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근

 

1. 수학 용어
2. 회령시 출신 독립운동가, 허근
3. 임실군 출신 독립운동가, 허근


1. 수학 용어



/ imaginary root
방정식에서 허수해#s-3.2를 뜻한다. 대표적으로 $$x^2+1=0$$의 해 $$\pm i$$. 반대말실근(實根)이다.

2. 회령시 출신 독립운동가, 허근


성명
허근(許根)
이명
허근(許瑾)·허은(許垠)
생몰
1864년 ~ 1926년 2월 11일
출생지
함경북도 회령군
사망지
러시아 연해주 바라바시 마을
추서
건국훈장 독립장
허근은 1864년생이며 함경북도 회령군 출신이다. 그는 1907년 갑산에서 홍범도, 차도선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며, 이들과 함께 일제에 맞서다가 만주로 망명한 뒤 내몽고의 만주리에서 목공 일을 했다. 그러다 1919년 3.1 운동이 발발했을 무렵 북간도로 돌아왔고, 1919년 4월 왕청현 춘화향에서 의민단(義民團)의 영장(營長)이 되었다.
이후 북간도에서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의 구춘선·이용(李鏞), 북로 군정서의 서일, 블라디보스토크의 이동휘 등과 연계하면서 의군단(義軍團)을 조직하였고, 1921년 2월경까지 홍범도 휘하에서 결사대장(決死隊長)으로 활약하며 청산리 전투에 참가했다.
1921년 5월 간도대(間島隊) 간부의 일원이 되어 홍범도, 최진동, 안무 등 500명과 함께 러시아 자유시로 이동했다가 1921년 6월 28일 자유시 참변을 겪었고, 이후 1922년 6월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 고려 공산당이 연합하여 브라고에시첸스코에서 수립한 고려군인 징모위원(高麗軍人徵募委員)으로 활동했다. 1926년 2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70km 떨어진 바라바시 마을에서 일시 거주하던 중 병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허근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3. 임실군 출신 독립운동가, 허근


성명
허근(許根)
생몰
1869년 6월 27일 ~ 1933년 4월 28일
출생지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덕계리
사망지
전라북도 임실군
매장지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추서
대통령표창
허근은 1869년 6월 27일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덕계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월 28일 임실군 둔남면 오수리 장날에 이기송(李起松)·김영필(金永弼)·오병용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해 오수장터에 모인 2,000여 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하였다. 그때 일경이 주동자인 이기송과 김영필 등을 연행하자 격분한 시위군중과 함께 주재소로 몰려가서 구속자의 석방을 요구하며 주재소를 습격하고 기물과 공문서 등을 파괴하다가 붙잡혔다.
이후 1919년 5월 27일 광주지방법원 전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8월형을 언도받아 옥고를 치렀으며, 출소 후 임실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33년 4월 28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허근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그리고 2007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