며 블루 스웨어에게 우주의 멸망을 막기 위해서는 지구를 파괴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하지만 그대로 지구를 포기할 수 없었으므로 블루 스웨어는 자신들이 실패하면 프로토데빌룬이 지구를 파괴한다는 전제하에 페르펙티오와의 최종전에 돌입한다.
블루 스웨어의 활약에 의해 "파멸의 왕"이 완전히 이 세계로 넘어오지 못하게 되지만, 그 일부분인 페르펙티오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위협이 되었다. 일부분만 넘어온 것이라 본체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고 있어서 2개의 우주에 동시에 "파멸의 왕"이 존재하는 형태가 되었다. 페르펙티오 역시 본래는 파멸만을 추구하지만, 페리오의 몸을 차지함으로 인해 지각과 의식을 얻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멜리오르 에세들을 만들어내고, 루이나의 기동병기들을 생산해낼 수가 있었다.
수세에 몰리자 블루 스웨어에게 멸망의 파동을 내뿜어 그들을 절망과 공포에 빠트리지만, 사운드 포스의 도움으로 이를 이겨낸 블루 스웨어에게 다시 패배하게 되고, 최후에는 "파멸의 왕"의 본체가 직접 파브라 포레스를 통해 나타나려고 했으나 트레즈 크슈리나다의 자폭에 의해 에너지의 공급이 끊긴 순간 블루 스웨어의 직접 공격을 받아 파브라 포레스가 완전히 파괴당하게 되면서 결국 본체는 그 모습을 드러내지 못한 채 페르펙티오는 소멸한다.
물론 소멸한 것은 어디까지나 '''파멸의 왕의 단말에 지나지 않는 페르펙티오'''이며, 파멸의 왕 본체는 다른 세계에서 넘어오지 못했을 뿐, 멀쩡하게 존재하고 있다.
2.2.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제 2차 OG에서 화려한 연출과 함께 귀환했다.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에서 바랄의 남선 카난 준은 파멸의 왕에 대해 "적살의 저편에서 도래할 나후신... 태양을 좀먹고 파멸을 가져올 흉신"이라고 설명한다. OG2에서 용호왕이 예언했던 '''적살의 저편에서 도래할 나후신'''의 정체가 바로 파멸의 왕이었던 것.
싸우기에 앞서 심파티아의 정보 및 관계[2] , 조슈랑 크리아나의 진실[3] 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한 후 싸우게 된다. 싸우던 도중 멸망의 파동으로 강룡전대를 절망으로 몰아놓지만[4] 크로스게이트 = 파불라 포레스의 의미[5] 랑 이루이 간에덴의 도움으로 희망을 얻으면서 멸망의 파동을 이겨낸 강룡전대에 의해 파툼이 파괴된 후 본체가 나오려고 하지만 웬토스랑 크로스게이트에 남아있던 크리아나의 원래 인격 크리스의 희생으로 크로스게이트가 닫히면서 저지된다.
등장시 말한 "옛날에 나를 봉인하고 사멸한 태고의 지식 소유자"는 문 드웰러즈에서 과거 그랑티드 드라코데우스가 페르펙티오를 봉인한 걸로 미뤄보면 퓨리를 가리키는 걸로 보인다. 그리고 루이나 측의 양산형 병기들의 개량형 후속기들이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은 언제든지 다시 등장할 수 있다는 것을 예고한다.
2차 OG의 최종보스는 아니지만, 많은 보스들이 HP 회복 없이 끔살당하는 가운데 열심히 초근성을 써대며 버티는 끈질긴 모습과 존재 자체가 우주가 파멸하는 미래인 코즈믹 호러스러운 설정, 인상 깊은 BGM이 어우러져 최종보스보다 강하게 느껴진다는 의견이 많다. 분신만으로도 아군을 고전시키는 위엄에 걸맞게 바랄의 수장인 손광룡이나 유제스 곳초조차 강룡전대가 파멸의 왕을 봉인한 것에 감사의 기분마저 들 정도라며 다행으로 여긴다.
다만 손광룡은 파멸의 왕과 나심 간에덴이 싸울 때 지구가 완전히 망가질 가능성[6] 을 염려하고 있었고, 유제스 곳초는 강룡전대가 페르펙티오를 격파한 덕에 크로스게이트를 손에 넣을 수 있었다며 고마워한다.
여담으로 자신을 '파계를 다스리는 자'라고 했다. 다른 것들과 섞여서 나온 말이지만 2차 Z를 생각나게 하는 말.
하지만 페르펙티오는 어디까지나 파멸의 왕에 단말기에 지나지 않으며 D에서든 OG 시리즈든 게이트로 넘어오지 못했을 뿐, 본체는 여전히 온전히 존재하고 있다.
3. 특수 스킬 & 정신 커맨드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기준. 파툼의 능력도 강한 편인데다가 스킬은 별로 없지만 그 몇개 가지고 있지 않은 스킬 중에 캐사기 스킬인 2회 행동 때문에 까다롭고 저력도 높아서 HP가 좀 깎이면 단단해진다.
4. 기타
이름이 딱 한글자 다른 파계의 왕 가이오우과는 전혀 관계없다. 애시당초 가이오우 보다 먼저 나왔다. 다만 2차 Z가 훗날 OG 시리즈에 참전하게 되면 뭔가 엮일지도?
TCG 카드로 나온 다른 멜리오르 에세랑은 달리 페르펙티오랑 파툼은 스포일러를 막기 위해선지 카드로 나오지 않았다.
4.1. 전용 BGM
전용 테마곡은 '''"Despair(절망)"'''슈퍼로봇대전D ver.제2차OG버전
조슈아의 테마곡인 '''"Desire(소망)"'''과 같이 D로 시작한다.[7] 오리지날 D에서는 곡명은 없었지만 영어권에서는 파멸의 왕의 이름을 따서 '''"King of Ruin"'''로 부른다.
전체적으로 평가가 좋은 편에 속하는 D의 오리지널 BGM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좋은 BGM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반의 잔잔한 부분에서 카오틱하게 본 멜로디로 넘어가는 부분이 특히 인상적이다. OGs에서 리메이크 될 때는 잔잔하던 초반부가 장엄하게 바뀌었는데 이에 대해서 호불호는 약간 있지만 편곡 자체의 평은 좋은 편. 니코동 등에서 페르펙티오 관련 영상을 보면 BGM이 좋다는 평을 상당히 자주 볼 수 있으며 Youtube에서 자작 리메이크된 곡도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한다.
그리고 보스들의 테마조차 우선시하는 레첼의 테마곡 트롬베보다 우선도가 높다. 단 2차 OG에서는 꼭 이 곡만 트롬베에 우선하는 것은 아니고 최종보스 테마도 트롬베보다 우선도가 높다.
[1] 영어로 설명하면 perfect와 perfection의 차이.[2] 심파티아의 원형이 된 '열쇠'는 파멸의 왕이 향하는 세계에 존재하는 부의 파동을 근원으로 하는 자들, 즉 그의 양식이 되는 지적생명체의 정신상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심파티아는 파불라 포레스를 건설한 퓨리가 그 '열쇠'를 왜곡시켜 만들어낸 장비이다.[3] 심파티아에 내재된 '열쇠'에 손을 댄 자는 '지식'을 얻는 대신 영혼을 침식당하여 멜리오르 에세로 변해가게 되는 것이다. 크리아나의 경우 심파티아 01을 사용한 부작용으로 멜리오르 에세가 되다 만 영혼인 리아나가 탄생하게 되었으며, 심파티아 03을 사용해온 조슈아 래드클리프 또한 지금은 괜찮더라도 단지 시간 문제일 뿐, 심파티아를 계속 사용하는 한 그 또한 언젠가는 변모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4] 이때 모두가 절망하는 와중에 사피네 그레이스는 혼자서만 느끼고 앉았다....[5] 파멸의 왕을 봉인할 수 있었던 계기가 파멸의 왕에 함께 맞서는 동료랑 지켜낸 사람들의 연결 고리를 믿고 자신의 존재를 믿으며 희망이 존재하는 것을 믿는 마음의 힘이 파멸의 왕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라는 것.[6] 바랄은 파멸의 왕을 아인스트나 여타 백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인식했던 모양. 파멸의 왕(or 페르펙티오)을 빼면 루이나가 딱히 대단해보이지는 않기 때문에 그럴 만했다.[7] 이는 D 오리지널 캐릭터 테마곡의 공통점. 모든 테마곡이 D로 시작한다. 의도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