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르메니아 관계
1. 개요
대한민국과 아르메니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1991년 12월 소련이 해체되면서 독립한 아르메니아는 이듬해인 1992년 2월 21일 대한민국과 수교에 합의했다.[1]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등 다른 캅카스 지역 국가들이 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아르메니아와 한국은 전반적으로 서로 데면데면한 관계이다.
양국이 이런 미적지근한 관계인 이유는, 일단 '서로가 서로에게 매력적이지 않다'는 이유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한국 입장에서 아르메니아는 인구수가 부족하고, 지하자원도 없으며, 관광지로 삼기엔 안보, 치안 상태가 매우 불안정하므로 정부기관이나 민간기업 차원에서 특별히 투자할 가치가 없는 곳이다. 그렇다고 삼성, LG 등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의 점유율이 높은편도 아니다. 아르메니아 역시 정치, 외교, 경제적으로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중국 등과 이해관계가 얽혀 있으므로 접점이 없는 한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특히 신경을 쏟아부을 이유가 없다.
아르메니아는 일본과는 2012년 상주 대사관을 여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는 편이나, 아르메니아 역시 한국과는 관계 개선에 별로 나설 생각이 없다. 가장 큰 이유는 '''한국이 아제르바이잔하고 친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한국은 석유를 아제르바이잔한테서 수입[2] 하기에 아르메니아하고는 가까워지기가 어렵다. 하지만, 일본이라고 아르메니아만 친하게 지내려 드는게 아니며 일본 또한 아제르바이잔과 매우 우호적이다....아제르바이잔이 러시아를 대신해 유럽에 천연가스를 파이프 라인으로 연결하여 수출하려 드는 게 아니듯이 천연가스 또한 엄청난 나라인데 일본이라고 아제르바이잔을 무시할 리 없고 또한 아제르바이잔에게 원유와 가스 수입을 하고 있다.
다만 아르메니아 민간 차원에서 한국을 보는 시선은 나쁘지 않고, 한국의 민간 여론 역시 주로 기독교도를 위시하여 처지가 비슷한(?) 아르메니아에 대한 관점이 나쁘지는 않은 편이다. 나름 교류도 꾸준한 편이다. #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2018년 3월 19일부터 대한민국 일반 여권 소지자의 무비자 입국(180일)을 허용했다.[3][4]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의 딸이 유튜브에 불닭볶음면 챌린지 영상을 올렸다.
코이카가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과의 전쟁기간에 아제르바이잔에 2021년에는 34억원을 지원하는 반면, 2019년에 1억6800만 원을 지원했던 아르메니아는 내년 원조 대상에서 제외됐다는 점에서 논란을 빚고 있다.# 이는 한국이 아제르바이잔의 유전과 관련 기업에 투자를 했고, 한국은 제조업 국가 특성상 석유 구매 루트 확보에 큰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에 산유국인 아제르바이잔에 더 많은 지원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3. 대사관
양국은 상호 간에 상주 공관을 두지 않고 있다.[5][6]
4. 관련 문서
[1] 북한과는 이보다 며칠 앞선 2월 13일에 외교관계를 맺었다.[2]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에서 석유를 수입해왔으나 이란에 대한 미국의 제재가 강경해지면서 이란산 석유의 대체재로 아제르바이잔의 바쿠 유전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2013년부터 아제르바이잔산 원유의 한국 수입이 급증했다.[3] 대한민국 관용여권과 외교관여권 소지자에 대한 비자 면제는 이미 2012년부터 시행됐다.[4] 아마 360일이라는 파격적인 조치를 취한 조지아를 의식한 듯. 조지아는 관광으로 매우 유명한 국가이기에 한국인의 관광 투자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아르메니아도 이와 비슷한 이유로 무비자를 허용한 것으로 보인다.[5] 현재 대한민국은 주러시아대사관이, 아르메니아는 주 일본 대사관이 상호 공관을 겸임 중.[6] 반면 아제르바이잔과 조지아는 한국과 상호 공관을 두고 있다. 관련 내용은 주 아제르바이잔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 조지아 대한민국 대사관 트빌리시 분관 문서 참고.[7] 아르메니아를 겸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