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사원(메이플스토리)
[clearfix]
1. 개요
메이플스토리의 테마던전. 2010년 1월 21일에 처음으로 화려하게 등장했다.
원본은 태국 메이플의 "시암"이었지만, 이후 KMS 테마던전 버전으로 모두 개편되었다.[4] 전체적인 디자인은 태국 방콕에 있는 왕실사원 왓 프라 깨우(วัดพระแก้ว)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2. 특징
차원의 거울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고, 개편 후 무릉도원 지역에서 학을 타서 이동할 수 있다.
이곳의 최종보스 라바나가 라바나 투구라는 아이템을 줬기 때문에, 꽤 인기가 많았었다. 그리고 여러 미니던전과 라바나 보스던전을 이용할 수 있었다. 황금사원 내 미니던전은 골든 티켓 혹은 프리미엄 골든 티켓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만 입장 가능했고 라바나의 보스던전은 태양의 불꽃 5개가 있어야 입장이 가능했다.
그러다가 2012년 2월 2일자 패치를 통해 뜬금없이 테마던전으로 변모하였고 2017년 1월 5일 패치로 시작 레벨이 130으로 올랐다. 위치는 무릉과 백초마을을 감싸는 바다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image]
라바나를 잡으면 라바나의 황금관, 라바나의 투구를 준다. 모든 퀘스트를 클리어하면 보상으로 마스터리 상자 2개, 120제 칭호 황금사원의 구도자 훈장을 준다. 훈장은 올스텟 5 공/마 1로 전반적인 옵션이 크로스헌터 마스터와 비슷하다. 마지막 퀘스트에서는 라바나를 혼자서 잡아야 하는데, 예전엔 매우 약화된 상태라 한 대 툭치면 죽었지만 현재는 피통이 꽤나 늘어났다.
처음 생겼을 때의 황금사원 퀘스트는 문화재 파괴의 현실에 대해 고찰하는 위주의 내용이였는데, 싹 개편한 뒤로는 부정한 기운으로 라바나가 깨어나면서 이렇게 되었다는 식으로 넘어갔다.
도트, BGM 등 전체적으로 기존의 다른 메이플스토리 던전이나 스토리 퀘스트와는 상당히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오히려 이러한 분위기를 좋아하는 유저도 있는 듯. 불교나 인도 신화에 관심이 많다면 즐겁게 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스크립트도 과거에 독자적으로 만든 스토리 구성이기 때문에 기존 메이플스토리 퀘스트와는 살짝 다르다.
메이플스토리의 퀘스트 스크립트들을 보면 예전부터 존재했던 퀘스트들은 대부분 과묵한 주인공을 따라간다. 즉, NPC만 열심히 떠드는 형식이다. 이후 스토리 뼈대가 갖춰지고 플레이어블 캐릭터도 점차 말이 많아지긴 하나 그래도 짧게 단문으로만 답하거나 속으로 생각하는걸 보여주는 경우가 늘었다. 근데 황금사원 한정으로 주인공은 설명충이 되어 '''말이 정말 많다'''.
궁금한 것이 있는데요. 오래 전부터 이 곳에 라바나가 잠들어 있었다면 황금사원이 이 곳에 세워진 것과 관계가 있지 않을까요? 라바나에 대한 전설이 있었고, 그것이 사실로 드러난 것을 보면 라바나와 황금사원 사이에도 뭔가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요?
사실 2018년 이후 나오는 메이플 직업들은 30레벨 이전 튜토리얼 단계에서 아예 풀보이스 스크립트 대화를 깔아주는 등, 이것보다 더 많은 대화량을 보여주긴 한다. 다만, 황금사원 테마던전에서는 저 많은 대사를 한 창에 텍스트로 때려버리니 어지간한 풀보이스 대사보다 수다스러운 연출로 느껴진다.아까 승려 다오가 황금제단 안에 있다고 하셨는데 궁금한게 있어요. 황금사원에서 여기까지 오는 동안 제가 만난 승려는 노이와 씀차이 그리고 당신이 전부에요. 황금사원은 규모가 큰 사원이라고 들었는데 살고 있는 승려는 당신들이 다인가요? 노이의 말로는 승려님들이 사라졌다고 하던데...
3. '태국 황금사원' 시절
관련 영상[5]
본래 이 지역은 2007년 8월 0.36 업데이트로 추가된 태국과 대만 서비스 유저들을 위한 독점 서비스 지역이었다. 태국에서는 그늘진 사원(아람 행 쾀 롬른, อารามแห่งความร่มรื่น), 대만에서는 황금사묘(黃金寺廟)라고 불렸다. 사실 스피넬의 세계여행의 '태국 플로팅 마켓' 지역이 확장되며 생겨난 맵이었으며, 맵의 크기나 구조, 퀘스트도 지금의 테마던전과는 사뭇 달랐다. 또한 신규 보스 몬스터 '아수라'(라바나)가 추가되었는데, 이로써 다른 지역(일본, 대만, 중국)과 달리 보스몹이 없다는 지적을 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얼마 안 가 한국 메이플스토리에서 PC방 전용 맵으로 리메이크하여 출시했고 나중에 세계여행 맵들도 대개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황금사원 맵들도 모두 KMS PC방 버전으로 변경되었다가 사라지는 듯했다. 몇 년 후 KMS에서 기존의 '태국 황금사원' 스토리를 재창작하여 퀄리티를 크게 개선하였다. 황금사원의 퀘스트는 큰 줄기는 있었지만 스크립트나 스토리 연출 측면에서 단순한 '요구'에 지나지 않았던 빅뱅 이전 퀘스트의 문제를 답습하고 있었다. 하지만 개편 이후 라바나를 퇴치하기까지 스토리라인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면서도, 몬스터, 맵 등 기존 요소를 잘 배합해서 꽤 괜찮은 퀄리티를 보여주었다.[6]
[clearfix]
'태국 황금사원' 당시 스토리 라인은 다음과 같다. 악령의 동굴 속에 봉인되어 있던 라바나[8] 가 깨어나면서 태국 정글의 동물들의 정신을 어수선하게 조종하면서 기이한 일이 속출했다. 숲에서 악어가 느닷없이 마을주민을 공격하거나, 뱀과 악어 그리고 물고기가 치고받고 싸우거나, 애완용 뱀이 내내 허기에 질려하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런 까닭에 황금사원에서 늙은 스님이 악령의 완전한 출현을 막고자 '악령을 봉인하는 의식'을 거행하고자 하였다. 의식에 필요한 여러 영험한 물건들을 모아 '태양의 불꽃'과 '영험한 석괴'를 모아 라바나를 퇴치하고자 하였고, 모험가의 도움을 얻어 성공했다. 라바나가 남긴 '라바나의 인형'은 늙은 스님이 들고 가서 봉인 의식을 마무리하는 데 사용하였다.
3.1. 맵
플로팅 마켓의 동구 밖 맵에 있는 포탈을 통해 황금사원 원숭이 덩굴숲II(วานรไพรวัลย์ II, 와넌 프라이완) 맵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동구 밖에서 맵이 끝났지만, 태국과 대만 서버에서는 2007년 맵이 확장되어 황금사원과 연결된 것이다. 다만 태국에서도 한 번 맵을 전체적으로 축소시킨 적 있다. 위의 미니맵 전도도 축소된 이후의 버전으로, 원래는 훨씬 광활한 맵 크기를 자랑했다. 초기 버전이 어땠는지는 당시 클라이언트가 소실되어 확인할 수 없으나, 유일하게 영상이 하나 남아서 부분적으로나마 볼 수 있게 됐다.(아래 영상 참조)
원숭이 덩굴숲에서는 원숭이들이 떼지어 등장하며 레벨 구간은 20~65였다. KMS의 '수행자의 숲' 지역과 거의 비슷하지만 맵이 좀 더 복잡하고 정글의 지형적 특색을 살렸다. 몬스터 '하얀 아기 원숭이'의 경우 레벨 20으로 매우 약했지만, 죽이면 레벨 65의 '분노한 흰 원숭이'를 소환했다는 점도 차이 중 하나다.
덩굴숲을 모두 지나면 그늘진 사원(อารามแห่งความร่มรื่น) 마을(KMS의 황금사원에 해당)이 나왔다. 사원의 중앙에는 도깨비 동굴(ถ้ำแห่งอสุรี, 탐 행 아쑤리)로 가는 던전입구가 있었고, 오른쪽은 또 다른 원숭이 덩굴 숲으로 이어졌으나 몹 구성은 같았다.
중앙 던전인 '도깨비 동굴'은 태국어로 탐 행 아쑤리(ถ้ำแห่งอสุรี)라고 하는데 직역하자면 '아수라의 동굴'이란 뜻이다. 한국 테마던전과 달리 아수라의 동굴1~5는 직선상으로 이어져 있었으며 그 끝에는 '넓은 방'(ห้องแห่งความเวิ้งว้าง, 탐 행 쾀 웡왕)이 있었다. 몬스터 레벨구간은 83~99였다.
넓은 방에는 커다란 문이 있었는데 평소에는 주술로 막혀 있지만 퀘스트를 클리어하고 특정 아이템을 소지하면 '절망의 방'(탐 행 쾀 신왕, ห้องแห่งความสิ้นหวัง)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절망의 방은 레벨 120의 태국 보스 '악령의 거인'(중국어명 '六手邪神'(육수사신[9] ))과 만날 수 있는 곳으로 '태양의 구슬'을 제단 앞에 떨어뜨리면, 제단에 놓인 인형이 번쩍이면서 아수라가 소환되었다. 동영상(대만)
4. 스토리
2010년 1월 21일에 패치된 첫 시즌에서 유스가 나오는데 황금사원의 승려들은 유스가 관광객들을 끌어모으는 것을 꺼려, 유스를 죄인이라고 칭한다. 이렇게 승려들이 관광객을 꺼리는 이유는 자신들의 문화재 파괴와 해방된 도깨비들과 라바나에 의해 공격받을 위험이 있었기 때문인데, 결국 승려들의 만류에 인해 유스는 결국 황금사원 여행 패키지를 중단시키고 한 달 후 황금사원은 잊혀져 버렸다.
그후 2년간은 pc방 플레이어들만 입장이 가능했으나, 2012년 2월 2일 패치 후 황금사원은 리메이크되어 다시 등장하였다. 아무래도 유스가 어떻게 손을 쓴 모양. 그리고 유스는 대신에 해방된 라바나를 처치해 줄 몇몇 용사들과 vip, 그리고 경비원들에게만 개방한다는 조건을 걸었고, 황금사원은 결국 개방되어 많은 용사들이 도깨비와 라바나를 퇴치하여 황금사원의 평화를 되찾아주기 위하여 모이고 있다.
현재의 스토리는 해당 문서로.
5. 몬스터
6. 지역 일람
6.1. 황금사원(홈타운)
황금사원 마을. 기본적으로 무릉 사원에 있는 NPC 학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곳이다. 차원의 거울을 통해 입장 가능하지만 막상 언제부터인지 차원의 거울에 황금사원이 삭제되어 차원의 거울을 통해 입장할 수 없는 아이러나한 곳이다. 따라서 차원의 거울이 있는 마을에서 길라잡이를 사용해줘야 올 수 있다.
본래 마을임에도 차원의 거울로 이동할 수 있는 지역이라 메이플 옥션과 메이플 유니온 창을 열 수 없었으나 2020년 5월 21일 패치로 열 수 있게 수정됐다. 다만 황금사원 지역 내 유니온 설정은 이곳에서만 가능하니 미리 설정해두자.
6.2. 필드
6.2.1. 수행자의 숲 1
6.2.2. 수행자의 숲 2
인게임에서 스님의 이름이 '''씀'''차이로 되어 있는데 '''쏨'''차이(สมชาย)의 오기인 것이 명백해 보인다. 쏨차이는 태국에서 가장 흔한 남성 이름이다. GMS와 MSEA에서는 Somchai로 정상적으로 표기되어 있다.
6.2.3. 수행자의 숲 3
6.2.4. 수행자의 숲 4
6.2.4.1. 흰털 대장원숭이의 터[10][11]
6.2.5. 버려진 사원
도깨비들이 있는 방들로 이어지는 중심점. 이곳은 악마 라바나가 봉인되어 있던 곳으로 오랜 시간 동안 사람의 출입이 끊긴 곳이라고 한다. 하지만 악마 라바나가 깨어나자 승려들이 전설로만 내려져 오던 이곳을 찾아 왔다고.
테마던전으로 개편하면서 새롭게 제작된 곳인데 맵 디자인적으로 인도 ~ 동남아시아풍을 잘 살려 퀄리티가 대단히 높다.
6.2.5.1. 수호자의 방 1
버려진 사원 왼쪽 맨 위 포털로 들어가는 곳.
맵 밑의 사슬을 타고 내려가면 수호자의 방 2가 나온다.
6.2.5.2. 수호자의 방 2
버려진 사원 왼쪽 중간에 있는 포털로 들어가는 곳.
맨 위 사슬을 타고 올라가면 수호자의 방 1이 나온다.
6.2.5.3. 시련자의 방 1
버려진 사원 오른쪽 맨 위에 있는 포털로 들어오는 곳.
맨 아래 사슬을 타고 내려가면 시련자의 방 2가 나온다.
6.2.5.4. 시련자의 방 2
버려진 사원 오른쪽 중간에 있는 포털로 들어오는 곳.
맨 위 사슬을 타고 올라가면 시련자의 방 1이 나온다.
6.2.5.5. 수도자의 방 1
버려진 사원 왼쪽 맨 밑에 있는 포털로 들어오는 곳.
6.2.5.6. 수도자의 방 2
버려진 사원 오른쪽 맨 밑에 있는 포털로 들어오는 곳.
아르카나에서는 '''맹독의 맹독의 정령''' , 모라스에서는 '''힘센 힘센 형님'''이 나오는 것처럼 엘리트 몬스터로 힘센 힘센 돌도깨비가 나오기도 했다.
6.2.5.7. 고난자의 방
버려진 사원 가운데 밑에 있는 포털로 들어오는 곳.
가네시는 전리품으로는 [image] 가네시의 폴암을 주는데, 아이템의 모양이 암만 봐도 마하다(...). 장비템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6.2.5.8. 라바나의 제단 입구
퀘스트 전에는 태양의 불꽃으로, 퀘스트 후에는 타오르는 태양의 불꽃 10개를 모아서 태양의 불꽃으로 만든 후 갈 수 있는 곳이다.
6.2.5.8.1. 라바나의 황금제단
6.2.5.8.2. 라바나의 황금 제단
6.2.5.8.3. 라바나의 제단 통로
7. 관련 문서
[1] 잘 들어보면 어떤 여인이 반복해서 주문을 외는 소리가 들린다. 무슨 뜻인지는 불명.[2] 오류로 인해 헤네시스 BGM이 흘러나오다 오랜 시간이 흘러 무려 2018년 1월 16일에서야 겨우 패치로 고쳐졌다.[3] 무슨이유에선지 히든스트리트라고 되어있는데 지역맵 상에서는 위치가 표시되어있다.[4] JMS에는 업데이트되지 않았다.[5] 2009년 12월 대만 메이플스토리의 영상이다.[6] 다만 맵의 크기나 세부적인 디테일은 빅뱅 이전에 비해 크게 축소·삭제되어 과거의 웅장함, 세심함을 느끼기는 어렵게 되었다.[7] 다만 한자로 적혀 있는 까닭은 대만 서비스에서 스크린샷을 찍은 까닭에서다. 태국어가 아님에 유의할 것.[8] 사실 태국에서는 퀘스트 스크립트에서 짜우 행 아쑨(จ้าวแห่งอสูร), 즉 아수라 왕으로 불렸다. 다만 몬스터를 영어로 표기하는 특성상 몹 이름은 악령 거인(Evil Spirit Giant)이었다.[9] 여섯 개의 팔이 달린 사악한 신[10] 오류로 인해 헤네시스 BGM이 흘러나오다 오랜 시간이 흘러 무려 '''2018년 1월 16일에서야''' 겨우 패치로 고쳐졌다.[11] 무슨이유에선지 히든스트리트라고 되어있는데 지역맵 상에서는 위치가 표시되어있다.[12] 라바나의 황금 제단과는 다른 곳이다. 이곳은 히든스트리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