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잉 핀
[image]
[1]
말 그대로 '날으는[2] 핀란드인'.
빠른 스피드가 요구되는 기록경기에서 유독 두각을 나타내는 핀란드인들이 있어서 생긴 호칭이다. 원래 장거리 육상에서 붙은 호칭이 포뮬러 1 등 모터스포츠로 넘어가서 지금은 모터스포츠에서의 용례가 더 두드러진다.
1. 육상
지금은 케냐, 에티오피아 등이 지배하는 장거리 육상은 원래 핀란드의 메달밭이었다. 유독 핀란드인들이 장거리 육상에서 활약하자 누군가가 이에 '플라잉 핀'이라고 부른 것이 이 별명의 시초이다.
초대 플라잉 핀은 '''하네스 콜레마이넨'''. 1912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5000m, 10000m, 크로스컨트리 3관왕의 위업을 달성했다. 이후 마라톤으로 종목을 바꿔 1920 앤트워프 올림픽 금메달까지 추가해서 통산 4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핀란드의 육상 중장거리 지배가 본격화된 것은 1924 파리 올림픽이었는데, 이 때 핀란드는 육상에서 획득한 17개의 메달 중 13개를 마라톤 포함 중장거리에서 획득한다. 그 중심에는 세기의 라이벌 '''파보 누르미'''와 '''빌 리톨라'''가 있었는데 이 둘이 플라잉 핀 칭호를 계승한 선수들이다.
누르미는 이미 1920 올림픽 때 10000m 금메달 및 크로스컨트리 개인전과 단체전 금메달로 3관왕을 달성했었고, 이후 리톨라가 1924년에 올림픽 무대에 데뷔하면서 둘의 치열한 라이벌리가 시작된다. 이 대회에서 누르미는 '''5관왕'''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는데, 그 중 5000m 및 개인 크로스컨트리는 리톨라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하면서 얻은 금메달이었다. 리톨라는 누르미가 출전하지 않은 1500m와 3000m장애물 경기에서 우승하는 등 '''금메달 4개와 은메달 2개'''에 만족해야 했다.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 둘의 맞대결 2라운드가 치러진다. 이 대회에서 둘의 맞대결은 세 차례 있었는데, 가장 먼저 치러진 10000m에서 누르미는 리톨라보다 '''불과 0.6초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면서[3] 먼저 1승을 거둔다. 그러나 다음으로 치러진 5000m에서, 리톨라는 누르미를 '''불과 2초 차이'''로 따돌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반격. 둘의 대결은 1승1패가 된다.
자연스레 마지막 맞대결을 놓고 초미의 관심이 집중되었는데, 마지막으로 치러진 3000m장애물에서는 싱겁게도 '''리톨라가 중도 기권'''하면서 누르미의 승리, 둘의 대결은 최종적으로 2승1패 누르미의 판정승으로 끝난다. 그런데 정작 금메달은 제3의 인물 토이보 루콜라가 차지하고(...)[4] 누르미는 은메달을 목에 건다. 아무튼 둘의 불꽃튀는 라이벌리는 플라잉 핀이란 별명이 대중화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후 1932 LA 올림픽과 1936 베를린 올림픽에서 3000m 장애물 2연패를 달성한 '''볼마리 이소홀로''', 한 투어 대회에서 세계기록을 다섯 개를 갈아치우면서 육상계에 충격을 선사한 '''타이스토 마키''', 1972 뮌헨 올림픽, 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연속 5000m, 10000m 2관왕을 달성한 '''라세 비렌''' 등이 플라잉 핀의 호칭을 계승했다.
2. 모터스포츠
이후 이 별명은 모터스포츠 쪽으로 넘어갔다. 원래 처음 플라잉 핀 호칭을 부여받은 드라이버들은 WRC 쪽이었다. WRC에는 수많은 핀란드인 챔피언이 있는데 유하 칸쿠넨, 토미 매키넨,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물론이고 아리 바타넨[5] , 티모 살로넨이 대표적이다. 2016년 기준 현역 핀란드인 랠리 드라이버 중에는 야리-마티 라트발라가 플라잉 핀 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다 1974년에 F1에 출전한 드라이버 '''레오 키누넨'''이 자기 헬멧에 플라잉 핀이라고 써넣은 것을 계기로 F1에서도 플라잉 핀이라는 별명이 유행하게 된다.[6] 대체로 꼽는 F1계에서 초대 플라잉 핀은 1982년 챔피언 '''케케 로즈버그'''. 니코 로즈버그의 아버지이다.
이후 F1 더블 챔프로 유명한 '''미카 해키넨'''과 '''키미 래이쾨넨'''이 보통 이 별명으로 불린다. '''헤이키 코발라이넨''' 또한 플라잉 핀 별명이 아주 잠깐 붙은 적이 있으며 2020년 현재에는 차기 플라잉 핀 후보로 '''발테리 보타스'''가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핀란드인 F1 드라이버가 다 이 칭호를 얻은건 아닌데, 대표적으로 상술된 미카 살로, 그리고 이르키 후아니 아르빌레토(JJ 레토)는 챔피언은 커녕 대회 우승도 못해본 드라이버들이라 활동 기간 내내 실력이 특출나지 못했다.
인구수도 우리나라의 10분의 1에 지나지 않고, 특출난 자동차 메이커는 커녕 자동차 회사를 만드는 공장도 몇곳 없는 이 추운 나라에서 왜 그렇게 이상하리만치 레이싱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이 비교적 많이 배출되는지는 의문이다. 실제로 핀란드의 운전면허 시험은 우리나라와는 비교조차 불허할 정도로 난이도가 높다. 할머니가 눈 길에서 카운터 스티어링을 능숙하게 넣으며 슈퍼마켓 간다는 소문이 있는 곳이 핀란드.
3. 축구(?)
'''셰프키 쿠키''' 역시 플라잉 핀이다...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하자.
4.
[1] 항목과 완전히 관련이 없는 사진은 아니고, 사진에 찍힌 인물은 키미 래이쾨넨이다.(...) 2012 독일 그랑프리 후 퇴근하던 중에 주차장 펜스를 넘다가 걸려서 떨어지는 사진. 워낙 역동적인 포즈라서 팬 사이에서 잠깐 유행한 적이 있다.# [2] 물론 '나는'이 옳은 표기법이다.[3] 단거리가 아니라 무려 10000m 경기이다. 장거리에서 0.6초면 100m로 따지면 0.006초 정도의 머리카락 하나 정도 격차였던 것.[4] 물론 이분도 핀란드인이다![5] 1981년 WRC 챔피언에 다카르 랠리는 4번이나 평정했다.[6] 정작 키누넨은 1974년 한 시즌만 F1에 출전했고 우승경력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