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etry Dash/온라인 레벨/Legacy Demon

 



1. 개요
2. 목록
2.1. Betrayal of Fate(Possibly Hacked)
2.2. Biohazard
2.3. Artifice
2.4. Epsilon
2.5. Atmosphere
2.7. Monstercat
2.8. Glacial Torrent
2.9. Electrolux
2.10. Molten Mercury
2.11. Under Lavaland
2.12. Hateful Reflection
2.13. Ecstasy
2.14. ATMarbl
2.15. Azure Fiesta
2.16. The Hell Bird
2.17. Down Bass(Hacked)
2.18. Idols
2.19. Just DANCE
2.20. Inflective
2.21. Phosphorescent
2.22. Prismatic Haze
2.23. Tempest Tornado
2.24. Aurora
2.25. Arctic Arena
2.27. A Bizarre Phantasm
2.28. The Hell Factory
2.29. Mirage
2.30. Extinction
2.31. WaveBreaker
2.32. Penultimate Phase
2.34. Innards
2.35. Gridlocked
2.36. Plasma Pulse III
2.37. Maybe Possibly Thing
2.38. N0
2.39. The Hell Dignity
2.40. Triple Six
2.41. Niflheim
2.42. Panasonic
2.43. The Antimatter
2.44. Marathon
2.45. Audio Extraction
2.46. Elite Z Rebirth
2.47. Twisted Tranquility
2.48. Unearthed
2.49. Grill Kill
2.50. Concaved Memories
2.51. Elliptic Curve
2.52. Heat Wave
2.53. Heartbeat
2.54. Deception Dive
2.55. Skrrah
2.56. The Flawless
2.57. Fexty
2.58. Digital Disarray
2.59. Retention
2.60. CholeriX
2.61. Alcatraz
2.62. Insaction
2.63. Killerzone
2.64. Artificial Dream
2.65. Glide
2.66. Violently X
2.67. Incipient
2.68. Cromulent
2.69. Volume
2.70. AcropoliX
2.71. Matilda the Machine
2.72. Tech Manifestation
2.73. CYCLONE
2.74. The Lost Existence
2.75. AAAAAAAAAAAAAAAAAAAA
2.76. Abadoned Kingdom
2.77. After Catabath[1]
2.78. Allegiance(Hacked)
2.79. Annihilation Nation
2.80. Arcadelocked
2.81. Astronomical Alchemy
2.82. Asymmetry
2.83. Awakening Horus
2.84. A2Marbl
2.85. Breakout
2.87. Catastrophic
2.88. Clubstep Reborn
2.89. Conical Depression
2.90. Cosmic Calamity
2.91. Cosmorush 21
2.92. Creeper Force(Possibly Hacked)
2.93. Cyber Chaos
2.94. Crimson Clutter
2.95. Dark RainBow Rebirth
2.96. DeltaNova
2.97. Demonic Bass
2.98. Destruction of God
2.99. DoomsDay(Hacked)
2.100. Duelo Maestro
2.101. Electrosonic
2.102. Elements X
2.103. Entwined Room(Hacked)
2.104. Es Dilar Nos
2.106. Excessive Compliment
2.107. Falling Up
2.108. Final Epilogue
2.109. Frizzantino Vibes
2.110. Future Circles
2.111. Galatic Fragility(Hacked)
2.112. Galaxy Breaker
2.113. Gammaray
2.114. Geminorum(Hacked)
2.115. God Eater
2.116. Grimoire Heart
2.117. Hate War
2.118. Hydraulic Overdrive
2.119. Hyperio Technia
2.120. Hypersonic
2.122. Instant Execution
2.123. Kurumi City
2.124. Lezicuv(Hacked)
2.125. Light Years
2.126. Limitless
2.127. Lunatic Doom Machine
2.128. NecroDynamix
2.129. Necropolis(Possibly Hacked)
2.130. NecropoliX
2.131. New Supersonic
2.132. Night Party
2.133. Night Terrors
2.134. Novalis
2.135. Photovoltaic
2.136. Plasma Pulse II
2.137. Polish Alphabet
2.138. Pumped Up Kicks
2.139. Pursuit
2.140. Quest For Perfection
2.141. Raindance
2.142. Red World Rebirth
2.143. Rewind
2.144. Sadism
2.145. Sky Tech
2.146. Sigma Interface
2.147. Sparklic Ocean
2.148. Spectral Tentation
2.149. Subterranean Animism
2.150. SUBVERSIVE
2.151. Temple of Destiny
2.152. The JanuS Miracle(Hacked)
2.153. The Secret Box
2.154. The Ultimate Phase
2.155. Ultraviolet
2.156. UltraSans
2.157. Underground
2.158. Uprise
2.159. Valor
2.160. Wander of Thought
2.161. Wolfstep
2.162. X Adventure
2.163. Zettabyte
2.164. 8o X
3. 관련 문서


1. 개요


Geometry Dash데몬맵 중 포럼에서 벗어난, 즉 100위 이하의 데몬을 나열하는 페이지.
원래 포럼 50위 순위권에서 떨어진 데몬들을 나열하는 역할이었지만, 현 Hardest Demon Extended의 등장으로 인해 잠시 사라졌었다가 100위권에서 떨어진 데몬들을 정리하는 곳으로 바뀌었다. 예전엔 최대 36개였으나 3개로 줄었다. 하지만 빠르게 늘어나 현재 '''127'''개.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2019년 7월경 포럼이 Extended에 75 ~ 150위를 나열함에 따라 Legacy는 이제 150위 미만 정도를 맡게 되었다.

2. 목록


  • 라틴 문자의 순서로 서술하므로 난이도 순이라고 혼동하지 말 것.[2]

2.1. Betrayal of Fate(Possibly Hacked)


Betrayal of Fate - Weoweoteo & Xcy-7 Verified by -

- A Bizzare Phantasm과 배경음악이 Betrayal of Fate로 같다. 40%대 UFO 미로와 78% 큐브 암흑미로가 백미. 미국 유저 Weoweoteo가 이 맵을 클리어하는 영상을 찍지 않았는데, Extreme Demon을 깬 적이 없는 Weoweoteo가 업로드하기에는 너무 어려운 맵이라는 논란이 일어 핵이라고 의심을 받았다. 현재 Weoweoteo는 핵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다시 이 맵에 도전하고 있는 중. 그러나 지금은 소식이 전혀 없는걸로 보아 그냥 본인과 유저들 모두 잊어버리고 넘어간 것 같다. 다만 여러 플레이어들은 암묵적으로는 weoweoteo가 핵을 썼다고 생각하는 듯. SrGuillester는 이 영상에서 자신이 '''97%의 황당한 버그'''에 죽는 것을 보여주면서 "게임플레이도 제대로 테스트하지 않고 핵쓰지 말고, 그냥 핵쓰지 말라"고 비꼬는 듯이 말했다. 그러자 weoweoteo는 해당 영상에 이 맵(bof)를 플레이하면서 재미를 못느꼈다면 미안하고, 자신은 핵을 쓰지 않았다고 댓글을 남겼다.[3]
현재 클리어자는 Surv, BlassCFB, GoodSmile, Sunix외 23명이다.
한국인 유저 Koreaqwer이 최초로 클리어에 성공하였다.

2.2. Biohazard


by Kains and more[4], published by Artumanka, verified by -

[5]
2021년 2월 22일경,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이런 이유로 ikaros가 112위에 등재되어 Betrayal of Fate가 레거시로 갔었으나, 자리가 뒤바껴 레거시로 갔다.

2.3. Artifice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7520174
2분 48초
219539
2019.09.2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9.872
'''Artifice by f3lixsram and more[6], verified and published by f3lixsram'''

My biggest project, took 1.5 year. XXL extreme demon megacollab, creators listed in the comments, video on my youtube channel.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148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48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8% 이상이 필요합니다.'''
1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rSpaghetti'''
'''100%'''
'''Youtube'''
'''kota'''
'''100%'''
'''Youtube'''
'''Golden'''
'''100%'''
'''Youtube'''
'''Asdner'''
'''100%'''
'''Youtube'''
'''D3m0nDash3r'''
'''100%'''
'''Youtube'''
'''Enzuu'''
'''100%'''
'''Youtube'''
'''ultracauaHD'''
'''100%'''
'''Youtube'''
'''Gabs'''
'''100%'''
'''Youtube'''
'''Gizbro'''
'''100%'''
'''Youtube'''
'''jbmoon'''[!]
'''100%'''
'''Youtube'''
'''Technical'''
'''100%'''
'''Youtube'''
'''Tipp7'''[!]
'''100%'''
'''Youtube'''
'''Nexus'''
'''100%'''
'''Youtube'''
'''Magellan'''[!]
'''100%'''
'''Youtube'''
'''Kainite'''[!]
'''100%'''
'''Youtube'''
'''Dorami'''[!]
'''100%'''
'''Youtube'''
'''RG'''
'''100%'''
'''Youtube'''
'''Evilseph83'''
'''100%'''
'''Youtube'''
'''blazer2'''
'''100%'''
'''Youtube'''
'''zPlasmaLust'''[!]
'''100%'''
'''Youtube'''
'''Novart'''
'''100%'''
'''Youtube'''[비공개]
'''Extravagon'''
'''100%'''
'''Youtube'''
'''KaiWells'''
'''100%'''
'''Youtube'''
'''Stilluetto'''
'''100%'''
'''Youtube'''
'''Hikari'''[!]
'''100%'''
'''Youtube'''
'''zMarc'''
'''100%'''
'''Youtube'''
'''AlexDIRO'''
'''100%'''
'''Youtube'''
'''combi'''
'''100%'''
'''Youtube'''
'''Kowoo'''[!]
'''100%'''
'''Youtube'''
'''Temp'''[!]
'''100%'''
'''Youtube'''
'''HealthyDawson'''
'''100%'''
'''Youtube'''
'''pyh4476'''[!]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Dolphy'''
'''100%'''
'''Youtube'''
'''ElectroLight7'''
'''100%'''
'''Youtube'''
'''MiniShoey'''
'''100%'''
'''Youtube'''
'''JakeN2436'''
'''100%'''
'''Youtube'''
'''Titanias'''
'''100%'''
'''Youtube'''
'''ItzApex'''
'''100%'''
'''Youtube'''
'''PokSson'''
'''100%'''
'''Youtube'''
'''HuYu'''[!]
'''100%'''
'''Youtube'''
'''Kurumi'''
'''100%'''
'''Youtube'''
'''game#3588'''
'''100%'''
'''Youtube'''
'''DiamondSplash'''
'''100%'''
'''Youtube'''
'''kamurutii'''
'''100%'''
'''Youtube'''
'''Jeller'''[!]
'''100%'''
'''Youtube'''
'''Pakki'''
'''100%'''
'''Youtube'''
'''Zeronium'''
'''100%'''
'''Youtube'''
'''akinawoo'''
'''100%'''
'''Youtube'''
'''ddddr'''[!]
'''100%'''
'''Youtube'''
'''YakobNugget'''
'''100%'''
'''Youtube'''
'''Spaces'''
'''100%'''
'''Youtube'''
'''Nimbus'''
'''100%'''
'''Youtube'''
'''Aether22'''
'''100%'''
'''Youtube'''
'''SpirteX'''
'''100%'''
'''Youtube'''
'''Luciela'''[!]
'''100%'''
'''Youtube'''
'''nSwish'''
'''100%'''
'''Youtube'''
'''foundmyball'''
'''100%'''
'''Youtube'''
'''Vurz'''
'''100%'''
'''Youtube'''
'''Zeth'''
'''100%'''
'''Youtube'''
lsj612[?]
91%
Youtube
Sowun[?]
86%
Youtube
HyoJung[?]
82%
Youtube
TheRealMap[?]
64%
Youtube
Chosbar[?]
60%
Youtube

1년 반에 걸쳐서 만들어진 익스트림 데몬 합작. 노래는 네이티브 페이스의 메탈 버전이다
공개 당시부터 F3lixsram이 본인의 가장 큰 프로젝트라고 밝혔고, 그에 호응하듯이 게임플레이와 전체적인 디자인이 완벽에 가까운 수준으로 등장하며 모든 유저들의 찬사를 이끌어냈다. 익스트림 데몬에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개인차 문제를 벗어날 수는 없었지만[7] 개인차를 제외하면 2019년까지의 모든 익스트림 데몬들 중에서도 최고를 논할때 절대 빠지지 않을 정도로 등장 당시 Artifice의 평가는 절정에 달했다. 오죽하면 Viprin 및 여러 인플루언서들이 선정한 2.1 Awards의 합작 카테고리에서 그 전에 등장한 수많은 명작들을 제치고 당당히 후보로 선정되는 모습을 보였을 정도.
이 레벨의 등장 이후 디자인에서 우수한 완성도를 보이면서도 게임플레이까지 챙기려는 시도가 늘어갔고 Adrenaline, Virtual Collapse, Seraphim 등의 대형 프로젝트들이 모습을 드러냈으나, Artifice는 이러한 유행을 이끌어 냈으면서도 아류작들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좋은 평가를 받는 경우도 많다.

2.4. Epsilon


'''Epsilon - By Drift and more[8], published by Team Proxima, verified by DiamondSplash'''

- 그리스 문자 엡실론에서 이름을 따온 맵. Team Proxima를 커뮤니티에 널리 알린 매우 빼어난 퀄리티를 보여주는 합작맵이다. 초기에 Splash의 채널에 올라온 레이아웃 영상을 보면 원래 난이도는 인세인 데몬으로 기획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이후 합작이 진행되면서 파트 교체 및 유저 변경 등을 거친 결과 지금과 같은 Epsilon이 탄생하게 되었다.[9]
이 맵의 엔딩 크레딧을 자세히 보면 오른쪽 밑부분에 '''"Fallen Creators"''' 라고 쓰여진 묘비가 하나 나오는데, 이 묘비를 들여다보면 합작 도중 하차한 유저들의 닉네임이 주욱 나온다.[10]
2020년 8월 22일, 후속작인 Omicron이 출시되었다.
영상 보기

2.5. Atmosphere


'''Atmosphere - By Wombat and more[11], published by VoidSquad, verified by BrianTheBurger'''

VoidSquad의 합작맵이다. 2017년 6월 30일, Wombat의 채널에서 Atmosphere의 트레일러가 올라왔다. 참고. 지금 완성된 모습과는 달리 많은 합작 인원이 바뀌었으며 베리파이어도 바뀌어 있는것을 알수 있었다. 현재 베리파이어는 BrianTheBurger이며, 2018년 2월 23일에 베리파이에 성공함과 동시에 이 맵이 세계적으로 공개하였다.
세계 최초로 Epsilonic라는 유저가 클리어 하였으며, SP ValuE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하였다. 또 한국 유저 SuperSNSD R가 81%에서 한 번에 성공했다.

2.6. Bloodbath




2.7. Monstercat


'''Monstercat - by Tartofrez and more[12], published by f3lixsram, verified by Golden'''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1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 이상이 필요합니다.'''
?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개가 100%입니다.
'''
유저명
'''
'''
퍼센티지
'''
'''
영상
'''
'''Rainstorm'''
'''100%'''[!]
'''youtube'''
'''ddddr'''
'''100%'''[!]
'''youtube'''
'''Jeller'''
'''100%'''[!]
'''youtube'''
'''RG'''
'''100%'''
'''youtube'''
'''Moosh'''
'''100%'''
'''youtube'''
'''ViewSonic'''
'''100%'''
'''youtube'''
'''Fenix'''
'''100%'''
'''youtube'''
'''CaveMelv'''
'''100%'''
'''youtube'''
'''shadow159951'''
'''100%'''
'''youtube'''
'''CraZDemonX'''
'''100%'''
'''youtube'''
'''GDonut'''
'''100%'''
'''youtube'''
'''Xylitol'''
'''100%'''[!]
'''youtube'''
Masol
94%[?]
youtube
상천
94%[?]
youtube

Demonicat의 후속작.
2021년 1월 21일날에 149위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1월 23일날엔 Shibui가 138위, 1월 25일엔 Sinister Incision가 86위에 배치되면서 레거시로 떨어졌다...

2.8. Glacial Torrent


by MiniWheatDuo and more[13], published by Nell, verified by MiniWheatDuo

모바일 유저들의 합작 익스트림 데몬.

2.9. Electrolux


Electrolux - Byboy11 and more[14], verified and published by GuitarHeroStyles

Panasonic의 후속작.

2.10. Molten Mercury


Molten Mercury - ItzHybrid & More, Verified by Kapinapi

Tempered Steel의 후속작.

2.11. Under Lavaland


Under Lavaland - N R G and more[15], Verified by Dorami

독특하고 높은 퀄리티의 디자인과 달리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좋지 않다...

2.12. Hateful Reflection


'''Hateful Reflection - by YoonsrDynamix, Skrypto and GD Iris, verified by zDemented, published by GD Iris'''

빨간맵에다 나인써클이라는점에 저평가 당하는점이 있지만, 독특한 디자인을 가진 나인써클 레벨이다.

2.13. Ecstasy


Ecstasy - by SleyGD

ldm을 키지 않거나 ldm,uldm버전을 따로 사용하지 않으면 소위 말하는 눈뽕이 있다.
겜플은 좋지 않다고 평이 나오는 편이며 그래서 그런지 클리어자가한국기준 Dorami ddddr, jentro 3명 뿐이다.

2.14. ATMarbl


ATMarbl - Pennutoh & more[16], Verified by Golden

- Pennutoh가 레이아웃을 만들고 그와 친분이 있는 여러 크리에이터들이 디자인한 맵.[17] 역시 게임플레이를 잘 만들기로 유명한 Pennutoh답게 게임플레이가 좋다. 베리파이어는 Golden[18]이다.
2018년 4월 13일에 베리파이했으며 베리파이된지 한달만에 별이 붙었다.
현재 Top 50 순위에서는 40위권을 차지하고 있는데, 너무 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많다. 최소 2~30위권으로는 올라가야 한다고 평가받는다.
베리파이어인 golden은 이 맵이 subsonic보다 확실히 어렵다고 했다. 그러나 초고수유저인 jbmoon은 이 맵이 개인적으로 블러드배스보다 쉽다고 하였다.
그리고 또다른 초고수유저이자 국내별갯수 1위인 sowun은 infernal abyss보다 훨씬 쉽다고 하였다. 파기 시작한 처음날 atmarbl을 81퍼를 갔다고....
다른 많은 유저들도 블러드배스보다는 어렵지 않다고 평가하고 있다. 결정적으로, srguillester도 또한 이맵이 너무 고평가되었다고 했고 재미마저 없다고 했다. 결국 2020년 7월 11일 기준 125위에서 129위로 떨어져 Bloodbath 밑으로 떨어졌다,[19]
한국 클리어자는 Dorami, temp, Tipp7, zPlasmaLust, Kainite, Fuyu, SP VaLuE, Woo Hwang, Jbmoon, Kati4zMJ
1 Sparky, Bluerigel, Rainstorm, Schuld, TherZ, Itz , YoungUng2, Chosbar, ysj1005, ddddr, RedCraft, Prini, StarPrint
pyh4476, plue, 1tzBee, GyulGod, lsj612, 1qawsz, TheRealMap, JRainBowlX, sandstormy, venfy, DGG D70 등으로 [20]많다
이 맵에 쓰인 곡 Marbl의 작곡가인 Schtiffles가 곡을 업데이트하면서 싱크가 맞지 않게 되어버렸다...
싱크를 맞춰 플레이하고 싶다면 에디터에서 곡의 시작 부분을 1.7초가량 뒤로 늘리거나 PC버전일 경우 https://youtu.be/zMJ7S6oqJVc에서 곡을 다운로드받는 것을 추천한다.
2021년 1월 11일에 Eternal Moment가 28위에 등재되어 '''레거시로 떨어졌다.'''

2.15. Azure Fiesta


by Geonox and more[21], verified and published by Dorami

초고수 유저 Dorami의 여름 테마 합작 익스트림 데몬이다.
겨울 테마 합작이자 후속작인 Snowfall Fiesta가 만들어지고 있다.
평가가 극히(?) 갈린다. 유저들 대부분은 고평가되고 있는 맵이라고 주장한다.

2.16. The Hell Bird


The Hell Bird - Published by Havok, Created by Arb71703 and more[22], verified by Gizbro

2020년 10월 21일경, 갑자기 151위에서 142위로 재평가받아 레거시에서 구제되었다.

2.17. Down Bass(Hacked)


Down Bass - Exterys Valyrie(TheRealSpectra), Verified(Hacked) by TheRealSneaky
[23]
- 라임색 도시를 컨셉으로 잡고 만든 라임색 나인서클류. 2.0 시절에 'Crimson Clutter', 'Catastrophic'[24]과 함께 나인서클류 3대장을 이루었고, TheRealSneaky의 업데이트 후[25] Sonic Wave, Bausha Vortex와 함께 2.1 초기 나써 3대장을 형성했던 네임드 데몬이다.
비록 2019년 이후부터는 인플레의 희생양 중 하나가 되어 메인 리스트 퇴출, 익스텐디드 퇴출 직전까지 가서 서서히 잊혀지고 있지만, 자체 난이도는 여전히 어지간한 고수들도 손대지 못할 정도로 흉악하며, 라임색 도시 컨셉으로 이루어진 나써라는 특유의 개성과 괜찮은 노래 덕분에 구 나써 중에서는 꽤 기억되는 편이다. 그러나 2021년 1월 8일, 기어코 '''레거시로 강등되고 말았다.'''
업데이트 후 TheRealSneaky가 손캠 인증을 하긴 했으나 스피드핵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고, Down Bass는 다시 핵맵 딱지가 붙게 되었다.
극버프 업데이트가 임팩트가 강해서 그렇지 업데이트를 굉장히 자주 하는데, 알려진 것만 '''12번'''이다.
모든 버전들: #
상향 전 버전 1: #
상향 전 버전 2: #
2018년 이후부터 Down Bass Incarnation이라는 리메이크가 제작되고 있다.

2.18. Idols


idols - ZafkielGD & more[26], verified by DoSh7t

- Virtual Riot의 idols를 사용한 거대 합작. 사용된 오브젝트 수가 무려 '''256648'''개인 만큼 엄청난 퀄리티를 자랑한다! 본래 crazen이 베리파이하려고 했으나 Dorami에게 넘어오고 '''96%'''를 갔다! 이후 방송에서 버그 수정 밎 약간의 버프를 했고, 며칠 뒤인 8월 12일 12시 20분 경 베리파이했다!
여담으로 원곡이 인게임에서 사용 불가능하여 Kolkian - Catalyze로 대체한 상태이다.[27]
난이도가 엄청나게 저평가를 받고 있다. 대부분의 유저들은 이 레벨이 Conical Depression 이상이라고 생각하고, 베리파이어인 Dorami도 이 맵이 3~40위권이라 평가했기 때문에 51위는 저평가가 아닐 수 없다. 결국 재평가를 받아 순위가 상승했다.
이후 ThatJ4ke가 클리어했는데 Phobos보다 어렵다고 한다.
이후 한국유저인 Enichi 가 73% 나비모드 구간에서 14번을 죽은 후 클리어했다.
2021년 2월 16일에 업데이트를 했다. 주로 버그픽스, 밸런스 업데이트를 했다. 밸런스 업데이트에서 대부분 너프를 했다.

2.19. Just DANCE


'''Just DANCE - Texic and more, verified by Kapinapi, published by Texic'''

2020년 11월 16일에 Furious Flame의 핵업뎃으로, 레거시로 추락해 다시 익스텐드로 갔지만...2020년 11월 17일에 원상복구가 되어 다시 레거시로 떨어졌다. 그다음 2020년 12월 4일에 Inflective가 레거시로 떨어져 다시 익스텐드로 올라갔지만(...) Glacial Torrent가 141위로 등재되어 다시 레거시로 떨어졌다.(...)
2020년 12월 9일경, 이맵에 밸런스 패치를 했는데, 대부분의 파트가 너프가 되었다. 몰론 버프한 파트가 있지만, 그마저도 미미한 버프이기에 사실상 너프다.
2020년 11월 20일경, 1tzBee라는 유저가 '''60hz로 클리어했다.'''[28]
하지만 너프가 되자마자 화난 상태로 쓴 글이 있는데 글을 읽다보면 화 남을 느낄수있다
그리고 11월 30일경, 또다른 한국유저 JRainbowIX가 60hz 두번쨰 클리어자가 되었다.[29]

2.20. Inflective


by Texic and more[30], published by Mojitoz, verified by Vorgogne


2.21. Phosphorescent


Phosphorescent - by LimeTime313


2.22. Prismatic Haze


'''Prismatic Haze - by Cirtrax and Gizbro, verified by Moosh, published by Cirtrax'''

Gizbro의 레이아웃을 Cirtrax가 데코한 것으로, 싱크가 잘 맞는 맵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12월 2일에 업데이트를 했다.

2.23. Tempest Tornado


Tempest Tornado - by Colorbolt and more[31], verified by Nimbus, published by Colorbolt


2.24. Aurora


Aurora - TheKris

전체적으로 디자인 등 맵을 만드는 것을 ugetsu, Alex084가 도와주었다. 난이도로 보면 전체적으로 맵이 어렵지만, 그중에서도 거미와 웨이브를 활용한 흥미로운 듀얼 모드들이 존재하는데 초반 부분과 큐브+큐브, 큐브+웨이브, 웨이브+비행기, 비행기+볼, 로봇+거미, '''큐브+웨이브''', UFO+거미, 거미+거미, 거미+웨이브로 이루어져 있는 매우 다양한 듀얼이 있다. 드롭파트[32]는 4배속 비행모드와 ufo이지만, 드롭 앞뒤가 전부 까다로운 와중에 오히려 맵에서 가장 쉬운 부분이라는 소리를 듣는다. 후반 보스전으로 넘어가면 한숨 돌릴 만 하긴 한데, 마지막 부분에서 보스가 내뿜는 레이저 기둥 외 장애물들이 갑툭튀하므로 암기와 컨트롤을 요구하게 된다.
'''2.1의 첫 익스트림 데몬'''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걸맞게 디자인이 훌륭하다는 감상이 많았다. 중반부의 투명한 듯한 블럭과 뒷배경인 오로라와의 조합이 2017년은 물론이고 시간이 꽤 지나도 쉽게 찾아보기 힘들기도 했고, 여전히 장관인 후반 보스파이트[33]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TheFenixU라는 유저가 첫클리어를 하고 이후 HaNsUpZ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 클리어의 업적을 세웠으며, 그 이후 다른 한국 유저인 Angelbaton가 이 맵을 클리어하였다.
원래 Carnage Mode보다 한 단계 위였지만 갑자기 재평가를 받아 36위에 안착했다.
국내 유저 soulcontrol이 모바일로 클리어했지만 마지막 보스파이트 구간에서 가시에 닿는 모션 때문에 포럼 등록은 되지 않았다. 자신은 포럼의 입장을 존중한다고.

2.25. Arctic Arena


Arctic Arena - Eclipsed and more[34], published by Eclipsed, verified by Sunix

Aquatias와 Orion이 만든 1.9 시절 맵인 Frozen Space의 리메이크로, 브금은 ToE2를 사용했으며 상당히 큰 규모의 대형합작맵이다. 특유의 분위기와 화려한 청색 디자인이 일품이다. 또 극악한 비행기 파트와 칼타이밍등 여러 모드들로 이루어진 맵이다. 14인 각각의고유의 디자인이 들어가 있어 레벨의 구성과 완성도를 높인게 특징. Verifer인 Sunix가 난이도가 애매해 확실하게 블베보다 어렵다고는 말 못한다고 하였지만 바로 위 순위인 23위를 차지했다. 여담으로 공식 노래를 사용한 몇 안되는 익스트림 데몬이다.
최초로 BrianTheBurger가 클리어했다. 그 후 26일 DiamondSplash도 클리어.
한국에서는 게임을 접었던 유명 유저 Seturan이 9월 26일 갑자기 복귀 소식과 함께클리어 영상을 올렸다
여담으로 Unnerfed버전이 있는데 Combined랑 Sunix가 Yatagarasu보다 어렵다고 했다!
7월 8일경에 디자인을 고치고 너프를 했는데 '''대폭 너프를 한거라 레가시로 떨어질 정도의 큰 너프를 했다.''' 그러나 이맵을 깬사람들은 레가시정도는 아니고 그냥 Extended 최하위권에 속한다라는 평을 했다. 그러나 Omicron이 37위에 등재됨에 따라 레가시로 내려갔다.

2.26. Artificial Ideology




2.27. A Bizarre Phantasm


A Bizarre Phantasm - TeamN2[35], Verified by GoodSmile
[36]
-TeamN2의 2번째 맵. 오랫동안 Bloodbath 아래서 계속 2위를 지켰던 맵이다.
원래는 Cyclic에 의해서 업로드된 맵이지만, GoodSmile이 버그를 수정하고 다시 업로드했다. 여담으로 이 맵의 두번째 웨이브 파트에서 미니 포탈을 스킵할 수 있지만, 난이도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Koreaqwer의 중력반전 포탈이 계속되는 3배속 미니웨이브와 매우 좁은 공간을 빠져나가야 하는 일반웨이브가 맵 내 컨트롤적 요소로 가장 어려운 구간으로 꼽힌다.
이 맵에는 다른 요소로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바로 암기력이다. 마지막 부분에 있는 Minus(Yuri) 의 키 미로는 '''중력반전 웨이브''' 로 '''키(Key) 가 3개씩 있는 것 21세트를 지나가야 하는데, 하나라도 잘못 먹으면 97% 에서 죽기 때문에 극도로 떨리는 상황에서의 냉정한 암기를 요구한다'''. 실제로 GuitarHeroStyles 가 97%에서 죽은적이 있다... [37][38][39]
키 순서는 1을 맨 위로 하면 다음과 같다. 1-2-1-3-2-2-3-1-3-2-1-2-3-2-1-3-1-2-2-1-3
한국인 유저 LIFE가 클리어 하는데 굉장히 고생한 맵이기도 하다. 무려 8개월의 기간동안 플레이를 했고, 4차례나 클리어한 기록이 사라졌었다. 그리고 결국엔 영상을 정상적으로 찍고 클리어. 또다른 국내 유저 Rainstorm 역시 클리어하였다. Cutter와 Koreaqwer, Seturan, Plusxenon, Danger도 클리어에 성공했다 .
현재 클리어자 수는 약 120명이다.

2.28. The Hell Factory


The Hell Factory - TeamN2[40], Verified by Powerbomb

- TeamN2의 첫 번째 맵. 이탈리아 유저 Powerbomb에 의해서 업로드되었다.
과거 1.9 시절 어느 날, Reple이라는 한국의 한 유저가 Temporary라는 제목으로 자신이 제작하고 있던 맵의 프리뷰 영상을 올렸다. 이 유저는 이 맵을 만들기 위해 실력 있는 한국인 플레이어와 제작자들을 모아서 'N2'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그리고 스테이지를 제작한 후 'Hell Factory'라는 제목을 붙이고 Enigma[41]라는 유저에게 업로드를 맡겼다. 하지만 Enigma는 핵을 사용했고, 결국 별을 받지 못했다.
그 후 2.0 업데이트 후 TeamN2는 이 맵에 데코레이션을 추가하고 제목을 'The Hell Factory'로 바꿔서 맵을 업로드할 사람을 찾다가 Powerbomb이라는 유저를 선택하였다.[42][43] Powerbomb는 결국 이 맵을 클리어하고 TeamN2 계정으로 업로드하였다. 그리고 이 맵은 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랫동안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49위로 떨어졌다가 재평가를 받아 44위로 올라왔다.
여담으로 Powerbomb이 Verify한 후 기쁨에 겨운 비명을 지르는데 이 비명을 들으려고 영상을 보러 오는 사람도 많다.(...)
Ryan LC의 파트인 53%~54%구간은 Neptune의 Doomsday의 디자인을 사용했으며 버프가 되며 너무 좌우변환포탈이 많은 나머지 십자가 디자인이 망가진다. 이렇게 해서 맵을 잘 안보이게 하는 방법은 1.2때부터 이용돼오던 방법이며, 좌우포탈의 맹점.
2020년 9월 5일날, Disentombed가 110위에 등록되며 '''레거시에 갔다.'''

2.29. Mirage


'''Mirage - by Zanna83 and more[44], published by Golden, verified by Technical'''

Golden이 주최하고 Technical이 베리파이한 익스트림 데몬.
베리파이를 한 Technical은 이상한 파트도 있지만[45] Sminx와 Volt의 파트같이 재미있는 부분도 있었고, 모든 파트의 스타일이 각각 다르며 같은 색깔에 묶여있지 않음에도 디자인이 어우러지는 것을 고평가했다. 예상 순위를 149위로 적어두었는데 그 탓인지 등재된지 얼마 안되어 바로 Legacy 데몬으로 떨어졌다.

2.30. Extinction


'''Extinction - by SlimJim and more[46], published by Chom, verified by Extravagon'''

원래 핵맵으로 올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9년 3월 31일, Kapinapi라는 유저가 할수있게끔 바뀌였으며 2019년 4월 16일에 54위로 등재되었다.
2020년 5월 4일날에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2020년 7월 1일에 116위[47]에서 144위로 떡락했다...

2.31. WaveBreaker


'''WaveBreaker - by MarEng and more[48], published by Lemons, verified by Golden'''

Paroxysm을 만든 Lemons의 합작맵이다.
2018년 4월 2일날, 레이아웃으로 처음 공개하였다. 참고. 그후... 2018년 7월 20일날에 공식 프리뷰가 올라왔다. 참고. 그리고 시간이 흘러... 2019년 7월 22일날 드디어 완성했다! 베리파이어는 Golden이 맡았으며, 2019년 7월 31일날에 베리파이에 성공한다! 그리고 2019년 8월 27일에 98위에 등재되었다.
게임 플레이는 호불호가 갈리나, 대체로 재밌다는 평이 많다.

2.32. Penultimate Phase


'''Penultimate Phase - by nwolc''

베리파이 된지 1년이 지난뒤 별이 붙었다.

2.33. Aftermath




2.34. Innards


Innards - Kaito, Verified by Cinci

유저들에게 흔히 알려진 극버프 버전. 이 항목도 대부분의 내용이 이 극버프 버전이 공식 버전으로 여겨졌을 때 작성된 것이다.
- 평화롭고 은은한 분위기였다가 갑자기 분위기가 급변하는 맵.[49] 익스트림 데몬 중 유일하게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테마를 썼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디자인 면에서 호평을 받는다. 그러나 불호의 입장에서는 한 외국인 유저가 Shitty Innards[50]라는 맵에서 "Innards is already shitty"라며 불호의 의견을 냈다. 베리파이어인 Cinci는 이 맵이 Erebus보다 어려울 것이라고 했지만, 사실 이 레벨은 Orochi의 풀버전이나 Cimmerian Shade를 제외하면 '''이 문서에 있는 모든 레벨들을 압도할 정도의 엄청난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이 레벨 디자인 특성상 겉으로 보기에는 쉬워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Sea가 이 영상에서 본인도 이 레벨이 그렇게 어려운지는 몰랐는데, EndLevel이 '''Practice Mode 조차 못 돌릴 정도로 말도 안 되게 어렵다'''고 말했다고 한다. - 심지어 현재는 그 버전에서 '''더욱 더 버프된 버전이다!'''[51] 극초반의 2칸짜리 넓은 가시부터 타이밍을 극도로 정확히 재야 한다는 특성에서 범상치 않고 그 다음 진행도 전부 극한의 칼타이밍 실력이 아니면 통과가 불가능하다. 분위기가 변해서 속도가 급작스럽게 빨라지는데 그 시점에서 나타나는 웨이브 간격은 충격과 공포를 자랑하는 난이도이며 4배속 1칸비행까지 등장하고 칼타이밍까지 합쳐져 지옥이 무엇인지 보여주며 보스 파이트가 나타난 후에도 막판에 극한의 칼타이밍의 검은 공점이 나타난다. 킬링 파트는 49~64%로 나타나나 모든 영역의 길이 극도로 좁은데다 모든 구간이 칼타이밍으로 도배되어서 킬링 파트가 의미가 없는 수준...
이후 베리파이어인 Cinci가 몇몇 초고수 유저들에게 맵을 복사해 준 듯 한데, Bloodlust급 난이도라는 Sakupen Realm을 베리파이한 MeatiusGaming이 이 맵의 프렉티스 모드를 459어템만에 클리어하고 '''내가 역대 해 본 맵중 가장 어렵다'''고 평했다. 댓글에서는 '''Orochi, Tartarus 보다 2배는 가볍게 더 어렵다'''라고 하기도 했다. 다만 Meatius의 말에 따르면 운빨을 좀 타는 레벨이라는 듯 하다. 또한 Nwolc는 52어템만에 프랙티스 모드를 클리어 했으며, '''48어템''''''으로도 클리어했다!''' 그 때문에 만약 Cinci가 포기한다면 Nwolc가 베리파이하는게 좋겠다는 의견이 많다.
Cinci는 50%를 간 이후로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Unnerfed 버전을 프랙티스 모드로 90어템에 클리어했다. 그 후 2018년 1월 9일 업데이트가 되었다. 그리고 44%를 갔다.
DollarC의 해당 레벨 노클립 영상의 댓글창에서, 이 레벨의 제작자인 Kaito에 의하면 원래 '''7성 Harder로 만들 것을 폭풍상향시킨 것'''이라고 한다.(...)[52]
Kaito가 원래는 7성 Harder로 만들려고 한 것을 Viprin cc8에 제출하기 위해 Medium Demon 정도의 난이도로 버프시켰고, 이후 Cinci의 손에 들어오면서 Erebus급의 난이도로 버프되었으며, 최종적으로 Kaito에 의해서 여러번 수정 및 버프되면서 지금의 괴물급 난이도가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맵 자체는 2.0에 만들어졌다가, 2.1 업데이트 이후 거미모드와 새로운 공점, 데코 등이 추가됐다고 한다. Kaito는 이 맵의 연장 구간까지 만들고 있다고 했지만 취소되었다.
구 버전에는 일자비행 구간의 가시에 작은 가시가 들어 있었는데, 지금은 일반 가시로 돌아왔다. 이게 난이도에 큰 영향을 준 이유가, 지메는 일반 가시 판정이 애매해서 가시 끝에 닿아도 아슬아슬하게 사는데, 일반 가시보다 판정이 훨씬 더 엄격한 작은 가시가 위에 박혀 있으면 말 그대로 완벽한 일자비행을 해야만 넘어갈 수 있었다. 다만 현재 버전은 가시 폭을 좁게 해서 난이도를 조정했다.
또한 극악 타이밍이 필요한 마지막 검은 공점 파트가 있는데, 그 공점을 최대한 늦게 치지 않으면 98%의 가시에 박는다.[53] 가시에 박으면 '''Oof'''라는 문구가 나타난다.[54] 저걸 저대로 내버려 둘거냐는 질문에 Cinci는 "지금까지는 저 구간을 연습하면서 죽은 적이 없으니 일단은 저대로 두겠다"고 했다.(...)
Cinci는 앞부분의 난이도를 너프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고 했다. 오히려 일부 구간을 재미로 버프 중이다.[55] 하지만 결국 버프를 또 다시 하게 됐는데, 대표적으로 37%와 63%가 있다. 37%의 코인 루트 가시가 반 칸짜리에서 1칸짜리로 바뀌었으며, 63%는 바로 위 영상 링크에 나온 간격과 버프 이전 간격의 중간 정도로 웨이브 간격을 좁혔다.
무명 크리에이터와 무명 베리파이어의 만남으로 한참이나 빛을 보지 못했던 맵이기도 하다. 2016년부터 Cinci가 베리파이를 시작했고, 무명맵을 유튜브에 올려주는 DollorC가 영상을 올려줬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1월에 Sea가 이 맵에 대한 영상을 올리기 전까지는 유저들이 이 맵의 존재조차 잘 몰랐고, 사람들이 관심을 갖든 말든 방송을 보든 말든 상관없이 Cinci는 생방송으로 묵묵히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Sea의 영상이 나오고 나서 알지도 못했던 무명맵이 다른 유명 극악맵[56]들을 난이도로 누르는 것을 보고 사람들의 관심이 갑자기 이 맵에 쏠리게 된 것이다. 이후 1000명도 넘지 못했던 Cinci의 구독자수는 금세 3000명을 돌파했다. Cinci는 갑작스러운 Innards와 본인에 대한 관심에 당황을 표하기도 했다. 현재는 생방송을 보는 인원이 훨씬 늘어났지만 여전히 과거와 다름없이 생방송으로 묵묵히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다.
2018년 3월 25일자로 '''이 맵에도 Bloodlust와 비슷한 케이스의 논란이 발생했다.''' Exen이라는 유저가 Kaito나 Cinci의 허락 없이 맵을 플레이하고 있으며, Cinci에게 '''"일주일안에 44%를 넘지 못하면 이 맵을 베리파이하겠다"'''고 협박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 맵은 서버에 올라온 적이 없었는데, 이 맵의 구버젼이 서버에 풀려 Exen이 나서게 된 것이다.
다만 Bloodlust때와의 차이점도 상당히 많이 있다. 우선 Bloodlust의 베리파이어였던 Knobbelboy가 동기를 잃어 1달간 베리파이를 진행하지 않았고, 이에 대해 호불호가 많이 갈렸던 것과는 달리 Innards의 베리파이어인 Cinci는 2016년 말부터 현재까지도 매일같이 생방송으로 맵의 진행 상황을 보여주었다. 또 Exen은 이 맵의 가장 큰 의미나 마찬가지인 난이도를 하향시켰으며, Bloodlust에서 논란을 일으켰던 Crazen과는 달리 Exen은 몇 번이나 해커로 지목을 당한 전과가 있다.[57] 무엇보다도 현 베리파이어인 Cinci는 '''Knobbelboy보다도 더 많은 시간과 어템을 소모해서 현재의 자리까지 온 것이다.'''
다행히도 이 상황은 5일 만에 끝나게 되었다. Exen이 먼저 Innards를 그만뒀다는 내용의 영상을 업로드했고, 금세 Cinci도 드라마가 종결되었다는 영상을 올렸다. 완전히 파탄나버린 Crazen과 Knobbelboy의 관계[58]와는 다르게 Cinci와 Exen은 서로의 영상에 서로를 응원하는 댓글을 달았으며, 서로의 댓글을 고정해주는 것으로 훈훈하게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Exen은 이제 커뮤니티의 완전한 배척을 받는다. 해커 전적에 현재도 핵 의심을 받으면서 멋대로 시비 걸고 커뮤니티에 파장을 일으켰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4월 24일, 60%~98%를 간 후 마지막 가시에서 죽어서 '''드디어 마지막 가시를 너프했다.'''[59] 팬들은 Cinci가 너프를 하다니 놀랍다는 반응이다(...) -
국내에서는 VoTcHi라는 유저가 오리지널 버전 28%와 버프버전 18%를 갔다.
한동안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 최근 올라온 영상에 따르면 Nwolc가 가지고 있는 버전으로 Innards를 롤백하겠다고 한다. 현재 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한다. 이후 2018년 11월에 오면서 Cinci가 본격적으로 베리파이를 시작했는데, 베리파이를 진행할 때마다 너프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물론 이전 버전은 불가능에 가까웠던 만큼, 별로 놀랄 일은 아니다.
베리파이어인 Cinci는 '''지금까지 20만이 넘는 어템이 들었다'''고 했다. 유저 간의 실력 차가 있겠지만 Bloodlust가 약 12만 어템을 소비해서 클리어됐다는 사실이 이 맵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말해준다.
이후 2019년 3월 13일, 결국 Cinci가 '''Innards의 베리파이를 포기했다.''' 다음 공식 베리파이어는 미정.[60][원문] 하지만 이는 본인이 베리파이하던 극버프 버전을 포기하겠다는 말이였고, 이후 3월 18일 Kaito의 공식 버전을 베리파이하는 데 성공했다. 난이도는 최강급 데몬으로 불렸던 과거 극버프 버전보다야 쉽지만 여전히 어려운 편으로 Cinci는 하드 데몬, 공식 버전 첫 클리어자인 Wooshi는 인세인 ~ 익스트림 데몬, 노별포럼은 현 포럼 기준 대략 8~90위 정도로 보고 있다. 비록 과거의 명성은 조금 사라졌을 수도 있겠지만 본인을 2년 가까이 괴롭힌 맵을 끝내 베리파이한 만큼 Cinci 입장에서는 기분이 남다를 것이다. 공식 버전이 베리파이된 만큼, 극버프 버전은 일부 유저들의 도전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3월 25일, 한국인 무명 유저인 HiRinE가 클리어 하였다.
이 레벨에 쓰인 곡은 Dark Travel에 쓰인 곡으로 유명한 곡이다. 곡 제목은 1f1n1ty + LOrbSheddy - PSMD Dark Matter Suite Remix이다.[61]

2.35. Gridlocked


Gridlocked - Team Umbra[62], Verified by wormfodder(50226022)

-
- Spacial Rend를 제작한 Team Umbra의 그 후속작이자 마지막 맵이다.
Spacial Rend를 베리파이한 DiamondSplash가 베리파이한다고 했으나 Failure444가 베리파이하게 되었으며 여러번 스트리밍 했다.
이후 11월 9일 wormfodder에 의해 베리파이 되었다.

2.36. Plasma Pulse III


Plasma Pulse III - xSmoKes & Giron

- Giron의 Plasma Pulse와 Plasma Pulse II를 잇는 레벨. 다른 요소들도 물론 어렵지만 특히 '''극악의 볼과 로봇, 그리고 큐브 구간'''이 이 레벨의 난이도를 상승시키는 주 원인이다. 이 모드들은 '''상상을 뛰어넘는 타이밍'''을 자랑한다. 영상에는 Insane Demon이라고 써있지만 처음 등장했을 당시 5위를 함으로서 명백한 Extreme Demon이라고 판결났다.[63] 물론 여러 데몬들이 많이 등장한 현재는 43위.
국내에선 Handsupz라는 유저가 97%를 먹고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그뒤 Seturan도 클리어했으며, 이후 Dorami가 12월 6일 '''1405어템'''만에 클리어하였다.[64]
그리고 2018년 2월 18일 vbnfgh231라는 국내 유저가 세계최초 모바일로 이 맵을 깨는 데 성공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6O3A0-5g8Kg&list=PLLPG-R9oBaz6FMI56cJDVy_EXIZ1RIp2k&index=1

2.37. Maybe Possibly Thing


Maybe Possibly Thing - iNubble, verified by YakobNugget

디자인과 난이도가 정반대로 전개된다. super probably level처럼 암기 데몬이기도 하면서 칼타이밍도 요구되는 데몬이다. 중간중간 여러 밈들이 들어가 있다.

2.38. N0


'''N0 - by Metalface221'''

Metalface221의 가장 어려운 데몬이자, 그의 역작으로 평가받는 솔로 맵.[65]
꾸준히 발전하던 Metalface221의 크리에이팅 실력이 정점을 찍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게임플레이와 디자인 양면으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제작자 자신도 역작이라고 평가했고 대부분의 유저들이 동의할 정도.
좋다고 평가받는 퀄리티나 곡의 분위기와 별개로 Metalface221의 솔로 맵 답게 난이도가 매우 어렵고 구성도 쉴새없이 지나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020년 5월 후반쯤, N0의 제작자인 Metalface221가 해킹을 당하여 맵이 비워졌다. 후에 원상복구 되었다.

2.39. The Hell Dignity


The Hell Dignity - Published by Stormfly, Created by Sohn0924 & more[66]

- 극악한 칼타이밍을 가지고 있는 맵이다. 원래 오리지널 The Hell Dignity는 포럼에서 한참 윗순위인 전작 The Hell World보다도 어렵지만 Stormfly가 칼타이밍과 비행을 대부분 삭제, 너프해 The Hell Zone보다도 쉽다고 평가받고있다. 하지만 이건 Stormfly가 The Hell Dignity를 극하향시킨 게 아니라 The Hell Zone과 The Hell World를 '''미친 듯이 극상향'''시킨 것이다.[67] The Hell World도 버프를 왕창 먹였다가 좀 너프시킨 것이 현재 버전이다.
현재 클리어자는 8명[68] 이다.

2.40. Triple Six


'''Triple Six - by Zylenox'''

Zylenox의 헬 테마 레벨이다. 게임플레이 속에서 암기와 눈뽕 요소가 들어가있으며, 매우 재밌는 게임플레이를 가졌다.
이름의 유래는 악마의 숫자라고 불리워지는 666이다.

2.41. Niflheim


Niflheim - Vismuth, Verified by Koreaqwer

- 국내 크리에이터 Vismuth[69]가 만든 익스트림 데몬. WOOGI1411과 함께 만들었던 Endorphin이라는 레벨의 자신의 파트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디자인면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기도 한다.

초반에 등장하는 볼 모드가 까다로운 편이고 그 이후에 나오는 일반/소형 웨이브 및 소형/일반 UFO, 일반 큐브 모드, '''잠깐 나오는 비대칭 듀얼'''[70] 이 많이 어렵다. 여러 모드가 휙휙 지나가는 드롭은 말할 것도 없고 마지막 큐브에서도 안타깝게 죽는 사람이 나온다.
Verifier는 닉네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한국인이다. 한국유저 Cutter가 베리파이어인 Koreaqwer 다음으로 클리어하였다. MaChine17이라는 국내유저가 모바일로 클리어하였다.
Bloodlust에 의하여 Extended로 추락했었으나, 재평가로 다시 50위권에 입성했다. 그 후 Asmodeus 입성으로 다시 Extend.

2.42. Panasonic


Panasonic - ItsAdvyStyles & more[71]

- GuitarHeroStyles가 주최한 콜라보맵. 참고로 정규 Sonic 시리즈는 아니다. 재미있게도 SubSonic과 같은 날에 업로드되었다. 이후 Insane, Extreme을 넘나들다가, 8/17를 기준으로 Extreme Demon 상태이다. 상당히 난이도가 저평가되었다는 말이 많은 맵이다. 클리어자에 따라서는 Retention보다도 어렵다는 사람이 있다.
여담으로 맵을 클리어하기 전 타이틀과 크레딧 롤이 TV 화면에서 나오는 걸로 보아 빼도박도 못하게 이거 패러디. 그러다 난이도 급추락으로 Legacy로 왔다.[72] 결국 다시 올라오며 몇 단계를 더 뛰어넘어 Hypersonic을 넘어 Cosmic Calamity 위로 안착.
원래 이맵은 하이퍼소닉보다 어렵다는 반응이 대다수였고 실제로도 맵 중간중간 자잘한 칼타로 굉장히 골치 아픈 데몬 중 하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이맵이 심각하게 저평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포럼 61등이 되며 자신이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2.43. The Antimatter


The Antimatter by by Bianox and more[73],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SrGuillester


2.44. Marathon


Marathon - WeoWeoTeo and Hinds, Verified by Luqualizer

맵에서 나오는 1~26까지의 숫자는 26마일인 마라톤의 마일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1마일은 약 1.6km이다)
그냥 암기만 제대로 익히면 쉬운 데몬이 되기에 모바일이랑 60hz 클리어자가 많다.

2.45. Audio Extraction


Audio Extraction - Published by GoodSmile, Created by more[74]

- Team TouchArcade의 2번째 합작맵이다.[75] 8월 7일에 Verify됐지만, 10월 말이 되어서야 데몬이 되었다. 원래 Audio Excursion의 뒤를 잇는 맵을 만들려고 했지만, 2.0이 되기 전까지 작업이 되지 않았다. 여담으로 잘 보면 Goodsmile의 듀얼 웨이브 파트가 무척 흥미롭다.[76]
High Detail Version : # 제목을 잘 보면 EXTREME '''L'''EMON이라 되어있다.[77] 2.1 패치로 58%파트의 겹공점이 '''거의 불가능'''해졌다.[78] 그러나 DiamondSplash 라는 유저가 2.1에 들어와서 불가능하다는 이 겹공점을 최초로 성공시켰다. 그 이후 plusxenon이라는 한국 유저도 겹공점을 성공시켰다.
그리고 업데이트로 겹공점 버그를 패치시켰다.
국내에서는 Rainstorm이 최초로 클리어했다.
또 국내 '''모바일''' 유저 Soulcontrol이 버프한 버전을 마침내 깼다!클리어영상
재평가와 Factory Realm X로 인해 52위로 떨어졌다.

2.46. Elite Z Rebirth


Elite Z Rebirth - Published by Krazyman50, Original by Play 4075365, Designed by AirSwipe

- 과거에 불가능한 맵이라 여겨졌던 Play 4075365의 Elite Z를 디자인을 다시 해서 Krazyman에게 업로드된 맵.
초반부터 Michigun의 챌린지 수준의 넓은 3단가시부터 시작해 극악한 장애물들이 많이 나온다. 디자인이 그렇게 좋지 못한데도 불구하고 데몬에다가 Featured도 받아서 롭탑의 Krazyman 편애 논란이 다시 생겨났다.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ICE Carbon Diablo X보다도 순위가 낮았으나 여러차례 재평가로 인해 많은 맵들을 제쳤다.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이 별로여서 인기가 없어서인지 클리어자가 Twet[79] 외 9명뿐이다. [80]
드디어 한국인 클리어자가 나왔다!

2.47. Twisted Tranquility


Twisted Tranquility - Flukester & more[81], Verified by BoldStep

- Flukester와 그 외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9인 대형 합작맵. 처음 올라왔을때는 Extreme Demon이 되었으나, Flukester가 이 맵을 핵을 안 쓰고 업로드하였다는 증거가 부족해서 RobTop이 이 맵의 별을 박탈시켰다. 그 후 Flukester가 Boldstep에게 부탁해 그가 베리파이했다.[82] 2.1맵답게 부드러운, 화려한 데일리맵 수준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배경의 빈약함 등으로 인해 잘 만들었지만, 덜 만든듯한 맵이라고 평 받기도 한다.

초반부터 점프링 타이밍이 어렵고 웨이브와 비행기 등으로 여러 모드로 계속 바뀌며 다 저마다의 극악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고 중반 암전구간이 많이 어렵다고 평가된다. 57~61%의 아이콘+45도 대시링(이른바 제트팩) 게임 플레이가 상당히 흥미롭다.[83]

또 아웃트로를 제외하면 가장 마지막 부분인 '''88%부근의 타이밍이 엄청나게 헷갈린다!''' 이곳에서 한 번 이상 죽지 않고 클리어하는게 거의 불가능할 정도. Kainite가 88%에서 한번도 죽지않고 깬 몇 안 되는 케이스.
2017년 7월 26일, 한국 유저 Angelbaton이 88%(아웃트로 제외시 '''99%''')를 먹었다. 그리고 5일 뒤인 2017년 7월 31일, Angelbaton이 '''한국의 첫 번째 클리어자가 되었다!''' 앞서 서술한 88%를 '''13번''' 먹었다.
그후, 8월26일 한국유저 xiko가 한국의 두번째 클리어자가 되었다.
그 후 10월 12일 한국유저 jbmoon도 클리어. 영상 88%를 '''10번''' 먹었다고 한다.[84]
그리고... 2018년 1월 19일, 한국 유저 Rainstorm이 '''진짜 99%를 달성했다!!!!'''[85]
그리고 같은 날에 클리어했다.
현재 한국에서 '''3명이 99%를 먹었었다'''. 한 명은 앞서 서술한 Rainstorm, 한국 2번째로는 크바, 3번째로는 최근 달성한 Tipp7[86]이다.
이후 예고 없이 갑자기 버프가 되어 업데이트 되었다! 베리파이는 이 담당했으며, 게임플레이까지 조금씩 바꾸어버리고 간격도 좁혀 매우 어렵게 만들었으나...
이에 대해 상당히 비판이 많은 편이다. 특히 익스트림 데몬 입문으로 이 맵을 클리어 시도를 하고 있는 유저들이 많았는데 그 유저들을 걷어 차는 행위라며 지탄하고 있다. 더군다나 이 버프가 평범하지가 않은게, '''한순간에 Bloodbath 이상으로 버프를 먹였기에''' 많은 유저들에게 불만을 사고있다. [추가] 더 심각한 것은, 이 합작의 주최자인 Flukester는 이 버프를 정식 버프라고 칭한데다가, 현재 '''Demon List 팀과의 모든 대화를 일절 거부하고 있어서 굉장한 논란이 일고있다.''' -
이후 많은 비난을 받아서인지 Flukester는 TT를 복구하겠다고 했지만 오랬동안 복구가 되지 않았다.
결국에는 '''2019년 4월 3일 다시 BoldStep이 베리파이했던 버전으로 복구되었다.'''

2.48. Unearthed


Unearthed - YakobNugget and more, published by YakobNugget, verified by npesta

미국 크리에이터 YakobNugget이 주최한 합작이다. 인지도에 비해 규모가 매우 큰 합작이며 Alecast나 Uneskladovae같은 유명유저도 속해있다.

2.49. Grill Kill


Grill Kill by RoiMousti, verified by Kapinapi

디자인은 화려하나,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좋지 않다...

2.50. Concaved Memories


Concaved Memories - published by CairoX, Created by HelpegasuS and more[87], Verified by rWooshi

Lucid Nightmares의 후속작으로, 전작을 제작한 CairoX와 DonutTV가 참여하고 베리파이도 전작과 같은 rWooshi가 했다.
물론 최악의 겜플 중 하나에 꼽힌 전작과는 달리 최고의 익데 중 하나로 불리고 있다.
같은 Lucid Nightmares의 후속작인 Lucid Chaos하고는 이 맵과 무관하다.

2.51. Elliptic Curve


'''Elliptic Curve by Mulpan and KireiMirai, verified by Dorami, published by Mulpan'''

Mulpan과 KireiMirai, 두 한국인의 합작으로, Dorami가 '''1일 만에''' 베리파이한 맵이다.

2.52. Heat Wave


Heat Wave - By HadiGD & Nico99 & more[88], published by Nico99, verified by Dorami

HadiGD라는 유저가 주최하고 Nico99이 퍼블리시한 대형 합작맵이다. 전체적으로 빠른 템포의 게임플레이를 갖고있고,
중간중간마다 나오는 재미있는 게임플레이는 플레이하는 유저들을 즐겁게 만든다.
그러나 그에 걸맞게 꽤나 어려운 순간난이도를 자랑하는데, 58%대 듀얼은 꽤 암기력을 많이 요구하여서 연습이 많이 필요한 구간인데다가, 특히 75% 비행기구간은 엄청 짧은데도 불구하고 '''이 맵에서 ''가장 순간난이도가 높은 구간이다.'''[89] 오죽하면 여기서는 최소 한번쯤 죽고 클리어할수밖에 없다는 말이 들릴정도.
또한 Incipient와 Es Dilar Nos 못지않게 한국에서 꽤나 인기가 많은 맵인데, 한번 팠다 하면 깨는 유저들이 엄청 나오기도 하고, 겜플 자체가 재미있다 보니 인기가 많다.
별은 시간이 많이 지난 이후에 붙었고 포럼에도 그 이후에 입성했다. 그렇게 순위는 계속 떨어지는 중.
참고로 별이 붙었을 당시에는 이 맵 포함 에픽 익스트림 데몬이 고작 4~5개 정도(...)였다.
여담으로 베리파이어 Dorami가 '''3000어템 밖에''' 안쓰고 클리어하였다.

2.53. Heartbeat


Heartbeat - Published by Krazyman50, Designed by AncientAnubis & AirSwipe

- 처음 올려서 리스트에 오를 당시는 18위로 저평가되었으나,[90] 어느 순간 14위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아무 난이도 재평가도 없이 서서히 순위가 하락해 50위로 떨어졌다가 Quantum Processing의 등장으로 Extended 51위로 내려왔다..(...)
Anubis와 AirSwipe이 디자인해줬다. 여담으로 비밀길같이 생긴 길이 있으나, 이 길은 따라서 가면 99%에서 죽는 낚시 비밀길이다. 영상.
중반 비행기 구간이나 초중반과 후반 로봇 모드 등도 상당히 어렵지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중반의 웨이브 연타 부분과 초반 칼타이밍 부분. 중반 연타는 클릭이 딸리면 순식간에 죽어버리고, 초반 공점 칼타이밍은 워낙 타이밍이 지저분해 플레이하기 짜증나서 이 맵을 플레이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여담으로 한 유저거 144Hz로 이 맵을 플레이했을때 99%가 불가능하다고 했었으나.... Krazyman50이 아니라고 영상을 올렸다. 최후반 마지막 공점 파트. 60hz에서는 무난하나 144hz에서는 타이밍이 워낙 극악하여 '''144hz 한정 통곡의 벽'''이다. 그래서 클리어하는 플레이어들은 주로 60hz 유저이거나 144hz 플레이어들이 60hz로 바꿔서 클리어. 물론 '''60hz''' 플레이어라고 그곳에서 안 죽는 건 아니다. 다만 Riot의 경우는 복사본에서 마지막 점프를 너프시켜 클리어했다.

2.54. Deception Dive


Deception Dive - Rustam & more[91], Verified by Berke423

- 본래 이 맵은 2.1 극초기에 Zenthicalpha, Rustam, Mazl이 시작했던 맵이다. 그때 Rustam, Zober, Zenthicalpha가 세 구간을 만들었으나 맵 개발이 지연되어 버렸고 Zenthicalpha가 접자 Rustam과 Mazl이 이어받아 크리에이터들로 하여금 나머지 구간들을 채우도록 했다. [92] 후반의 4배속과 중반의 까다로운 구간들로 이루워진 이 맵의 난이도는 아주 극악하다. 후반으로 갈수록 빨라지며 다양한 모드와 상당한 맵 길이로 난이도는 더 상승된다. 후반의 4배속 웨이브와 볼 모드 등이 정말 어렵고, 그중에서도 Krampux의 파트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된다. 초반은 다른 익스트림 데몬보다 쉬운 편이기는 하다.
여담으로 이맵은 처음 나왔을 때부터 꽤나 오래 인세인 데몬 상태였다. 그리고 포럼에 올라온지 약 1주일 뒤에 몇 시간동안 익스트림으로 승격됐다가 다시 내려갔다. 그리고는 다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온 상태이다.
국내에서는 Garukim 이 최초로 클리어했다.
여담으로 [SD] Danger가 12번 클리어하였다.

2.55. Skrrah


'''Skrrah by Reunomi and more[93], published by VirtualCrack, verified by Rainstorm'''

엄청난 싱크를 가진 Extreme Demon. 시원시원해 보이는 게임플레이과는 다르게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안좋다고 한다(...) 그래도 재미 자체는 있다.
주로 후반에 난이도가 몰려있다.

2.56. The Flawless


'''The Flawless - by atheoz and more[94], published by IIIRyanIII, verified by ButterFish1413'''

- TrusTa에 의해 Verify된 합작맵. 처음 등록된 당시엔 Cataclysm보다 순위가 낮았으나[95] 여러차례 재평가로 인해 많은 맵들을 제쳤다 다른 맵들의 등장으로 떨어지고 하면서 결국 205위로 떨어져 자연스레 레거시로 강등되었다. The Hell Factory와 Yatagarasu에 영감을 받은 듯하다. 30여 명이 클리어하였다.[96]
초반에 매우 어려운 소형 웨이브 구간으로부터 시작해 대부분 비행기 모드가 반복된다. 그런데 이 비행기 구간들이 Bloodbath의 Crack 파트 정도로 매우 어렵다. 그래서 스트레이트 비행기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쥐약인 맵.
가장 어려운 인세인 데몬이었으나, 다시 Extreme Demon으로 돌아왔다.
여담으로 흔치 않게 코인 3개가 모두 맵 끝에 공짜로 주는 맵이다.[97]
2020년 12월 4일 버그랑 데코를 고치고, 코인 루트를 추가했다.

2.57. Fexty


Fexty by Ozpectro, verified and published by SkyJax

- Ozpectro의 Effot에 이은 두번째 맵이다. 원래는 Demon이었으나, 중반부 50%대 웨이브랑 60%대 나비모드가 너무 어려운 관계로 핵 의심을 받았고, 결국 사실로 밝혀져 데몬에서 박탈되었다. 그 이후 2.0이 되고, Ozpectro는 마지막 저속 소형 1칸비행을 삭제하고 30%대 비행(+듀얼비행), 50%대 웨이브, 60%대 나비모드를 하향한 버전을 업데이트하게 되었다. 이 맵도 핵의심을 받는다.
2016년 10월 8일에 SkyJax라는 유저가 이 맵을 '''구버전'''으로 베리파이했다. Superex라는 유저는 이 맵을 훨씬 상향해서 베리파이 하기도 했다. 또 한국 유저인 Rainstorm이 Unnerfed 버전을 '''상향시켜서''' 50~100%를 갔다! 그러고 SkyJax의 Unnerfed 버전에 별이 붙었다! 별이 붙으면서 43위에 안착. 다만 과거에는 이 구버전이 Bloodbath나 Sakupen Hell과도 비교된만큼 상당히 저평가되었다고 주장하는 유저들도 있다.
이 맵의 경우 어려운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은 익데치고 쉬운 편인 데다가 길이도 짧아서 처음 볼 때는 쉬워 보일 수 있다. 초반 큐브도 연타면 연타지 칼타도 거의 없고, 비행 간격이라던가 웨이브 간격도 꽤 넓어서 처음에는 할만하다고 생각이 들 것이다. 하지만 이 맵을 장식하는 50%대 웨이브, 60%대 나비모드가 이 맵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데, 웨이브는 빠르고 칸도 좁은데다가 가는 길도 직관적으로 되어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혼란 + 극악의 난이도에 한번 멘붕오고, 1차 헬구간이 끝나자마자 나오는 지옥의 나비모드에 2번 멘붕오는 맵.[98] 다행히도, 이 2구간을 제외하면 그렇게까지 어렵지는 않다.
여담으로 베리파이어인 SkyJax가 과거에 이 맵을 업로드하고나서 한참을 별이 붙지 않자 디자인 때문으로 생각하고 TeslaX11라는 유저에게 디자인을 부탁한 적이 있다. 하지만 그 후 TeslaX가 GD를 접고 작곡 활동에 전념하겠다고 한 이후 취소된 듯하다.

2.58. Digital Disarray


'''Digital Disarray - by Licen, Vlacc and Giron, verified and published by Giron'''


2.59. Retention


Retention by WOOGI1411

- 한국인 크리에이터 유저 Woogi의 가장 어려운 데몬맵. 초반부터 어려운 컨트롤을 자랑하고 특히 중반부 로봇+UFO, 볼+웨이브, 로봇+큐브, 로봇+볼, 큐브+비행기 등의 비대칭 듀얼 과 암기 부분이 이 맵의 난이도를 말해준다. 원래는 더 어려웠으나 깰 시간이 없어 하향한 후 업로드했다고 한다.
하향 전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MtpryvI8jME 하향 전 버전을 보면 듀얼 모드가 훨씬 맵이 복잡하고 그 외에도 비행기,로봇 등의 간격이 좁은 것을 볼 수 있다. 이 버전을 한국인 유저 Xeon이 클리어하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 버전은 Niflhiem보다도 어렵다고 한다.
클리어자 수는 235명. 우리나라 유저도 많다.
레이팅은 인세인 데몬이었는데,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와야 한다는 사람이 꽤 있었다. 그리고 익스트림 데몬으로 결국 승격되었다...가 다시 인세인 데몬으로 내려갔다...가 또 다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갔다.
Glowy의 포럼 등재로 포럼에서 내려왔다가 51위 이후로 포럼이 연장되면서 부활했다.
여담으로 144hz 플레이어들이 고생한 레벨들 중 하나. 레벨 중후반에서 버그 때문에 죽는 일이 몇 번 있다고. 아성 자체는 Krazyman50의 '''Heartbeat'''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이긴 하지만[99] 그래도 은근히 이런 면에서 두드러지는 레벨들 중 하나.
전체적으로 좁은 비행보다는 타이밍을 좀더 요구하는 포럼데몬이기 때문에, 모바일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은 데몬이기도 하다. Soulcontrol, Tiguru, Teamless, Lebi, SarTiZ 라는 국내 유저 5인이 폰으로 클리어한 바 있다. 또 Poongsangae 라는 유저는 폰으로 92%를 먹었다. (..)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LunarSIMG라는 국내 유저도 폰으로 클리어하였다.
또한 한국인들에게는 쭈텐션이라고도 불리는데, 이유는 Woogi의 별명이 '쭈개' 이기 때문. -

2.60. CholeriX


CholeriX by Zeithex and more[100], published by Shaggy23, verified by GK Allium

Duelo Maestro와 같은 2p 데몬이지만 듀얼 구간은 거의 맨 마지막에 위치해있다.

2.61. Alcatraz


Alcatraz - published by Asuith, Created by Yozyo and more[101], Verified by Cewew

Asuith의 합작맵.
디자인은 우수하지만 존재감이 없다... 또한 업데이트를 '''3번'''이나 해도 존재감이 없다.

2.62. Insaction


Insaction - Published by ByBoy 11, Created by Axdrel and more[102], Verified by IIDustikII


2.63. Killerzone


Killerzone by Dorami

2017년 1월 7일에 Dorami가 업데이트한 익스트림 데몬. 본래 하드 데몬 이었다가 Dorami에 의해 10월 29일에 '''극버프를 받으며 난이도가 엄청 어려워졌다!'''
그 버프에 영향으로 순식간에 포럼으로 올라와 여러 데몬들을 제치고 69위에 안착했다. 버프 후 연타가 많아져 게임플레이가 짜증나게 바뀐 탓에 좋지 않은 평가를 받는다.
2.1 업데이트 하기 전 2.0에서 마지막으로 별이 붙은 맵이다.
여담으로 데몬 리스트 에디터인 Dorami가 Dorami의 기록을 다 지우고 이맵을 1위로 바꾼후 지메를 접었지만 금방 돌아왔으며, Dorami의 기록도 복구되었다.

2.64. Artificial Dream


Artificial Dream by iIiViRuZiIi

퀄리티 좋은 익스트림 데몬을 많이 올렸으나 번번이 묻히던 ViRuZ의 첫번째 별맵이다. 상당히 속도감있는 플레이를 보여주며, 듀얼의 비중이 꽤 있는 편이다. 디자인과 겜플에서 호평을 받으며 선곡에서도 칭찬을 받는 맵. 여담으로 ViRuZ는 이 맵을 베리파이하면서 이 맵이 Very Hard ~ Insane Demon이 될거라 예상했지만, 익스트림 데몬을 받았을 뿐더러 포럼 중간쯤에 위치하게 되었다.
현재 Digital Atmosphere라는 후속작이 제작중이다.
그리고 한국유저 Enichi가 79% x2, 78% x1, 80x1, 85%x1, 그리고 무려 87% 7번과 91% 4번의 소고기를 먹고 11K의 어탭을 들여 클리어했다

2.65. Glide


Glide by crohn44


2.66. Violently X


by CastriX and Dorami, verified and published by Dorami


2.67. Incipient


Incipient by Jenkins GD

무명 크리에이터 Jenkins GD의 단독맵으로 노래 중간중간마다 가사가 오브젝트로 나오는 맵이다. 계속 뒤에서 용암이 따라오고 오브젝트들도 좁게 배치되어있어 플레이어로 하여금 압박감을 주게 하는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퀄리티도 꽤나 특이해서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나온지 한참이 되어서야 포럼에 등록되었다. 한동안 인세인 데몬이었다가 결국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되었다.
그 중에서도 좋아요 개수로 최하위권에 위치해있다.(더이상 아니다.) 이 맵을 아는 유저들은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등을 호평하며 왜이렇게 유명하지 않은지 의아해하기도 했다. ViPriN의 8번째 무명 크리에이터 콘테스트 4위를 하기도 했다.[103]
난이도에 대해 의견이 살짝 갈리는 데몬인데, 사람에 따라 초반이 후반보다 어렵다거나, 익스트림 데몬에 올라갈 정도는 아니라는 등의 의견이 있다. 물론 그걸 감안하더라도 인세인 데몬에선 최상위권 정도는 먹고 들어가는 편.
현재 클리어자는 Pablohh가 최초로 클리어하고 그 후 한국 유명 플레이어 Dorami두번째로 클리어했다.[104] 그리고 며칠 뒤, 노력파 유저Angelbaton도 클리어했다.[105]
2018년 5월 3일에는 무명 유저 Latent가 '''813어템만에 클리어하였다.''' https://youtu.be/nT78L6d0qn4
여담으로 한국인 클리어자가 아주 많은 데몬 중 하나다. 2018년 5월에는 한국인 클리어자가 무려 '''13명이 나올 정도.'''
재미있는 게임플레이와 호평받는 디자인 등으로 현재까지도 Heat Wave와 더불어서 한국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익데 원탑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2.68. Cromulent


Cromulent by Pleoslim and more, published by RelayX, verified by Dorami

'''가장 긴 익스트림 데몬'''
엔딩까지 합치면 6분이상이 넘어가는 익데다.

2.69. Volume


by Metalface221 and more, verified and published by Metalface221

길이는 그렇게 길지 않지만 '''공점타이밍이 미쳐돌아간다'''. 길이보다 순간난이도로 승부하는 레벨. 잔가시들이 많아서 프랙으로 돌리다가 죽으면 그 순간 엉망진창이 된다. 특히 50% ~ 64% 웨이브 파트의 난이도가 압도적이다.

2.70. AcropoliX


AcropoliX by SoulsTRK

- Zobros의 과거에 매우 어려운 맵으로 유명했던 'Acropolis'를 더 어렵게 만든 맵이다. 칼타이밍 그 자체인 로봇모드, 비행과 UFO, 볼 모드 등이 포인트. 포럼데몬인 Hatred처럼 엄청난 칼타이밍을 자랑하는 맵이다.
난이도가 대폭 상향되었고, 2.0 때 만든 맵이라서 무브 오브젝트 등 2.0 오브젝트들이 등장한다. 특히 후반의 웨이브가 극상향되었는데, Acropolis와 달리 중력 포탈과 미니 포탈이 등장한다. 그래서 이곳에서 죽는 사람들이 많다. 가장 어려운 부분은 극초반 큐브와 웨이브이다. 옛날에 Legacy Demon쪽으로 갔었지만, 재평가로 인해 다시 포럼으로 올라갔고 Cadrega City가 나오며 다시 떨어졌다.
맵은 2.0 초기에 나왔지만 현재 클리어자는 BlassCFB외 21명[106]등등으로 상당히 클리어자가 적은 맵이다.
그리고 별이 붙은지 거의 2년만에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하였다!!'''

2.71. Matilda the Machine


Matilda the Machine by Jeyzor

- Jeyzor의 비대칭 듀얼 Machine 시리즈의 끝판왕.[107] 2.1의 거미모드, 닿아도 안 죽는 웨이브 블럭을 이용해 비대칭이 더욱 어려워졌다. 그리고 78%부터 시작되는 로봇과의 보스전도 브금과 매우 어울린다. 지메의 전설격인 Jeyzor의 듀얼맵 시리즈의 3번째이지만 어려워서 그런지 인기가 없다.

2.72. Tech Manifestation


Tech Manifestation by Pleoslim and MakFeed, verified by Dolphy, published by Pleoslim


2.73. CYCLONE


CYCLONE by HelpegasuS and more[108],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Zeroya


2.74. The Lost Existence


The Lost Existence by JonathanGD, verified by Luqualizer

재미있는 게임플레이를 지닌 데몬맵. Luqualizer가 베리파이했고, 노래가 들쑥날쑥한다 그리고 노래처럼 맵의 분위기와 장르도 여러 가지이다. 인세인 데몬으로 레이팅되었다가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됬다.

2.75. AAAAAAAAAAAAAAAAAAAA


AAAAAAAAAAAAAAAAAAAA - Roimousti, Verified by Dorami

- ElectroDynamix의 BGM을 사용한 [109] 여러 파트들과 ElectroDynamix의 비행기 파트를 상향시킨듯한 파트 등이 돋보인다. 참고로 맵 제목의 A의 개수는 20개. 맵 이름은 최대 20자까지 쓸 수 있다.
여담으로 마지막 3단가시를 점프할때 '''엔딩 때문에 시야가 가려진다.'''
유저들의 혹평때문이었던걸까 Roimousti가 구버전 (게임플레이 상향 전)으로 맵을 롤백했다.
순위가 몇십단계 하향된 이유로 설명 가능할 듯 하다.
그러나 다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왔다.

2.76. Abadoned Kingdom


Abadoned Kingdom - Published by lSunix, Created by Olikros & more

- 브금은 Iron God Sakupen Hell Yes RMX을 썼으며 괴랄한(?) 브금과 맞춰 만든 분위기와 맵이 인상적. 디자인과 게임플레이가 별로 좋지 않다. Sunix가 직접 베리파이했는데, 그는 하드 데몬이라 칭했지만 명백한 인세인 데몬. 업데이트를 한 번 했다.

2.77. After Catabath[110]


After Catabath - Published by BoyoftheCones, Created by BoyoftheCones & more[111]

'''포럼에 있는 가장 어려운 하드 데몬'''[그러나]
- BoyoftheCones가 개최한 합작맵. 이름 그대로 제작자의 예전 핵맵이였던 Catabath 이후라는 컨셉을 잡고 제작한 맵으로 게임플레이가 이전 그의 레벨들 보다는 좋다는 평을 듣는다. 다만 퀄리티가 별을 받을 수준으로 좋은 것이 아니여서 논란이 되고 있다.[112] 처음 별이 붙고 잠깐동안 40위대 후반의 순위를 가졌지만 얼마 안가 떨어졌고, 포럼이 51~100위 데몬을 등록하기 시작한 이후로도 한참동안 포럼에 올라오지 못했지만 난이도 재평가로 인해서 여기까지 올라왔다. Kevtom이 이 맵을 하다가 지메를 지우기까지 할 정도로 끔찍한 게임플레이를 가졌다.

2.78. Allegiance(Hacked)


Allegiance by nikroplays, verified by EndLevel

- NikroPlays의 개인 맵이다. 사용한 곡은 The Living Tombstone의 I Got No Time이다.
이 맵은 원래 너무 어려워서 너프되었는데, 너프되기 전 버전은 Yatagarasu보다도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너프를 BOJ 이상으로 먹으면서 Uprise 아래까지 추락하였다.[113] 그 버전은 비행부분과 웨이브 부분의 화면이 대부분 가려진 상태로 진행된다. 극악한 1칸웨이브의 타이밍과 결합에 미친 난이도를 보여주고 드롭파트후에 나오는 로봇모드가 한칸비행으로 바뀌며 나비모드도 '''Yatagarasu에서 Hinds의 나비모드만큼 어렵다.'''
여담으로 Rlol이 Verify한 후 몇 달 동안 별을 못받다가 Surv가 영상을 올린 바로 다음 날 데몬을 먹었다. 그것은 Surv가 지오메트리 대시의 Mod[114]중에 하나이기 때문이다. 별을 받은 후 NikroPlays가 목소리가 없는 버젼으로 노래를 바꿨다가 EndLevel이 노래에 목소리가 나오는 버전으로 다시 Verify했다.
난이도 재평가로 Cataclysm을 이겼었으나 2.1 업데이트 후 공점 판정범위가 넓어져 6% 부근이 하향되었고, 이에 따라 순위가 Cataclysm 밑인 47위로 내려왔었는데 어느새 Cataclysm이 50위권 밖으로 떨어져있다.. 현재는 다른 데몬맵들의 등장으로 119위.
2.1 하향버전 : https://youtu.be/NTY6IUPwICQ
국내에서 HaNsUpZ가 최초로 클리어했고 LIFE, rainstorm이 클리어, 그리고 또다른 한국유저 Yoshinodash와 Kurai Yonaka와 Xylitol이 '''60hz'''로 클리어하였다.
세계 최초로 StilIuetto가 모바일로 클리어했고, 국내 모바일 유저 Soulcontrol은 로우디테일 버전을 버프해 클리어했다.
2018년 3월 21일에 무명 유저 latent도 클리어했다. https://youtu.be/pgDbBHuZ31s
현재는 renevant라는 후속작이 제작되었고 별도 밭았다. [115]

2.79. Annihilation Nation


Annihilation Nation by Zylenox

Zylenox의 공장스타일이 돋보이는 맵이다.
고평가라 생각했는지, 2020년 9월 22일 기준으로, 148위에서 153위로 떨어졌다.

2.80. Arcadelocked


'''Arcadelocked - by Tongii, verified by Golden'''

-Tongii의 단독맵으로 실력파 유저 ChiefFlurry가 베리파이했다. 디자인이 Deadlocked과 흡사하며, 사용한 곡도 똑같다. Tongii의 최초 데몬맵이자 Deadlocked의 리메이크 중에서 가장 어렵다고 여겨지는 맵. 물론 지금은 Gridlocked라는 맵이 더 어렵다. 한참동안 Extreme Demon에 속해있기도 했다. 4월 19일에 Combined가 최초로 클리어 했다.
Combined가 최초로 클리어한 뒤, MetamenZ와 Mactanow, BrianTheBurger도 클리어하여 현재 클리어자는 4명.

2.81. Astronomical Alchemy


Astronomical Alchemy - iSparki, Verified by Zalgaryth


2.82. Asymmetry


Asymmetry - WOOGI1411 & Koreaqwer

- Woogi와 Koreaqwer의 합작. Koreaqwer의 은은한 분위기와 WOOGI의 하이라이트[116]가 인상깊은 맵이다. 35%까지가 Koreaqwer의 파트이고 그 이후로부턴 WOOGI1411의 파트. 퀄리티가 뛰어나 맵을 플레이할 맛이 나지만 장애물이 많고 어려우므로 조심해야 한다. 꽤 오래전에 포럼에서 떨어졌다.

2.83. Awakening Horus


Awakening Horus by Xingtik and Juhou, verified by Luqualizer, published by Juhou

- 신인 크리에이터이자[117] 크리에이터 포인트가 하나도 없는 유저 Juhou의 개인맵. 크리에이터 포인트가 전혀 없는 유저가 만들었다고 하기에 믿기지 않는 퀄리티를 자랑한다. 베리파이어인 Luqualizer는 Juhou가 극히 재능있는 크리에이터라고 칭찬했고, Fluffy Ninja 등의 유저는 이 맵을 2.1 최고의 맵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의외로 이 데몬이 '''최초의 사막을 테마로 한 포럼권 데몬'''이다.
난이도는 최초 클리어자 Wooshi999의 경우 Insane Demon에서 Extreme Demon이라고 한다. Wooshi나 Freaklin 등의 유저들도 97%에서 1번 이상은 죽은만큼 97%가 마의 구간인 듯하다. 그 외에도 후반 10%의 난이도가 매우 끔찍하다는 반응도 있다.
별을 오랫동안 받지 못했는데, 이에 대해서 Juhou는 RobTop이 뭔가 자신에게 별을 안 붙여주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대다수의 유저들이 롭탑을 비판했지만 2월 초, 결국 별이 붙고 포럼에도 등재되었다!
2월 13일 jbmoon이라는 유저가 한국최초로 이 맵을 클리어하였다.
최근 익스트림 데몬이 됐다!

2.84. A2Marbl


'''A2Marbl by Epsilonic and more[118], published by Golden, verified by Kapinapi, re-verified by Golden'''
[119]
Pennutoh와 Makaron, Burrito, Marwec 이 넷이 레이아웃을, 나머지가 데코를 한 ATMarbl의 후속작으로, 원래 Golden이 베리파이를 맡았다가 포기 후 Kapinapi에게 넘어가 베리파이되고, 이후 버그픽스를 Golden이 재베파했다.

2.85. Breakout


Breakout - Surv & Joshawott

- Surv와 Jashawott의 콜라보 레벨. 데몬이 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는 '''무려 5위'''였고 그 기록에 걸맞게 매우 어렵다..
초반과 중반 부분, 그중에서도 '''비행'''[120]이 매우 어렵고 그 이후 드롭 파트에서는 까다로운 듀얼, 죽기 쉬운 연타 소형 웨이브, 일반웨이브 및 여러 칼타들이 반겨준다. 그후 큐브 구간은 정말 쉬운데 큐브 구간으로 넘어가기 전 간혹 죽어버리는 버그가 존재한다.
Plasma Pulse III와 마찬가지로 영상엔 Insane Demon이라고 써져 있지만 명백한 Extreme Demon이다. 클리어 후에 Surv는 Conical Depression보다 어렵다고 말했지만 순위가 낮다. 이 맵이 이렇게 포럼에서 꽤 순위가 낮은 이유는 아마 비행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이 그렇게 압도적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121][122]

2.86. Cataclysm


Cataclysm by GgB0y, verified by Riot
문서 참조

2.87. Catastrophic


Catastrophic - TheOne21

- 나인서클류 초록색 버전. 나인써클류 중 난이도 7위를 차지하고 있다. 웨이브 구간이 어려움은 물론이고 후반부 싸이클 구간이 버그가 굉장히 많아서 죽기가 매우 쉽다. Makaron이 98%의 마지막 가시에서 죽는 업적을 세웠었다. 여담으로 데몬 나써맵 중 가장 쉽다고 알려진 Dhafin의 'Problematic'과 색상이 비슷하고 BGM이 같으나 난이도는 천지차이이다. 50위 이후의 포럼 데몬들이 공개되었는데, 원래 더 어렵다고 알려졌던 또다른 나인서클류 맵인 Crimson Clutter보다 위로 올라왔다. 심지어 나인써클 4위인 Future Circles를 이겼다가 아예 100위권 바깥에 내려왔다. 아니, 아예 포럼 꼴찌로 내려갔다. 그러나 난이도는 매우 어려운것은 사실.

2.88. Clubstep Reborn


Clubstep Reborn - BoyoftheCones & Gigarex

'''Clubstep의 맵 구성을 극상향한 맵이자 게임플레이로 많은 비난을 받는 맵'''
- 한때 핵을 써서 Catabath라는 자신의 맵을 업로드함으로써 큰 파장을 일으켰던 BoyoftheCones[123]의 Clubstep 리메이크. 맵 절반이 1칸 비행이며, 게임 플레이가 너무 안 좋다는 혹평이 많이 있다. 그도 그럴 것이 Clubstep 자체도 게임 플레이가 좋지 않은 편인데 이를 상향하면서 다양한 플레이보다는 1칸 비행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지루할 수 밖에 없다.

2.89. Conical Depression


Conical Depression - Krazyman50

원래 챌린지 맵으로 업로드했던 맵[124]을 더 늘려서 만든 맵이다. 1.0 스타일로 만든 맵인데 Krazyman50이 업로드하는 데 45600어템 넘게 소모했다고 한다. 처음 시작이 소형 웨이브인데, 시작하자마자 '''엄청난 미니 컨트롤로 0.5칸보다도 작은 구간을 통과하거나 가시 사이에 있는 공간을 뚫고 지나가야 한다(...)'''. 이 소형웨이브 부분은 '''순간난이도로는 그 Erebus도 뺨치는, Top 50 데몬 중 가장 어려운 순간난이도 부분이다!''' 후 볼 모드도 공점 타이밍이 엄청나다. 30%대 이후 비행도 앞의 소형웨이브보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막장이다. 1칸비행이 밥먹듯이 나오고, 파란공점+노란공점[125]비행에, 소형화 파란공점 1칸비행[126] 등 막장스러운 타이밍+컨트롤 패턴들이 넘쳐나고, 그 이후도 일반 모드로 분홍공점을 타야 하는데, '''분홍공점 바로 위에 블럭이 있어서 너무 빨리 누르면 박는다!''' 정확한 타이밍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는 길찾기적 요소도 조금 포함되어 있어 매우 힘들다. 이렇게 전부 클리어하고 나면 90%대는 거의 안전하다. Stereo Madness의 후반 비행구간을 소형 웨이브로 바꿔놓은 거만 빼면 말이다. 앞부분에 비해서는 '''매우''' 쉽기 때문에 가다가 실수해서 죽을 경우 정말 빡침을 느낄 수 있다.[127]
디자인이 세련되지 않아서인지 데몬은 받았지만 Featured는 아니다.[128]
한국에서는 LIFE가 부계정으로 최초 클리어, 그리고 Luciela가 두번째, Seturan이 세번째, Rainstorm이 네번째로 클리어하였다. 그 후 Life가 클리어하기도 전에 85%를 먹었던 Cutter가 5번째로 클리어하였다.#
그리고 Netcortix라는 유저가 ''' 모바일로 클리어하였다!!!''' [129]
여담으로 Conical Depression의 뜻은 원뿔 우울증이다(...)

2.90. Cosmic Calamity


Cosmic Calamity - Published by SrGuillester, Created by Viceroy & more[130]

- Viceroy와 많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합작맵. 가장 어렵다고 여겨졌던 Lumpy의 파트는 SrGuillester가 보자마자 "fu*king impossible."이라고 말할 정도였으나 결국 아예 구성을 바꿀 정도로 하향되었다.
비교적 초반에 칼타들이 많아 후반보다 초반이 좀더 어려우며, 마지막에서 두 번째 Rustam의 파트의 웨이브가 헷갈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소고기를 먹기도 한다.
Krazyman이 원래 이 맵을 Verify하려고 했지만,[131] Lumpy의 파트 때문에 결국 포기하고 SrGuillester에게 넘어갔다.[132] 중간에 두 파트를 넘길 수 있는 비밀길이 있었지만 Andromeda에 의해 업데이트되면서 수정됐다.
여담으로 Krazyman50의 파트가 매우 인상깊다.(...)[133]
유명한 유저들이 많이 참가했고 유명유저가 베리파이했지만 별을 오랫동안 받지 못한 맵의 원조격이다.
하향 전 버전 : https://www.youtube.com/watch?v=03nVtJFPhuc
High Detail Version : https://youtu.be/m3O1C_KvzL8
IlluminatiGuy외 64명이 클리어했다.

2.91. Cosmorush 21


Cosmorush 21 by Pennutoh, verified by Sebquero11


2.92. Creeper Force(Possibly Hacked)


Creeper Force - CreeperMILK

- 초반부터 미친 게임플레이와 중반부의 볼+UFO, 중후반부의 큐브+비행기 비대칭 듀얼이 매우 어렵다. 특히나 마지막 91%부터 시작되는 웨이브모드가 극악하면서도 눈에 띄는데, 소형 웨이브 각도 블록을 일반 웨이브로 지나가며 그 반대의 구간도 나온다. 심지어 안보이는 톱니바퀴도 잔뜩 껴있다. 디자인도 그렇고 맵 형식이 1.8 스타일의 맵인데 1.9에 나온 맵이다.
제작자의 베리파이 영상이 존재하나 Possibly Hacked이다. 제작자 영상: #

2.93. Cyber Chaos


Cyber Chaos - Hinds

- Hinds의 가장 어려운 맵. 전체적으로 좁은 비행기 파트와 어려운 타이밍으로 무장한 맵이다. 1.9때의 오브젝트가 많이 들어가 있고 2.0 오브젝트도 조금 들어간다. 그 이유는 이 맵이 1.9때 완성되었지만 너무 어려워 깨지를 못하여 2.0이 되고서야 하향하여 업로드하였기 때문이다. 언너프 버전은 Hinds의 계정에 있다.
여담으로 중간 큐브모드 미로 구간때 길을 잘못 들어서 50%쯤에 위로 낙하하게 되면 Kappa가 뜨면서 죽는다.

원래 100위에 있다가 Temple of Destiny가 재평가되어 내려오면서 99위가 되었다.
그 후 Legacy Demon이 되었다.

2.94. Crimson Clutter


Crimson Clutter - RedUniverse


'''나인서클맵 서열 5위'''
- 적갈색의 나인서클류 맵. 심각하게 좁은 웨이브 구간과 후반의 비행기 파트가 이 맵의 난이도를 설명한다. Down Bass 업데이트 전에는 나써맵 1위였으나 현재는 5위로 밀려났다.[134] 여담으로 이 맵은 다른 나써맵들과 다르게 빛나는 부분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퍼져나간다. 여담으로 Temporum은 이 맵을 150회 이상 클리어하였으며 Tripple Clutter라고 불리는, Crimson Clutter가 3번 반복되는 맵을 깨는데 몇 어템이 안 들었다.

2.95. Dark RainBow Rebirth


Dark RainBow Rebirth - Knobbelboy, Verified by Rlol

- Viprin과 Triaxis의 콘테스트 출품작으로, 약 81000개의 오브젝트를 사용했다.
Knobbelboy가 자신의 맵이었던 Dark RainBow를 리메이크한 맵...이라지만 난이도는 천지차이이다. 거의 상관없는 맵이라고 봐도 될 정도. 중간에 도움을 준 유저들의 이름이 나오는 부분이나 후반에 자신이 만들었던 맵들이 흑백으로 출연하는 부분이 백미. 이 자신이 만든 맵이 나오는 구간 중 'Crystal Field'에 비밀길이 존재했었다. 거의 후반부긴 하지만 마지막 듀얼 볼모드와 비행모드를 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비밀길이 막혀 정식루트로 클리어해야한다.
여담으로 마지막에 Dark Rainbow '''Rebrith'''라고 써져있다. 그 후 고쳤다.

2.96. DeltaNova




2.97. Demonic Bass


Demonic Bass - M1n1man2098

- M1n1man2098의 개인맵. 듀얼이 난이도의 주범이며 함정이 난무하는 맵이다. 거의 모든 구간에서 투명화 오브젝트, 가짜 벽 등이 있을 정도. 그렇다고 컨트롤이 쉬운 것도 아니여서 플레이가 많이 까다롭다.

2.98. Destruction of God


Destruction of God = RelayX & more[135], Verified by Dorami

'''가장 많은 오브젝트를 사용한 데몬'''
한국인 유저 Magellan이 베리파이어 Dorami를 제외하고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상당히 고평가된 데몬이며 템오데보다 약간 어렵다고 한다.


2.99. DoomsDay(Hacked)


DoomsDay - ElectricBass
[136]
'''Bloodbath보다 어려운 레거시 최하위 맵'''
[137] 2.0에 만들어진 극악 데몬맵으로써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하고 계속해서 빠르게 바뀌는 모드가 포인트. 브금은 At the Speed of Light을 썼으며 디자인도 Cataclysm과 유사하여 카타클리즘의 v2버전이란 얘기도 있다. 특히나 웨이브, UFO 구간 등등 칼타이밍이 어려운 구간 등이 많다.
'DoomsDay'라는 이름을 가진 데몬/별맵들이 상당히 많으니 참고.
업데이트 전 버전: 최초 업로드, 1차 버프 후
2번 정도의 업데이트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2차 버프 업데이트 후 '''눈에 띄게 극악해졌다'''. 귤래스터도 언급했듯 업데이트 전(1차 버프)은 인데 수준이었으나[138] 업데이트 되어 매우 어려워졌다! 초반 일반 웨이브가 '''소형 웨이브'''로 바뀌고, 모든 모드가 칼타로 바뀌는 건 기본, 중력포탈로 도배된 오토 구간이 연타 구간으로 바뀌는 등 극악 업데이트가 되었다. 다만 보면 핵으로 업데이트됐다는 듯. 정확히 업데이트를 두 번 가량 했는데, 첫 업데이트때는 전체적인 타이밍과 웨이브가 업데이트됐고 두번째는 연타 구간이 업데이트 되었다.
업데이트 후 현재 클리어자는 2명뿐인데, SrGuillester가 최초로 클리어하고 나서(#), 약 7~8달 뒤 MullsY Dash라는 유저가 클리어했다!(#) 다만 SrGuillester는 두 번째 상향 전에 클리어했다. 그러니 현재 업데이트 버전 클리어자는 Mullsy 한 명 뿐.
2017년 12월 26일, '''갑자기 70단계 이상 하락해서 Legacy Demon으로 떨어졌다!!''' 이것은 역대 포럼 역사상 전래가 없던 추락으로 Hardest Demon 중위권 데몬이 순식간에 Legacy Demon으로 내려갔다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상황.[139] 이에 관해서 여러 추측이 나돌았지만[140] Hardest Demon 포럼에 따르면 핵 등으로 업데이트된 맵은 업데이트를 무시하고 원래 난이도로 평가한다고 한다. 그래서 여기로 추락한 것이다. [포럼이] 블베보다 어려운 주제에 점수도 엄청 낮게 주니 포럼의 등록된지 3년이 다되가는데도 클리어자가 1명뿐이다.[141]

2.100. Duelo Maestro


Duelo Maestro by Nacho21

'''현 2-Player 듀얼 최고 난이도를 자랑하며,[142] 동시에 시각적 난이도와 실제 난이도가 천지차이인 맵.'''
'''둘이 하면 하드 데몬, 혼자 하면 익스트림 데몬'''
- Nacho21이 만든 '''2-Player Mode''' 맵이다.영어로 하면 "Dual Master"가 되는데, 이는 '''결투의 끝판왕'''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드롭 파트마다 스페이스바+마우스 또는 ↑키(핸드폰 왼쪽/오른쪽)을 이용해 듀얼 부분을 따로 조종해야 한다! 둘이서 할 때는 꽤나 쉽지만[143] 혼자서 하면 정말 어렵고 혼돈 그 자체. 제작자도 혼자서 클리어했다고 한다.
첫번째 듀얼은 그나마 대칭듀얼이여서 동시에 컨트롤하면 되지만 두번째 듀얼부터 비대칭이여서 난이도가 대폭 상승된다.
여담으로 포럼에는 혼자서 한 기록과 2인이 한 기록을 따로 분리해 놓았다가 다시 합쳤다.
처음 등록되었을 때는 25위였으나,[144] 난이도 재평가와 다른 극악 데몬들의 등장으로 포럼에서 퇴출되었다. 그러나 뜬금없이 포럼에 등장해 현 70위. 다만, 2019년 4월 14일 기준으로 Legacy로 떨어졌다.
국내의 모바일 유저 Teamless가 '''폰으로 클리어하였다.''' 실제 플레이 영상

2.101. Electrosonic


Electrosonic - Created by CastriX & more[145], Verified by Sonic80

'''가장 쉬운 익스트림 데몬이자 가장 어려운 인세인 데몬 중 하나'''[146]
- Castrix와 여러 사람들이 만든 콜라보맵. Verify 이후 거의 3달만에 별이 붙은 나름 비운의 맵이다. 뒤에 sonic이 붙었지만 정식 소닉 시리즈는 아니다.
난이도 자체는 익스트림 데몬이었지만 인세인 데몬급 평가를 받는 쉬운 익스트림 데몬이었고 결국 인세인 데몬으로 내려갔다. 현재 다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간 상태. 그런데 다시 인세인 데몬이 되었다.
중반의 웨이브[147]가 여러 문제[148]때문에 까인다.
가장 쉬운 익스트림 데몬이라지만 하데 수준인 0%~70%에 비해 70%~100%는 웬만한 익데 수준으로 아주 어려워 소고기의 원인이 되며 특히 DrMag의 파트는 '''안보이는데다 무시무시한 칼타이밍을 자랑해 맵 난이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2.102. Elements X


Elements X - Eiken, Verified by Souls TRK

- 유명 데몬 The Four Elements의 공식 후속작이다. 전작과 같이 디자인도 좋은 편이다. 재평가로 Extended로 올라왔다가 다시 Legacy로 추락했다.

2.103. Entwined Room(Hacked)


Entwined Room - Published by LyoNa, Created by more[149]

- LyoNa의 계정으로 업로드된 매우 어려운 난이도의 한국 합작맵. TeamN2의 멤버들이 많이 보인다. 꽤나 오랫동안 Top 50 안에 들었는데도 인지도가 심각하게 떨어진다(...). 2.1이 되면서 핵으로 극상향을 먹여 Legacy 맨 밑으로 탈락했다.

2.104. Es Dilar Nos


Mulpan(디자인) & Angelbaton(레이아웃) - Es Dilar Nos

후살이 꽤 심한 맵이다. 비대칭 듀얼과 빠른 속도, 그리고 정신없는 데코로 인한 결과다. Tipp7은 그 파트에 대해서 '''소떼 주의'''라고 했다.
여담으로 제작자가 레이아웃을 만들 때 하데를 노리고 만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익데치고는 어렵진 않다. 난이도는 인데 상위권 정도의 난이도다.
그리고 결국 인세인데몬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제작자는 Mulpan과 Angelbaton으로, 두 명 다 한국인이다.
왜 맵 이름이 이런지 묻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것은 그냥 Angelbaton이 아무렇게나 지은 거라고 한다(...)

2.105. Esencia


Esencia - Zafkiel & more, Verified by Dorami
문서 참조.

2.106. Excessive Compliment



2.107. Falling Up


Falling Up - Krazyman50

- 어려운 맵 제작자 Krazyman50을 대표하는 맵 중 하나이다. 정말 유명한 맵인데, 이 맵으로 인해 Hinkik - Time Leaper 와 Hinkik[150]의 모든 곡들의 열풍이 돌기 시작했고, 이 브금으로 맵이 양산되었다. 이 때문인지 Krazyman은 그 후로 맵을 업로드하기 전에는 브금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지만 Black Blizzard의 노래가 그만 공개되어 버렸다.
Cyanox라는 유저가 99%에서 죽은 적이 있다.
초반 큐브모드는 타이밍에 맞추어 공점을 밟아야 하는데 이게 꽤 까다롭다. 후 하이라이트의 비행모드에서 1자비행이 계속 나오니 조심하자. 그 뒤에도 좁은 일반-소형 웨이브 구간과 마지막 듀얼, 특히 비대칭 듀얼 비행모드로 한 곳을 지나가야 하는 부분의 타이밍이 어려우므로 각별히 조심해서 지나가자.
여담으로 Etzer라는 유저가 이 브금을 부르는 영상이 있는데, 정말 기이하고 괴상한 비명을 지르며 부르는 게 포인트. 듣기. 하여튼 그가 부른 이 브금이 매우 유명해져서 이 입브금을 스피커로 틀고 밖에 돌아다니는걸 찍은 영상도 있다(...).. Etzer은 그 외에도 Yatagarasu, 8o 등 각종 맵을 입브금으로 괴상하게 소화했다.

2.108. Final Epilogue


Final Epilogue - Pennutoh, Verified by Failure444

- Pennutoh가 제작하고 Failure444가 베리파이한 맵이다. 다양한 맵들을 한데 모아둔 디자인이 특징이다. Bryan의 Obscurum을 생각하면 편하다. 다른게 있다면, Final Epilogue는 본인의 맵을 모은게 아닌 그 스타일들을 모아둔데 반해 Obscurum은 진짜로 맵을 모아두었다는 정도.

2.109. Frizzantino Vibes


'''Frizzantino Vibes - by UserMatt18, verified by Enlex'''


2.110. Future Circles


Future Circles - KeiAs

'''나인서클류 서열 4위'''
- 한국인 제작자 KeiAs가 만든 나써맵으로 나써류 맵 중 4번째로 어렵다. 잠시 6번째였으나 다시 재평가되었다.
원래 47위였으나 난이도 재평가를 받았는지 34위까지 올라왔다가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포럼 바깥까지 떨어졌다. 그후 재평가를 받아서 많이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왔고, 또 재평가로 20여 단계 하락했다. 재평가를 굉장히 많이 받는 맵인듯.
2.0답게 일반 나써류와는 다르게 굉장히 화려하다.
몇몇은 디자인 때문에 이 맵을 나써맵으로 보지 않기도 한다.
마지막 엔딩 아트에 혼테일 케이브 2를 예고하는 듯한 문구가 있다.

2.111. Galatic Fragility(Hacked)


Galatic Fragility - TeamSmokeWeed[151], Verified(Hacked) by Cyclic

'''맵 자체 난이도와 버그가 어우러져 극악한 난이도를 만든 레벨'''
Cyclic에 의해 업로드된 TeamSmokeWeed의 매우 어려운 합작맵. Tutti의 매우 짜증나는 타이밍[152]과 Vortiz의 신개념 볼[153], Hades의 웨이브, Gigas의 타이밍 듀얼,[154] Dorami의 칼타이밍 패턴과 '''97%'''가 굉장히 사람 빡치게 한다. 이 97%는 아무리 고수라 해도 꼭 한번씩은 죽는 마의 구간이다.[155] 이 97%는 정확한 칼타이밍과 점프타이밍을 요구하기 때문에 신들린 컨트롤이 필요하다.
고수 유저들 사이에서는 '''최악의 데몬''' 소리를 들을 정도로 혹평을 듣는 레벨이다. 깨는 플레이어도 욕을 한바가지씩 하면서 깨며(...), 일부 유저는 중간에 하다 때려치울 정도.[156]
여담으로 원래 제목은 'Galactic Fragility'인데 오타가 났다고 한다.

2.112. Galaxy Breaker


Galaxy Breaker - Bianox, Verified by FROOZEE

- 처음 버전은 MaleVeronica가 핵으로 올렸으나 FROOZEE라는 유저가 업데이트를 해서 다시 베리파이하여 다시 올렸다.
[157] 외 11명[158]이 클리어했다.
2.1 업데이트로 공점부분 타이밍이 극악하게 되었다. 이런 경우가 꽤 있어 심지어 Allegiance는 공점 타이밍 부근이 하향 베리파이되었다.

2.113. Gammaray


Gammaray by stardust1971 and more[159], published by stardust1971, verified by RLOL


2.114. Geminorum(Hacked)


Geminorum - Feko9

- 해커 Feko9의 핵맵이다.

2.115. God Eater


God Eater - Knobbelboy
포럼 순위 : '''206위''' [160]

- Knobbelboy의 맵답게 맵의 전체적 분위기는 무지개색이며 오브젝트도 30만 오브젝트 정도가 사용되었다. 전체적으로 갓이터에서 영감을 받은듯한 디자인을 보인다.
게임플레이면에서 혹평이 많은 Knobbelboy 치고는 괜찮은 게임플레이라는 평을 듣지만 여전히 혹평도 많다. 그러나 디자인 면에서는 엄청나게 호평을 받는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몇몇 사람은 Yatagarasu보다 어렵다고 평가하고, 어떤 사람들은 맵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Artificial Ascent보다 쉬워보인다고도 한다. 비행파트가 이 맵의 난이도를 올리는 주요 원인이므로 평가가 갈린다고 볼 수 있다.
Knobbelboy의 말에 따르면 '''40만 오브젝트''' 정도를 써서 만들 생각이라고 한다. 그러나 곡이 뉴그라운드에서 삭제되어서 별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나 싱크가 맞는 다른 곡을 사용하면 되기는 하다.[161]
이후 맵의 새로운디자인들을추가시켰다. 제작시간은 8시간에 사용 오브젝트는 5k쯤. 그렇게 만들어진 배경은 4초 남짓하고 사라지는데, 맵이 얼마나 정성들여 만들어지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배경 디자인을 먼저 하고 블럭 디자인은 나중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올라온 프리뷰에 따르면, 오브젝트가 너무 많아져 버그로 인해 사라지기 시작해 제작을 멈췄었지만[162], 다시 동기부여가 되어 제작은 하고 있으나 근시일에는 절대 나오지 않을 것이라 하며 블럭 디자인이 된 2초 정도를 더 공개했다. 참고로 초반에 나타나는 갓이터 로고는 동명의 게임에서 온 것이다.
그리고 4월 15일, '''마지막 프리뷰가 공개되었다.'''
knobbelboy의 말로는 지금까지 '''26만''' 오브젝트가 쓰였으며, 자신의 추측으로 2달 정도 더 걸릴것 같다고 한다. 새로 추가된 배경과 블럭 디자인은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또한 기존에 있던 디자인(구슬이 돌아가는 배경)에 많은걸 추가하였다. 그리고 이전 프리뷰에 있던 시계가 돌아가는 배경 디자인은 보라색, 노란색, 빨간색의 검이 서로 맞보며 돌아가는 배경으로 바뀌었다.[163]
그리고 2018년 6월 21일, '''드디어 완성되었다!!''' 약 1년간 제작해 완성한 맵이며, '''30만''' 정도의 오브젝트가 쓰였다고 한다. Knobbelboy가 곧 베리파이를 시작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6월 26일, 스트리밍으로 베리파이를 진행하다가 마우스가 고장났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버프가 굉장히 많이 되었다.
일단은 먼저 베리파이하기로 한 Singularity와 Photovoltic II를 베리파이할 것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그 맵들의 크리에이터들이 충분히 기다려줬기 때문이라고.
이 맵을 만드는 동안 서버에 유출된 적은 없지만 'God Eater Preview 3' 영상의 버전이 유출되었으며 Knobbelboy의 계정이 해킹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2018년 9월 12일 35%를 간 영상을 올렸다. Knobbelboy 자신은 35%가 그렇게 많은 전진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이 맵을 파고 있다는 걸 확실히 해두기 위해 영상을 올렸다고 한다. 이 영상을 올리기 전 트위치에서 Knobbelboy는 God Eater를 버프했었다. 하지만 35% 영상을 보면 그 버전보다는 너프가 된 것을 볼 수 있다.[164] Knobbelboy는 이 맵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고 말하였고, 심지어 한 유저는 '''"자신이 베리파이한 Bloodlust를 자신이 만든 God Eater로 1위 자리에서 끌어내리려 한다."''' 라고 말했다. 또한 많은 유저들이 1위~3위 정도를 차지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Knobbelboy가 신장결석 때문에 지메를 잠시 쉬겠다고 공지하였다. 이제 자신의 유튜브 채널보다는 자신의 건강에 좀더 신경을 쓰겠다며, God Eater의 베리파이는 물론이고 Orochi 베리파이, Freedom Dive 디자인, Ragnarok, Project NepNep 등 많은 프로젝트들이 기한도 모른채 미뤄지는 것이다. 이에 유저들은 "건강 챙기고 돌아와라", "God Eater 베리파이 만큼은 다른 유저에게 시키면 안 될까?" 등의 반응을 보였다. God Eater의 경우는 크리에이팅과 베리파이 둘 다 자신이 직접 끝내고 싶은 모양이다.
현재 복귀하여 51%를 갔고 중반 비행이 너프된것을 볼수있다.
2018년 11월 20일에 76%를 찍었다. [165]
2018년 12월 30일 80%까지 갔고, 37~100%를 클리어했다.
2019년 1월 7일,[166] '''드디어 베리파이 되었다!!!'''
'''그리고 얼마 안가서 별이 붙고, 에픽을 받았다!!!'''
그리고 그 후, 노벨보이는 Ouroboros를 베리파이하는데에 메인으로 둘 것이라고 밝혔다.
아직까지 Top 50 데몬 리스트에는 들지 못했다. 무려 8일이 지났는데 아직도 클리어자가 없어서 그런 듯. (클리어자가 없는데 레벨의 난이도에 대한 확실한 정보를 알기는 어렵다.) 현재 귤레스터가 93, Dolphy라는 유저가 96을 먹었고 조만간 클리어자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비밀길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큰 논란이 된 적도 있었으나 노벨보이가 빠르게 노클립으로 비밀길을 없애고 재베파하였다. 그런데 그사이에 비밀길로 깬 유저들이 수두룩하게 나왔다 (...)
여담으로 엄청나게 유명한 맵 아니랄까봐 별이 붙자마자 노클립을 써서 100%를 기록한 해커들이 수없이 등판했었다. RobTop이 다 영정먹이느라고 고생한 듯. [167]
이 맵의 패스워드는 갓이터 3의 해외 발매일자와 연관지어서 등록되었다. 패스는 282019이며, 이는 '19년 2월 28을 뜻한다.
'''Dolphy가 세계최초로 클리어하였다! GG'''
클리어자가 나오는데 11일이 걸린걸 보아 난이도가 꽤 되는듯 하다.
그리고 포럼 순위 36위(...)에 안착하였다. 현재 클리어자는 4명.
순위에 대해 논란이 꽤 많은편이다. 이 맵이 섭소닉 아래라는것에 사람들은 모두 놀라하고 대부분 singularity 이상에 자리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만,한국 GD커뮤니티인 GI에서는 '''프랙이나 돌리고 말해라'''든가 '''꼬우면 지들이 포럼 만들던지''' 와 같이 이 레벨이 저평가 되었다고 말하는 이들에 대한 시선이 냉랭하다.[168]
그런데 갑자기 노벨보이가 그 맵을 지메 서버에서 완전히 삭제했다! 이유는 공개하지 않고 좋은 의도로 삭제했다고 한다. 이렇게 잊혀지는줄 알았으나...
이후 Astral Divinity라는 이름으로 부활했고 노벨보이가 직접 다시 베리파이했다.
2020년 하반기에 포럼에서 God Eater가 '''완전히 사라졌다!''' 그래서 현재 포럼 꼴찌는 더이상 God Eater가 아닌 Entwined Room이 되었다.

2.116. Grimoire Heart


Grimoire Heart - by Sparkle and more[169], Published by CFteamgd, Verified by Farzz Zinjj


2.117. Hate War


Hate War - Published by Stormfly, Original by saRy, Designed by S1l3nce

- saRy의 옛날 자작맵이었던 Hate War를 디자인 등을 상향시켜서 다시 베리파이한 맵이지만 게임플레이가 상당한 혹평을 받는다. 데몬이 된지 초기 때는 이게 왜 Featured인지 묻는 댓글이 상당했을 정도. 디자인도 그렇고 노래 싱크도 안 맞는단 댓글이 많았다. 물론 이건 원작의 게임플레이가 그런것이다. Stormfly에 의하면 난이도는 하향되었다고 한다. 어느날 갑자기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됐다.
UFO 모드의 공점 점프력이 상향된 현재로써는 클리어가 불가능한줄 알았지만 사실상 가능한 맵이다.

2.118. Hydraulic Overdrive


Hydraulic Overdrive - Xyriak, Verified by Brad

'''상당한 퀄리티의 보스파이트 맵'''
- Edicts 등과 스타일이 비슷한 크리에이터 Xyriak의 단독맵. Brad에게 베리파이되었다. 맵의 중간의 나오는 보스의 퀄리티도 멋지지만 무엇보다 보스가 움직이는 것을 표현한 이펙트는 역대 보스파이트 맵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퀄리티를 만들어냈다. 그 외에 블럭 디자인도 매우 좋은 편.

2.119. Hyperio Technia


Hyperio technia - Masterl500 and more[170], verified by Didx

- 잘 짜여진 레이아웃과 2.1답게 좋은 디자인으로 구성된 13인 합작맵.
처음 드롭 이후로 듀얼 모드가 많고 그 뒤에 계속 어려운 웨이브와 비행기 등의 모드가 나온다. 칼타이밍이라기보단 각각의 모드를 잘 해야 하는 맵.
디자인과 레이아웃이 신박하고 분위기가 위트있어서 호평받는 맵이다.
현재 Luqualizer, Garlan 외 60명이 이 맵을 클리어했다. 클리어자가 짧은 기간 내 정말 빨리 불어났다.

2.120. Hypersonic


Hypersonic by Dudex and more[171], published by ViPriN, verified by Combined

'''Supersonic과 Ultrasonic을 이은 Sonic 시리즈 3번째 맵'''
'''과대평가된 데몬의 상징'''[172]
- ZenthicAlpha와 Viprin의 Supersonic, Ultrasonic의 뒤를 잇는 Sonic시리즈 3번째 작품. Viprin은 Sonic시리즈마다 볼모드로 미로 만드는 것을 컨셉으로 하는 듯 하다. Etzer의 2.1블럭이 그래프형 블록으로 변하는 효과와 Terron의 모든 것이 30˚ 기울어진 듯한 패턴이 호평을 받는다.
Viprin과 다른 유저들간의 갈등이 조금 있었는데, '''기존의 소닉 시리즈와 너무나도 다른 것'''[173]때문에 유저들이 댓글에 "곡을 바꾸어라.", "소닉 시리즈가 아니다." 등의 의견을 적었고, Combined의 Verify 영상에 Viprin은 '''"곡은 ZenthicAlpha가 제안하고 다른 멤버들이 동의해서 정해졌습니다. 우리는 꼭 F-777의 곡을 사용할 필요도 없고 사용 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Supersonic과 Ultrasonic도 공통점이 없는 1.9 디자인으로 되었습니다. 우리는 2.1에 1.9 디자인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라는 의견을 적었다.[174]
'''대표적으로 굉장히 난이도가 고평가된 맵이다.''' 초기에는 28위. 난이도 재평가로 Cataclysm을 이겼다가 다시 36위가 됐고 순위가 떨어지다 Mystic의 등장으로 결국 50위에서 떨어졌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Hypersonic이 과대평가가 됐다고 말하고, Hypersonic이 있었을 자리에 Panasonic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175] 그리고 결국 익스트림에서 인세인 데몬으로 떨어졌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것보다는 몇 등수 정도 낮춰야 한다고 하며, 몇몇 유저들은 90위권도 밖에 있어야 한다고도 말한다. 그런데 그런 맵이 내려가기는 커녕 오히려 6단계나 상승했다. 그리고 요즘은 포럼 80등대로 cataclysm보다 순위가 높으며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인세인 데몬으로 떨어졌지만, 2020년 5월 경 익스트림 데몬으로 다시 승격되었다.
여러 초고수 유저들이 Subsonic 등의 익스트림 데몬들을 깨다가 지치면 이 맵으로 힐링을 하러 온다. 아름다운 디자인과 2.1다운 그래픽 등, 인세인 데몬 급의 적당하게 어려운 난이도 때문이다. 하지만, 만만한 난이도는 절대 아니다.
중간 ZenthicAlpha의 거미연타가 까다롭고, Panman의 듀얼도 감 잡기 조금 어려우며 Etzer의 회전하는 돌을 피하는 비행에서 실수하기 쉽다. 그러나 무엇보다 '''맨 마지막 Terron 파트 시작시의 웨이브와 일반웨이브'''가 상당히 좁은 간격과 바로 전 Etzer 파트의 난이도와 속도감의 여파로 초긴장 상태에서 진행하게 돼서 조금이라도 손이 떨려서 타이밍을 잘못 잡으면 얄짤없이 죽는 패턴이다. 이 구간에서 소고기를 먹지 않기가 정말 힘들 정도.
여담으로 Supersonic, Ultrasonic의 맵이 모두 ZenthicAlpha의 맵이고 Hypersonic도 그가 업로드할 것이었는데 게임을 접는 바람에 Viprin이 업로드했다. Viprin이 빼앗은 5개의 합작맵[176][177]
이 맵을 클리어한 한국인 유저는 약 20명 이상으로 정말 많다. 최초 클리어자는 Handsupz이며 Xeon, LIFE가 이어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클리어했고,
Teamless와 Soulcontrol, gmd chobochujang이 '''폰으로''' 클리어했다.

2.121. ICE Carbon Diablo X(Hacked)


ICE Carbon Diablo X - Roadbose
문서 참조.

2.122. Instant Execution


Instant Execution by TheGamerPiggy and more[178], published by Plexidit, verified by HequinoX


2.123. Kurumi City


Kurumi City - Created by Ryoon, Verified by Cosine

한국의 랭커였던 Ryoon[179]가 다른 한국인들과 함께 만든 합작맵. Cadrega City에 영향을 준 맵이다.

2.124. Lezicuv(Hacked)


Lezicuv - IIScpLanstII

- 매우 오래전에 포럼에 등재되었던 맵으로, 한때는 랭킹 한 자리수에 위치한 핵맵이였지만 당시 이 맵을 파고 있던 한국 유저 Luichox에 의해 정식으로 Verify + 너프되면서 랭킹이 20단계 가까이 급하락했고, 결국 포럼에서 퇴출되었다. 최근에 업데이트를 거쳤는데, 그 이후로 난이도가 극악해져서 꽤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듯하다. Luqualizer를 비롯한 유저들에 말에 따르면 핵을 써서 너프 이전 버전 이상의 난이도로 업데이트되었다는 듯하다. 결국 수십 단계 이상을 하락해서 Legacy Demon으로 떨어졌다! Doomsday와 마찬가지의 이유다.

2.125. Light Years


Light Years - Published by Smokes, Created by more[180]

- Plasma Pulse Finale로 유명한 xSmoKes와 그 외 10명의 합작. 웨이브 파트 등 극악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는 맵. 인지도가 상당히 낮다.

2.126. Limitless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481516
56321709
1분 42초
72074
2019.07.01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0.87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18.108
'''Limitless by Konsi, verified by Syndrome GMD'''

Thanks to Vapen and Darwin for moral support, verified by Syndrome, I did not spend much time on it, but I hope this lvl will up in history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가 필요합니다.'''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5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ItzBuvettu'''
'''100%'''
'''Youtube'''
'''Lumbo :/'''[!]
'''100%'''
'''Youtube'''
'''PlasmaLust'''[*! ]
'''100%'''
'''Youtube'''
'''jbmoon'''[*! ]
'''100%'''
'''Youtube'''
'''Marius333'''
'''100%'''
'''Youtube'''
'''Kainite'''[*! ]
'''100%'''
'''Youtube'''
BlueRigel[*? ]
64%
Youtube

2019년 10월 1일에 제작자 Konsi의 계정이 해킹당하고 동시에 이 맵까지 해킹당해 꽁맵이 되어버려서 잠시 레거시 제일 밑 순위로 떨어졌으나
이후 복구되고 다시 116위로 제 자리를 찾았다.
10월 8일에 해외 유명 고수 nSwish가 해킹이 아닌 방법으로 비밀길을 찾았다. 그런데 그 과정이 상당히 복잡한데, 14% 웨이브 상태에서 정말 아슬아슬한 간격으로 큐브 포탈을 타지 않고 17%에 위치해 있는 볼 포탈과 그 직후 위치해있는 소형 포탈[181] 그리고 21-22%에서 밑으로 빠져나가면 그대로 끝까지 깰 수 있다.

2.127. Lunatic Doom Machine


Lunatic Doom Machine - Published by SrGuillester, Created by Andromeda GMD & Optagonus

- Andromeda와 Optagonus의 합작맵, 초기엔 안드로메다가 핵을 써서 올렸으나, 후에 SrGuillester가 베리파이를 하여 맵을 올렸고, 별이 붙었다. 곡은 Lunatic Princess (Raigon Remix), 맵은 Medium으로 타 데몬보다 짧은 수준이나, 절대 쉽지 않다.[182]

2.128. NecroDynamix


NecroDynamix - HelpegasuS, Verified by Demon MasterBR

- 무명유저 HelpegasuS의 인세인 데몬맵. 2.1답게 화려한 오브젝트들이 많이 들어갔다. HelpegasuS는 처음엔 인지도가 매우 낮았으나 Sunix가 이 맵을 클리어 하면서 조금씩 유명해지면서 여러 크리에이터들의 관심을 받아 여러 업커밍 익스트림 데몬 합작에 참여하게 된다. 후반부에 God Eater의 영향을 받은듯한 용 문양 때문에 Knobbelboy가 좋아하기도 했다.

2.129. Necropolis(Possibly Hacked)


Necropolis - IIINePtunEIII

- 1.8 때 나온 한국인 유저 NePtunE의 가장 어려운 맵. 3단가시가 밥먹듯이 나오며, 중반부 쿠키런을 연상케 하는 가시들과 UFO, 1.2칸비행 등이 반겨준다. 게다가 후반부는 칼타이밍 3단가시, '''4단가시'''가 나오며, 칼타이밍을 요구하는 소형 싸이클 구간까지 모든 구간이 칼타이밍을 필요로 하고 있다.
당시 매우 어려운 레벨이었던 Deadly Clubstep과 이 맵이 연달아서 나오면서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기 시작했고, 이 맵을 통해 Neptune의 스피드핵 사용 의혹이 불거졌다. 이 동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Neptune이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Necropolis 클리어 동영상은 사람들이 알아채기 어려울 정도로 절묘한 편집이 행해졌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이를 통해 Neptune이 자신의 실력으로 클리어하기 버거운 Necropolis를 스피드핵을 사용하여 클리어[183]한 다음에 스타트포스(StartPos)[184]를 이용하여 영상을 짜집기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리스트에 오를 당시 10위권대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난이도에 비해서는 쉽다고 평가받았었으나 내려왔다.
MrKebab이 98%에서 죽은 전적이 있다.[185]

2.130. NecropoliX


NecropoliX by Namtar, verified by TrusTa

- 1.9 초반에 나왔던 Necropolis의 상향 리메이크 버젼이다.
Riot과의 합작으로 계획되었었고 후반 레이아웃은 Riot이 만들었었지만, Namtar의 단독맵으로 변경되었고 Riot의 레이아웃은 Necromancer이라는 맵에 쓰이게 되었다.
TrusTa가 Verify에 성공했고, 인세인 데몬으로 레이팅되었다.

2.131. New Supersonic


New Supersonic - Cronos AD, Verified by Aviila RX2X

- Cronos가 제작한 1.9 시절을 대표하는 맵인 Supersonic을 리메이크한 맵. 본래의 Supersonic이 상향되어 더 어려워졌다. 베리파이되고, 별을 받고, 포럼에 들어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다.

2.132. Night Party


Night Party by RLOL and more[186], verified and published by RLOL

- Rlol이 지메를 접으며 마지막으로 주최한 28인 메가콜라보이자 수많은 유명 크리에이터들이 참가한 콜라보맵이며, Rlol의 마지막 맵이다.
28인이 합작하여 만든 만큼 한 명 한 명의 파트가 매우 빠르게 지나간다. 한 파트가 4~6초 남짓 할 정도. 그러나 그만큼 디자인도 매우 좋으며, 누구의 파트가 퀄리티가 가장 좋다고 뽑기 힘들 정도이다.

2.133. Night Terrors


Night Terrors - Hinds & Loogiah

- Hinds의 두번째로 어려운 맵이다. 컨셉은 빨간색이며, 좁은 비행의 비율이 많은 맵. 1.9때 제작하다 미뤄진 것을 Loogiah가 독촉해(?) 2.0이 돼서야 완성하게 되었다. 원래는 Hinds가 Verify했으나 모종의 이유로 SrGuillester가 Verify하기로 했고(그와중에 97%를 먹었다.), SrGuillester의 실수[187]로 인해 Giron이 Verify를 하게 된다. SrGuillester의 역대급 실수로 인해서 맵 후반부에 이스터 에그가 하나 있는데, 97%에서 점프를 해 맵 제목과 블록 사이에 들어가게 되면 ''''Guillester is dumb''''[188]가 뜨게 된다. 현재 포럼에서 지나치게 높이 평가되었다는 의견이 많다.
한때는 50 Hardest Demon에 들었지만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퇴출되었다. 난이도는 Insane Demon으로 많이 어려운 편.
Pacosky18라는 모바일 실력파 유저가 '''폰으로''' 클리어했다.

2.134. Novalis


Novalis - GrylleX

- GrylleX의 가장 어려운 데몬맵. 맵의 대부분이 비대칭 듀얼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는 이 듀얼들이 하나같이 미친 난이도를 자랑한다는 점. 비대칭 듀얼만 놓고 본다면 Cadrega City와 Celestial Force가 나오지 않았을 시점에 '''가장 어려운 비대칭 듀얼 맵'''으로 불렸을 만큼 그 명성이 자자하다. 비대칭 듀얼을 제외하고도 웨이브 모드가 꽤나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한다. 특이하게도 유저코인을 맵 내에서 열쇠를 준 다음 맵 끝에서 몰아준다. 그러나 이 열쇠루트도 절대 쉬운게 아니라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2017년 10월 17일, 한국 유저 Angelbaton이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2.135. Photovoltaic


Photovoltaic - Published by Mazl, Created by more[189], Verified by Quantum

'''2.0 시절 가장 거대한 규모의 합작 중 하나였던 맵'''
- Mazl이 주최한 대규모 합작이다. Quantum이 베리파이했으며, 86%에 Quantum이 죽은 자리에는 "RIP Quantum"이라는 문구가 써져있다. 한참 전 포럼에서 퇴출되었으나 연장되고 나서 50위 이후의 목록에서 56위라는 생각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현재 이 맵의 후속작인 Photovoltaic II라는 맵이 베리파이 되었고 20위에 안착 하였다.

2.136. Plasma Pulse II


Plasma Pulse II - GironDavid & Smokes

Plasma Pulse 시리즈의 2번째 맵. 역시나 퀄리티가 매우 좋다. 정말로 어려운 맵이다. 첫 웨이브가 칼타+연타 콤보를 선사하고, 그 뒤에 나오는 UFO는 한칸을 통과해야 하는 극악함을 보여주며, 마지막 듀얼은 로봇에서 조금만 삐끗하면 죽기 때문에 이 맵을 깨는 유저들은 항상 마지막 듀얼에서 최소한 한 번 씩은 죽고 깬다.

2.137. Polish Alphabet


Polish Alphabet by Ezel142 and more[190], published by Anime Animator, verified by BlazeD77


2.138. Pumped Up Kicks


Pumped Up Kicks by Quiken and more[191], published by Quiken, verified by GuitarHeroStyles

퀄리티는 우수하나, 지루한 게임플레이와 3~4분이상이 넘어가는 긴맵이 발목을 잡아 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
(근데 맵은 유명하다. 다운로드 수가 70만 정도)
그리고 노래가 막혔다. 노래는 다른 걸로 바뀌었고
싱크도 잘 맞는다.
그리고 ldm을 먹으면 이상한 곳으로 이동된다.


2.139. Pursuit


Pursuit - shocksidian, Verified by Krazyman50


2.140. Quest For Perfection


Quest for Perfection - LazerBlitz, Verified by MaxiS9

'''다섯 번째로 쉬운 익스트림 데몬으로, 현재 남아 있는 익스트림 데몬 중 4번째로 아래 순위에 있는 레벨'''[192]
- LazerBlitz의 Cataclysm 리메이크 버전이다. Cataclysm과 마찬가지로 곡은 Dimrain47At the Speed of Light를 썼다. Gboy의 것과는 다르게 디자인이 푸른색 계열이고, 후반부 저속 웨이브파트가 3배속 비대칭 듀얼로 바뀌었다! 큐브+비행기, 큐브+웨이브, 큐브+UFO, 듀얼 큐브, 큐브+볼, 비행기+소형웨이브 등의 듀얼이 나온다. 또 그 후에 Cataclysm에는 없던 1칸비행을 하고 가시 2개를 점프한 뒤 끝이 난다. 얘기만 들어보면 이 맵이 Cataclysm보다 훨씬 어렵게 들린다. 하지만 Cataclysm의 전체적인 상향으로 인해 v1의 상향판이었던 이 맵은 20위에서 46위로 급추락하게 된다. 또 이 맵의 체감난이도가 낮은 이유는 51%부근이 Cataclysm과 달리 장애물이 잘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전체적인 웨이브와 비행 등의 간격이 원래 Cataclysm보다 더 넓어진 부분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오히려 깔끔해서 더 쉽다고 느낄 수 있다. 그러나 후반의 듀얼모드는 익스트림 데몬 중에서도 한자리 하는 구간이므로 주의해야한다.
많은 유저들에게 Insane Demon 취급을 받는 중.
여담으로 HexHammer가 마지막 듀얼을 지나고 스트레이트 비행기를 하면서 소리를 지르다가 95%를 먹은 전적이 있다(...).[193] 영상.

2.141. Raindance


Raindance by Anime Animator and more[194], published by Milos482, verified by Kapinapi


2.142. Red World Rebirth


Red World Rebirth - Published by Riot, Original by saRy & NePtunE, Designed by Hinds, Findexi & Viprin

- 1.9까지 가장 어렵다는 맵 중 하나였던 한국 유저 saRy와 Neptune의 콜라보 맵인 Red World를 2.0 버전으로 재디자인한 맵. 원본인 Red World가 1.9 패치로 불가능한 맵이 되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수정하고, 나비모드와 비행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난이도가 극상향되었다. 초반부터 극악한 비행기 패턴이 많고, 특히 63%~67% 부분은 '''저속 1칸비행'''이다. 그 후 나비모드는 답이 없을 정도로 어렵다.[195] 나비모드를 지나면 바로 꺾인 1칸비행이 계속되는데, 이 부분이 매우 어렵다. 가뜩이나 최후반부라서, 죽으면 깊은 빡침을 느끼나, 많은 유저들이 여기서 한 번은 죽었다.
여담으로 SrGuillester가 자신의 디자인 버젼을 클리어하려고 했으나, 이 맵이 나온 후 취소하고 Red World 원본을 클리어했다.
현재 클리어한 사람은 TrusTa 외 50명.

2.143. Rewind


by Nyrael and Awzer, verified by Aquiver, published by Awzer


2.144. Sadism


Sadism - Nox, Verified by Surv

- Nox의 데몬맵. 초반 드롭파트 웨이브, UFO와 중후반 1칸 웨이브가 사람 빡치게 하는 맵이다. 그 외에는 페이크 같은 것도 별로 없고 컨트롤 위주의 어려운 맵이다.

2.145. Sky Tech


Sky Tech by Licentious and Giron, verified and published by Giron

꽤나 어려운 인세인 데몬이었고, 2019년 1월 뜬끔없이 '''맵의 모든 오브젝트가 사라진 적이 있었다.''' 하지만 곧이어 다시 업데이트되었고, 하드데몬으로 내려갔다가 인세인데몬으로 복귀되었다.
2019년 2월 11일 기준 포럼 99위였다. 하지만 결국 Legacy로 떨어졌다.

2.146. Sigma Interface


'''Sigma Interface by Platnuu '''

Delta Interface의 후속작이다. 1분 근처 정도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지만, 근데 '''풀버전이 아니다.''' 원래라면 풀버전을 만들어야 하지만, Platnuu가 지메를 접는 바람에(...) 이렇게 되었다.
어느날 Sigma Interface가 업데이트 되었는데. '''맵속엔 모든 오브젝트가 뼈대로 남아있으며 3칸위로 올라가있는''' 이상한 업데이트였다. 이에 사람들은 해킹이 아닌가라고 생각을 했지만, '''Platnuu가 직접 업데이트를 한거다.''' 그리고 게임 설명엔, '''unrate Plz'''라고 적혀있다. 이에 맵은 복구 되었지만, 35% 부분에 버그가 있다.

2.147. Sparklic Ocean


Sparklic Ocean - Jindotgae

- 한국유저 Koreaqwer의 첫번째 자작맵. 2.0 초기맵 답게 함정이 많다.

2.148. Spectral Tentation


Spectral Tentation - DiscJoker & more[196]

'''거의 모든 사람이 공인하는 포럼에서 가장 쉬운 익데'''[197]
- DiscJoker의 합작맵. 상당히 빠른 속도감을 자랑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장애물 간의 간격이 꽤 넓어서 익데 중에서는 가장 쉽다는 평을 받는 중.
Cosmorush 21의 출현으로 포럼에서 떨어졌다.
'''2020년 8월 중후반쯤 익데에서 인데로 떨어졌다.'''

2.149. Subterranean Animism


Subterranean Animism - Published by EVW, Created by Aquatias & more[198]

- Aquiatias에게서 시작되었으며 여러 크리에이터들이 GD 유명 유튜버인 EricVanWilderman을 위해 만든 합작맵. 전체적으로 유명한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참여해서 기대를 많이 받았으며 그 기대에 맞게 퀄리티가 좋다. 그 중에서도 Knobbelboy의 파트가 엄청난 호평을 받는다. Verifier인 EricVanWilderman이 상세한 가이드 영상을 올렸으니 참고하면 좋다.

2.150. SUBVERSIVE


SUBVERSIVE by Disp and more[199], verified and published by Snowr33de

'''업로드된지 1년 1개월이란 시간이 흘러간 후 포럼에 올라온 비운의 맵'''
- 러시아 크리에이터들의 합작맵으로, Snowr33de에게 Verify된 맵. 상당히 긴 길이와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한다. 2.0때 만들어진 맵인데도 왠만한 2.1 데몬맵 저리가라 할 정도로 모든 파트의 퀄리티가 높은 데다가 유명 유튜버인 SoulsTRK가 영상을 올렸는데도 데몬이 되지 않아 한때 비운의 맵의 대명사로 꼽혔던 맵이다. RespectVG(1:45~2:00)와 Namtar(2:15~2:30)의 파트가 가장 호평을 듣는 파트이다. Krazyman이 스트림 방송에서 RobTop에게 The Hell World, The Hell Zone과 동시에 이 맵에도 별을 붙이라고 부탁하였으나, 게임플레이가 별로라는 이유로 별을 붙이는 것을 거절했으나 이 맵이 처음 나온지 '''9달'''이 넘어서 3월말에 드디어 별이 붙었다. 포럼에 올라온 것은 거의 '''4달'''만이다. 국내에서는 HaNsUpZ가 60hz로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원래 가장 어려운 인세인 데몬 중 하나였으나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되었다. [200]

2.151. Temple of Destiny


Temple of Destiny - DrakeGhast

'''익데중에서 가장 쉽다고 평가받기도 하지만 재미없기로도 아주 유명한 맵'''
- 신인 크리에이터 DrakeGhast의 단독맵. 뒷쪽 배경이 하나같이 상당히 화려하고 고퀄리티이다. 특히 초반과 중반에 나오는 무지개빛 눈이 상당히 인상적. 그리고 이런 화려하고 빛나는 디자인 덕분에 맵의 난이도도 어려워졌다. 하지만 익데 중에서는 가장 쉽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클리어자 수는 한국인 gd danger, AngelBaton, RateUnite, kainite(GDchara), VINGSUL, SarTiZ, Tipp7, MandusGD, Extreme ,Eyeong(모바일)을 포함해 현재 156명.
이 맵은 처음 나왔을 때는 Hard Demon이었고 그후에 갑자기 Extreme Demon이 되었지만 Insane Demon이 돼야한다는 말을 듣는 등 저평가를 많이 받았다. 그 후 포럼에 49위로 등재하면서 그것들이 전부 저평가였을 증명했다. 다만 실제로 익데중에서는 쉬운 편이기도 하고 인데라고 하는 사람도 꽤나 많은 편. 포럼에서 빠져나왔었으나 포럼 연장으로 다시 부활했다.
2017년 12월 말, 난이도를 재평가받으면서 거의 20단계를 내려왔다. 예전부터 고평가다, 고평가다 했었는데 지금에서야 내려온듯 하다.
그리고 2020년 3월 21일 경, 드디어 Extreme Demon에서 Insane Demon으로 데몬 레이팅이 변경되었다.

2.152. The JanuS Miracle(Hacked)


The JanuS Miracle - Megadere

- '''중반 비행부분''' 이 하나로 Top 50 Hardest Demon의 중위권을 차지했었던 데몬이다. 그것만 아니면 쉬운 데몬. 포럼 꼴찌도 해봤었고 위 ICDX과 차이가 얼마 나지 않을 때도 있었을 정도로 순위 변동이 심했다.
제작자는 GW에서 유명한 해커였던 Janus이다.
여담으로 Clutterfunk가 원래 브금이었는데, 제작자가 GuitarHeroStyles가 녹음한 'How to Clutterfunk'로 브금을 바꿨다가 저작권 크리를 먹는 바람에 후광 박탈(...)
그리고 7월 15일즈음에 2017 업데이트가 되었는데, 이 버전이 제작자가 약을 빨았는지 굉장히 어려워졌다! 심지어 Unnerfed 버전보다도 더 극악해져서 많은 사람들이 드디어 이 맵에 별이 떨어질 것이라고 기뻐하는(...) 중.
Unnerfed 버전: https://youtu.be/IXcFDSoEH4E
2017년 업데이트된 버전: https://youtu.be/rOZP9PvwpqI
2017년 버전에는 첫 가시가 3.5단이라 굉장히 극악해졌고[201], 28~30%가 초극한 웨이브로 변했으며, 그 이후 사이클 구간도 도입부에 무조정 가시가 생겼고, 48~53% 부분은 '''4배속 소형웨이브'''로 중력반전, 거대화 포탈 등을 연속 배치해놨으며, 53% 소형 비행기 도입부에 아무 조정도 하지 않아 웨이브를 넘기자마자 비행부분에서 죽기 십상이며, 60~67%에는 거대화 비행부분에 톱니를 잔뜩 배치해놓았다! 원래 버전은 60~67% 부분이 중반부 비행 중에선 가장 쉬웠으나, 이 업데이트로 가장 어려운 구간으로 변모했다. 또한 86% 부분엔 페이크를 놓았다[202].
어느샌가 원래대로 돌아왔다. 별이 떨어질 걸 염두한듯.

2.153. The Secret Box


The Secret Box - Metalface221

'''나인서클류 서열 6위'''
- Metalface221의 매우 극악한 난이도의 웨이브 맵. 버프했을땐 익스트림 데몬 값은 한다는 소리가 있었으나 현재는 제작자가 너프해서 "즐길 수 있는" 수준의 난이도로 낮췄다고 했다. 과거에는 Future Circles을 뛰어넘는 난이도라고 평가받는 익스트림 데몬이었으나 너프 후 인세인 데몬으로 떨어졌다. 포럼에는 예전부터 등재되지 않다가 포럼이 연장된 이후로 99위로 저평가 받았으나, 어느새 여러 맵들을 제치고 올라왔다. 그러나 다시 99위가 되었다. 그런데 또 재평가를 받아 올라왔지만 또 다시 여러 맵들의 등장으로 99위. 재평가로 다시 두 단계 올라왔다. 그렇게 버티고 버티다가 결국 퇴출.
나써류 치고는 길이 직관적이다! 한국유저 tipp7이 개이득이라 할 정도.
특유의 디자인 덕분에 나인서클맵으로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이는 Future Circles 등도 마찬가지.

2.154. The Ultimate Phase


The Ultimate Phase - Published by Andromeda, Created by more[203]

'''1.9 당시 전설의 15인 합작맵'''
- 2015년 8월에 Andromeda가 Verify한 맵. Andromeda는 스피드핵을 사용해 업로드를 한 사실을 인정했으나. 2016년 06월 21일에 다시 정상적으로 클리어했다. 하지만 베리파이 한것이 아닌 클리어여서 아직 Hacked가 남아 있다. Zobros, Andromeda 파트를 하향시키면서 Cyrillic이 핵으로 Verify를 해줬기 때문이다. 한때는 정말 엄청나게 극악한 맵으로 손꼽혔지만, 다른 극악 데몬 맵들의 등장과, 몇 계단을 내려가는 재평가로 순위가 계속 떨어지고 떨어져서 '''결국 1.9 지메 3대장 데몬중 하나였던 이 데몬이 Stalemate Redux의 등장으로 이곳으로 추락했다.'''
MaJackO의 미니 비행 파트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고, Cyclic의 순간 가속되는 좁은 웨이브 파트에서 굉장히 많은 소고기를 유발한다.
하향 전 영상.
하향 전과 후 Zobros 파트의 난이도 차이가 극명하다.
주요 한국인 클리어자는 LIFE, GD chara, Cutter, Hanavi[204], Sungsu Kim, y75가 있다. SuperSNSD도 클리어했지만 영상이 날아갔다고 한다. 전세계 클리어자는 상당히 많다.

2.155. Ultraviolet


Ultraviolet - Published by Viprin, Created by TrusTa & more[205], Verified by Railgunner

- 유명 크리에이터들의 콜라보 맵 중 하나. Viprin의 말에 따르면 원래 주최자는 TrusTa이고, 그가 베리파이하고 업로드하기로 했던 맵을 빼앗아왔다고 한다. GironDavid가 업로드한 Infrared의 후작으로[206], 상당히 어려운 맵이다. 그중에도 Minesap과 Viprin의 파트가 특히 어렵다고 한다. 마지막에 끝났다고 꾹 눌렀다간....
좋은 곡과 1.9 맵치곤 괜찮은 디자인 등 덕분에 유저들 사이에서는 꽤 인기가 좋은 듯 하다.
리메이크도 많은데, Jajagarasu를 만든 ThePlebKingdom에게 LULtraviolet이라는 밈 레벨이 제작되고 있고, Visible Ray라는 비공식적 한국인 합작[207]도 있다.

2.156. UltraSans


UltraSans by PlebKingdom, verified by KrmaL


2.157. Underground


Underground - KeybladeMaster & SrGuillester, Verified by SrGuillester


단조로운 회색 배경을 살린 KeybladeMaster의 레벨. SrGuillester가 레이아웃을 만들었고 베리파이했다. 이 맵도 별을 받았을때 당시 Top 50에 들어갈 난이도였지만 정말 오랫동안 들어가지 못하고 이 Extended 리스트가 생겨서야 등재되었다. 현재 클리어자는 Electronisse 외 2명.[208] 2017년 12월 말쯤 난이도 재평가로 인해서 수십 단계를 올라왔다.

2.158. Uprise


Uprise by Blad3M, verified by Ninetales

[209]
'''많은 사람들이 존재 자체도 몰랐지만 갑자기 포럼 12위를 차지해 사람들을 놀라게 한 데몬'''
- 어느 날 돌연히 나타나 12위를 차지했었던 데몬. 디자인이 Woogi의 Windy Landscape와 Colorful OverNight를 참고해 만든 합작맵이다. 그러나 이 맵은 버그가 너무 많았고 난이도도 59% 이후에 있는 Sonic Wave보다 더 좁은 웨이브는 사람이 깰 수 있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미쳐돌아간다. 특히 87%는 클리어가 '''불가능한 구간'''이었다! 많은 유저들이 이 맵은 포럼에서 내려와야 한다며 압력을 넣었다. 그리고 Menkatjezzz는 버그픽스 버전을 자신의 계정에 업로드하였다. 그러나 그 버전마저도 핵의심이 들 뿐더러(거의 확실) 별도 붙지 않았다...(...) 핵맵임에도 불구하고 12위까지 올랐던 것.
그러다가 2017-02-08일 Ninetales라는 유저가 버그를 고친 버전을 베리파이했다. 그런데 버그픽스 이후 이 맵은 49위로 떨어지게 됐었다.
2019년 4월 19일 경으로 지금은 Legacy 데몬.
실상 타이밍이 조금 까다로운 UFO와 비행기 부분을 제외하고 초중반과 후반대는 하드데몬 이상이 힘들 정도로 쉬운 편이나, 59%부터 시작하는 웨이브 구간으로 인해 익스트림 데몬이 된 맵이다.
현재 NoctaFly, iNeo, Wooshi999, SrGuillester등등 총 48명이 클리어. [[https://youtube.com/watch?v=QRt2JVUiRXg한국에선
Kainite라는 유저가 이 맵을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2.159. Valor


Valor - MegaMan and more[210] published by Krazyman50

- Krazyman50의 대형 합작맵으로써, 14인의 미국인 유저들이 합작해서 만든 레벨이다. 쉬워 보이는 장애물 배치와 달리 난이도가 극악한데 특히 마지막 Jdfr03의 웨이브와 마지막 가시에서 죽는 사람이 정말 많아서, Valor 통곡의 벽으로 불린다.. 난이도 재평가를 받아 순위권으로 들어왔었다.
맵 이름의 어원은, 포켓몬 GO의 진영을 주제로한 시리즈다.
디자인이 워낙 달라 모르는 사람들도 많지만 사실 2.1에 등장한 익스트림 데몬 Mystic이 이 레벨의 후속작이고, 그 후속작 Instinct가 제작중이다.

2.160. Wander of Thought


Wander of Thought - Noriega & SoulsTRK, Verified by SoulsTRK

- Noriega와 SoulsTRK가 콜라보해서 만든 매우 어려운 1.9 맵. 많은 낚시와 타이밍, 그리고 비대칭 듀얼을 비롯한 매우 어려운 듀얼이 이 맵을 어렵게 만드는 주범이다.
이 맵은 이 당시에는 상당히 독특했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SoulsTRK부분에서 SoulsTRK는 레이아웃만 만들고 Noriega가 디자인해줬다고 한다.

2.161. Wolfstep


Wolfstep - Rlol & Dimavikulov26[211]

- 프랑스 유저 Rlol의 개인 맵이다. Rlol은 매우 화려하고 번쩍거리게 맵을 만드는데, 곡 분위기와 맞게 이펙트가 훌륭하다. 맵에 쓰인 브금도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2.162. X Adventure


X Adventure - Pasiblitz

- Zobros가 개최한 1.6 콘테스트 출품작이다. 제작자가 자신이 만든 가장 어려운 맵이라고 한다. 맵이 전체적으로 칼타가 심하다. 1.6 컨셉답게 1.6과 그 이전에 등장하는 것들로만 만들어져 있다. (유저코인 제외)

2.163. Zettabyte


Zettabyte by Jenkins GD


2.164. 8o X


8o X - F3lixsram & Yakimaru

- 1.9 최고의 맵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 인세인데몬 8o의 리메이크 맵이다. 하지만 게임플레이가 평범해 호불호가 꽤 갈리기도 하다. 현재 Discard 외 31명 클리어.

3. 관련 문서



[1] bloodbath, cataclysm, aftermath를 이은 'Aftercatabath'라는 맵과는 상관없는 맵이다. [2] 허나 포럼에선 밀려온 순서대로 표기된다.[3] 참고로 그 버그라는 게, 최후반 웨이브->아이콘으로 넘어가는 구간에서 웨이브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으면 아이콘으로 변할 때 웨이브 구간의 천장에 박아서 사망(...)[4] Kains, Artumanka, guleshelt, silver, Andr1x, Maitnary[5] crazen의 아동성범죄자의 행적이 드러나여 영상 교체.[6] f3lixsram, Marwec, Pennutoh, Darwin, JacobRoso, Angryboy, Yakimaru, Rafer, Thomartin, ChaSe, Osiris, Enzore, Reunomi, Kurokawa, Desticy, Victorinox, Gigamix, Desumari, Nahuel, Erdyuri, Elegy, BloodStorm[7] 길이가 3분을 넘어가다 보니 특유의 저속 후살이 스트레스를 유발한 경우가 많다.[8] Drift, Failure444, Leo32601, Pennutoh, Bianox, Cosmicsabre, Tex02, SlimJim, '''Splash''', Juhou, Lazuli, SirHadoken, Hynaedon, Matterz, Vulcan, sqrl, Cybronaut, LeoCreatorX, Balloons, Jozhii[9] 그러나 본래 Endlevel은 맵 풀 버전 공개 당시까지 자신의 파트를 갖고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하차한 이후 그 파트는 Failure444가 맡게 되었다. -[10] Vapen, Onnikonna, Zalspr, Straw, Nar, ManoMagician, Speir, Zina, Yakobnugget, Aquatias, Endlevel[11] '''Wombat''', Djoxy, GaidenHertuny, KingTony, Manheadrambo, Mactanow, zhawker, Squared, SpadeKilla17, Kazia, Cyber Orion, Optation, Hexhammer, Straw, Aqwuh, Bermard, Oasiz, FozaeKitty[12] Tartofrez, Nottus, f3lixsram, iSparki, Bransilver, Nexander, Vrymer[13] MiniWheatDuo, Failed Username, DashinKing111, FiryTheGoat, Audile, TeamLess, ToastLord, Sparky_01, Yankes, SaturnV7, Lemuune, Stilluetto, Cannonlaw, pineto, Nell, CarlosArt16, Elvii, Glames, Pulsar, Zenith2A, Gotchi, Acrylix, AcaTwo, Paint, Cr3ator ims, Matteddy, Kirlian, Voltex, AZuLer4, teraxek, Fruitsnack, Gizbro, NecroToxinGaming, NightXStalker, Zoff[14] Byboy11, BitZel, Rock3ro, Blasting Ant, Fragox, Teddy Creator, Axdrel, JaxtilanX, Polli, Astrofox, Zafkiel, Alfred, Male20, NeoGamer, Minimax, AlexTG, Oasiz, xSergid1g, GuitarHeroStyles[15] Moe Machine, DavJT, MistFix, IZhar, Nikce, DaCe, Gran Polli, Sandal, Zelftix[16] Enlex, Failure444, InsanE, Metalface221, Noice, Zanna83, YacobNugget, Poccottini, Corkscrew, Nico99, Nemphis, TurtleBro, Osiris, Psynapse, Altin, '''pennutoh'''[17] Pennutoh의 레이아웃[18] freedom08 베리파이어[19] ATMarbl이 129위로 떨어진후 그당시 Bloodbath의 순위는 128위.[20] 34명[21] Geonox, Buragoz, TrueDee Fabian, ByBoy 11, DangerKat, FurixGD, DanielDLC, ZadoxxZ, Alfred, MaxyLAND[22] Failure444, GunnerBones, Skulzi, Havok, WormFodder, recillia, TGI, Endlevel, Mixer[23] BoldStep의 영상으로 대체[24] 현재 둘 다 포럼 순위권에 벗어나 Crimson Clutter와 Catastrophic 모두 Legacy Demon으로 옮겨졌다.[25] 구버젼은 Crimson Clutter의 아래라고 평가받았으며, 극상향을 먹인 후 Cataclysm 과 도토리 키 재기 난이도라고 평가받았다. 그러다가, 재평가로 인해 무려 Cataclysm보다 22단계 올라왔다. 레거시로 떨어진 현재는 Cataclysm과 순위 차이가 아득하게 많이 나는 상황.[26] Layout by '''Herdys''', Designed by Fufafac, Seiun, GeometryTom, Hoshikido, Oasiz, Fardreamer, Zedaurum, Bermard, XuranoX, '''ZafkielGD''', Diriswan97, Fardreamer(again), Auntex, Axdrel, ZenthiSuper, Killnex, Sr Gaton, Yuno, Goyuki, HKO[27] 의외로 싱크가 잘맞는다.[28] 60hz로는 세계최초이다.[29] 무려 '''23000정도의 어템을''' 사용했다.[30] Texic, Picaaaa, Sting871, Electro543, Df0rDie, Endevvor, Mojitoz, ViralDl, Netaren, Leynar, Hir0shi, Vex01, N3moProd, Alkatreize[31] Yuko, Hypno, Moosh, Skrypto, Levin, Zanna83, XLSpiral, ItsMeJhemyson, Wesp, MatthewMW, Infinistyle, xoanon, Undying, Siv, BlazeD77, IvanPercie[32] 노래의 하이라이트 부분.[33] 여기서 나오는 보스는 별의 커비 64의 진 최종 보스 제로투이다.[34] '''Eclipsed''', ZkadliX, AlexPG, Terron, BananaMuffin, Bennxt, Nahuel2998, Marwec, Vindik, Tsukifuto, TrueLogic, SlimJim, Splash, TeslaX[35] Hermes, Motu, COSINE, Reple, Ryan LC, Luneth, Koreaqwer, RedDragon, WOOGI1411, ZenthicAlpha, Miner, Zelda, Yuri[36] N2팀 영상으로 교체[37] 사실 Guitar은 저기서 '''눈을 손으로 가리고 했다'''. 하나 빼고 다 맞췄다는 점에서 웨이브 컨트롤 실력 하나는 대단하나, 결국은..[38] 사실 한 열쇠를 간발의 차이로 못 먹은 것이다.[39] 그러나 Guitar는 다음에 Minus(Yuri)의 미로 구간에 도착했을 때도 눈을 가렸고, '''클리어했다.'''[40] Reple, Cosine, Luneth, Zelda, Ryan LC, WOOGI1411, Miner, Hermes, Koreaqwer[41] 현재는 닉변을 했고, 세계 별랭킹 3위까지 했던 Satum이다.[42] Powerbomb은 1.9때 4번째로 Cataclysm 격파에 성공한 고수이다[43] 원래는 Koreaqwer라는 N2 팀 소속 한국인 유저가 깨려 했으나, 84% 부근에서 너무 많이 죽어서 포기했다. 시간이 많이 흘러 현재는 클리어했다.[44] Zanna83, HelpegasuS, Tear Rai, Sminx, V9lt, Temp, UltraCharge, Patchimator, Golden, Yoshikawa[45] Helpegasus와 Temp의 파트를 예시로 들었다.[46] SlimJim, sqrl, JacobRoso, Nickrx15, Zap101, ZBM, Creatorflex, MrLorenzo, Straw, Lqah, WHErwin, Nico99, Jbeast, Balloon[47] 2020년 7월 1일 기준[48] MarEng, Quacduc, Osiris, Lemons, DanZmeN, Chlorines, Angryboy, MrKoolTrix, Bransilver, Dorami[49] 처음에는 가볍게 여러 블록들이 플레이어를 지켜보는 잔잔한 분위기를 이어가다가 30%대쯤 와서 점점 분위기가 빨간색으로 변해가더니 깨진 블록, 피를 흘리는 블록들이 마구 튀어나와서 공포 분위기를 조성한다.[50] 맵에서 디자인을 없에고 레이아웃만 남겨놓는 방식으로 만든 맵을 보통 Shitty Level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 맵은 Innards와는 전혀 관계없는 레이아웃으로 구성되었다는게 함정.[51] 실력파 유저 Luqualizer는 아예 영상 댓글에 "Looks like a f**king '''Silent Level'''" 이라고 했다.[52] Innards 극초기 프리뷰.[53] 최후반에 짧은 오토 구간을 지나고 나면 빨간 발판 때문에 엄청난 속도로 튀어오르는데, 이 때 검은 공점을 쳐야 한다. 검은 공점 위로는 가시가, 검은 공점을 타고 내려가는 쪽에는 매우 폭이 넓은 가시 2개가 있다. 이 구간을 통과할 때 검은 공점을 너무 빨리 치면 바닥의 가시에, 너무 늦게 치면 천장의 가시에 박는다.[54] DollarC의 노클립 영상에서 볼 수 있다.[55] 후에 다시 원래대로 돌려놓았다. 저걸 유지시킬 거냐고 물어보는 유저의 댓글에 답글로 "저걸 유지시키느니 마지막 부분에 4단가시를 20개 넣겠다(...)"라고 했다...[56] SWI, Orochi 등등[57] Crazen도 핵 전적이 있긴 했지만 자백했다.[58] Crazen은 Knobbelboy가 Bloodlust를 베리파이한 이후에도 커뮤니티 내에서 Knobbelboy의 본명 등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놀렸고, 이 때문에 Knobbelboy의 10만 구독자 기념 얼굴 공개가 취소되기도 했다.[59] 정확히는 1/15칸 정도.[60] (의역이 포함되어 있음) 뭐.. 드디어 찾아왔네요. 이렇게 끝내는 것이 아쉽기는 해도, 시간문제일 뿐이였어요. 저는 솔직히, 제가 최선을 다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저는 이나드를 깰 실력도 없고, 이나드를 깨기 위한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가 여러분 들을 실망시킨 것에 대해 스스로 화가 나기는 하지만, 저는 언젠간 이나드 베리파이를 포기할 것이라고 점점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저를 지지해주셔서 감사하고, 저를 지지해주어서 미안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이때까지 꽤 많은 시간을 투자했고, 저를 인내심 있고 힘내게 해준 것은 여러분이라는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베리파이를 포기하는 것에 대해서 스스로에게 가장 화가 났습니다. 예전에 이야기해주려고 했던 사실인데, 지난 1년동안, 이나드는 저에게 정말 어렵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나드를 하기 싫을 정도로요. 하지만, 베리파이를 포기하게 전에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해보기로 결심했습니다. 제 실력은 제가 게임을 할 때의 컨디션에 따라 정말 많이 달라지는데, 최근에 컨디션이 정말 좋았어요. 특히 녹화 중에 50~82를 달성했을 때 말이에요. 하지만, 이나드를 자주 하게 되면서 컨디션이 악화되었고, 이 때문에 지금이 이나드를 포기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나드는 저에게 정말 많은 것을 가르쳐줬고, 비록 이나드를 포기하는것에 대해 화가 나있기는 하지만, 적어도 저는 이나드를 통해 뭔가 배웠다는 것과 제가 이전에는 전혀 몰랐던 상황에 대한 시선을 주었다는 것이 행복합니다. 이제 아마 익데를 플레이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 무언가 저를 엄청 흥미롭게 하는게 있지 않다면요. 아마 자주는 아닐거에요. 저는 현재 크리에 관심이 많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매번 지메를 킬때마다 지메를 해야만 한다는 의무감이 들어요. 개인적으로, 무언가를 하도록 강요당했을 때 그것에 집중하기가 굉장히 어렵거든요. 이나드는 옛날부터 하기가 싫었어요. 항상 해야 한다고는 느꼈지만, 이나드를 하게 만드는 동기는 사실상 없었던거죠. 이제 이게 끝나고 제가 정말 하고싶은 일을 하고 싶네요. 이나드를 해야한다는 느낌 없이요. 여러분들이 제 결정을 이해해줬으면 좋겠어요. 다른 모든 이나드 영상은 영상 설명란에 있어요. Original cut 영상을 포함한 모든 영상을 올릴거에요. 꽤 옛날 영상인데다가 더 이상 베리파이를 한 생각이 없기 때문이죠. 여러분들이 이나드를 해보거나 베리파이를 도전하도록 해드릴게요. 이건 제가 플레이하던 가장 최신 버전이에요. 모든 준비는 다 되어있어요. 그냥 제일 처음의 텔레포트 포탈을 지우고 맵 마지막에 Verified by Cinci 를 Verified by "닉네임" 으로 수정하기만 하면 돼요. 곧 베리파이될거라고 기대는 하지 않을게요. 그냥 원하신다면, 재미로 플레이하세요. 비번은 Kaito 에요. 이나드를 베리파이 하는 동안 친구이자 저를 지지해준 친구를 기억하기 위해서이죠. 솔직히 알맞는 사과를 할 수 없을 것 같아요. 저는 이나드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거에요. ID는 54496752 입니다. 행운을 빌어요.[원문] Well guys, it's finally come. Although it's unfortunate that it has ended this way, it was only becoming a matter of time. I can honestly say I gave this my best effort and have already accepted that as of now, I don not have the skill to beat this, nor the dedication to even try to gain the skill anymore. Although I'm upset that I let some of you down, I'm sure that it was becoming more and more apparent that this was eventually going to happen. I would like to first that everyone that has come to support me, while at the same time apologizing for not fullfilling what you were all supporting me for. I has been quite the ride and I do appreciate all of you that have been super patient and supportive, and it is to you that I am the most upset about not being able to come through with it. I was planning on giving this away for awhile now. Throughout the past year it has been VERY hard for me to play it, let alone even want to. Before I did give up, I decided one last time to just try again. My playing relies heavily on the mood I am in, and recently I was in a really good mood about it. This is when I hit 50~82 on recording. However, that mood started to get bitter once again after I started to play it more often. Due to this I decided that now is the time to just call it off for good. This level has taught me so many things that although I am upset with a lot of my decisions around it, I am happy to at least have learned from them and it gave me an insight into certain situations that I previously would have had zero clue of. I am probably done playing extreme demons for now, unless something really gets me interested in any of them again. If I do they will be few and far in between. I have been very interested in learning how to create, but every time I opened GD I just felt obligated to play this. Personally, when I feel forced to play something, I don't really get into it. Innards lost what i meant to me a long time ago, so it just became a hassle that I always felt like I needed to do but never gained the motivation to really do so. Hopefully now that this is finally over I can work on things that I really want to do, without having that feeling of needing to play Innards constantly there. I hope that you all con accept my decision here. All of my other Innards videos will be linked in the description here. I've unlisted every single one of them including the original cut one, since that one is pretty outdated regardless and I'm not planning on verifying it any longer. I am allowing anyone to play this level or attempt to verify it. This is the most current version of the level that I have been playing. It's all set and ready to go. Just remove the teleportation portal at the start and change the name that it's verified by at the end of the level. I don't expect it to be verified any time soon. It may never be since it is already starting to get so aged. This way, at least people can just play for fun if they want. The password is Kaito, in remembrance of an amazing friend and a huge supporter of me throughout this entire ordeal. It is to him that I honestly cannot apologize enough for. I have learned a ton from this and nothing like this will happen again. The Id of the level is 54496752. Good luck.[61] 이 곡 자체가 분위기가 급변하는 곡이다.[62] Lazuli, Spadekilla, ZBM, Straw, Tex02, JacobRoso, Uneskladovae, Logic, SlimJim, Splash, wherwin, Failure444, Bianox, Eclipsed, YakobNugget, Vapen[63] 유튜버들 사이에서는 보통 'Heartbeat'까지 Extreme Demon으로 친다.[64] 그는 70%에서 죽지 않았더니 운 좋게 클리어하였다고 한다.[65] 제작자인 Metalface221은 이게 마지막 솔로 맵이 될수도 있다는 말을 남겼다.[66]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Tsukifuto, '''Stormfly''', Ticky, Zhander, Xaro, NitroN, S1l3nce[67] The Hell Zone의 경우 Cyclic 시절부터 버프되어 있긴 했다.[68] Luqualizer, XGen26, D3m0nDash3r, Kevtom, Wooshi999, Sunix, TGI, AlexTheDerp[69] Forbidden Sector 제작자인 Aurumble의 부계정[70] 레벨 중에서도 어렵다고 평가된다.[71] ChiefFlurry(+JustPark), '''GuitarHeroStyles''', iAres, Elayad, Fillipsmen, StarshipGD, Andy10Nob, Rock3ro, Zafkiel, BitZel, Lucas, Woogi1411, AlexTheGood, NeoGamer, JamesGrosso[72] 마지막 삼단가시가 버프되었는데 핵으로 베리파이(업데이트)되어 떨어진 것이다.[73] Bianox, Dynix, TeslaX, Seedot, Alecast, Frotzn, DWShin[74] T17, '''GoodSmile''', Star77, Cryomancer, Logik, P14, CubeCreator, Bio21, AbstractDark, Agent[75] 1번째는 Audio Excursion이며 인세인 데몬이었다가 하드 데몬으로 내려왔다.[76] 무려 '''같은 방향의 웨이브가 존재한다!''' 그래서 그런지 그 부분의 레이아웃은 쉬워 보이나 두 개 다 부딪히지 않으려면 꽤나 극악한 구간이 되어버린다. 판정이 4칸인 웨이브를 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77] 이건 원래 GoodSmile 특유의 데몬 평가 방식(?)으로, 별로인 데몬들은 통칭 "Random Demon"으로 뭉뚱그리고, 제대로 된 어려운 데몬들은 자신의 "Extreme Cocktail" 항목에 추가하면서 임의의 과일명을 붙인다.(...) Cataclysm을 Extreme Orange라고 부르질 않나... [78] 그러나 다른 길이 있다. 겹공점을 칼타이밍에 맞춰 연타하면 블럭에 걸치게 되는데, 여기서 점프하고 파란 공점을 밟으면 진행이 된다. 영상[79] 현재 tewfy[80] Slypp, Jacob Firestone, MetaManZ, npesta, Wapon77, Rubric, BrianTheBurger, Th31 & Metalface221[81] '''Flukester''', Jghost217, Zink Zeta, Killua, Venom, CreatorDino, Jude, Gachristian1, Kenny[82] 이때 아주 약간의 버프가 된 채로 베리파이되었다.[83] 이 게임플레이는 후속작인 Infinite Iniquity의 마지막 파트에서 재활용되었다. 파트 제작자는 똑같이 CreatorDino.[84] 여담으로 이 유저가 다음으로 도전한 Incipient에서 88%를 5번 먹음으로써 자타공인 '''88요정(...)'''이 되었다.[85] 마지막 중력포탈을 타지 않고 그대로 큐브포탈을 타서 아래로 내려갔다.[86] 그는 이 미친 맵을 '''60~100 플루크를 성공'''할 수 있었으나 중력반전 직전에 샷건을 쳤다가 점프가 되어서(...) 99%를 먹었다.[추가] 다른 버프데이트 익데들인 Fabrication, Torrential Storm의 예를 들어보자. Fabrication 같은 경우에는 극버프이긴 하지만 이전부터 버프데이트를 예고했었고, Torrential Storm은 예고는 없었지만 맵이 인기가 없고, 클리어유저도 거의 없었던데다가, 그리 심한 버프도 아니었다. 그러나, 이 맵의 업데이트는 '''그런 거 없다''' 애초에 이전에 버프를 진행한다고 말했던 적도 없고, 그렇게 자기 혼자 초극버프를 해버렸기 때문이다.[87] CairoX, iNubble, DonutTV[88] '''Nico99''', MrLorenzo, '''HadiGD''', Goose, Enzore, NightXStalker, SSRav3n[89] 약간 기울어진 일자비행으로 나오는데 '''그걸 일반크기로 지나가야 한다.'''[90] 현재 약 열 단계 밑의 The Ultimate Phase보다도 아래였다.[91] '''Rustam''', Zober, '''ZenthicAlpha''', Amoramc, Platnuu, Sharks, Berke423, Lucasyecla99, Ryder, '''Mazl''', Krampux, Disp[92] 맵을 보면 초반의 3~5번째 파트와 그 이후의 파트의 퀄리티가 눈에 띄게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다.[93] Reunomi, Kurokawa, VirtualCrack, Enzore, rRaddy, TheRealnbsier[94] atheoz, xevenfurious, raptorz, reverier, megaspeed, codly, crispy creepz, IIIRyanIII[95] 당시 Cataclysm 15위, The Flawless 19위[96] 여담으로 SrGuillester가 클리어하기 전전 시도에서 '''99%를 먹었었다...''' 정확히 마지막 가시에서 죽은 것이다.[97] 보통 이런 경우는 롭탑이 레이팅을 하지 않거나 은색코인을 붙이지 않는다. The Hell Factory, Wcropolix 등등...그러나 2020년 12월 4일 업데이트 이후로 코인 루트가 생겨 이젠 공짜로 주지 않는다.[98] 수많은 사람들이 이 나비모드 구간을 현존하는 모든 데몬맵의 나비모드 중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된다. 다만 야타가라수가 나오면서 야타가라수 Hinds 파트와 이 맵의 나비모드 파트에 대해 평이 좀 갈리는 듯하다.[99] 이쪽은 144hz 클리어자가 거의 없는 반면에 Retention은 그래도 버그 고친 복사본으로 깨거나, '''버그가 나오거나 말거나''' 그냥 144hz로 깨는 사람들도 있다. 버그가 나올 확률이 비교적 적다고 한다.[100] Zeithex, JeffryNeko, IHellRaiser, Shaggy23, Dasilio, Colombia Dash, Rock3ro, Fr3mite[101] Texic, Supris, ZWK, ViralDl, Renedi, Anime Animator, Wojnet, janekh[102] Laser10, Diplow, Zafkiel7, ByBoy 11, Chi, Enboy, M3llo, Dro3, Azos11, Chuchitodomin, NVATIUM, Aqours, JaxtilanX, xanN, ZadoxxZ, icotchy, DanielDLC, Abdula, TheBoringBoy, Zyplex, Lucalry, Mapex, DangerKat, Gathitho, IPersuit, Trudee Fabian, Blasting Ant, ItzStrill, Slip Goast, llJoanll,Stamina[103] 여담으로 JonathanGD도 이 CC에 참가해서 3위에 등극했는데, 그 맵이 바로 '''Dark Travel이었다.'''[104] 영상 제목에도 '''Crazy Insane Demon'''이라 작성했고, 클리어한 후 반응을 보면 정말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105] 여담으로 97%부근에서 죽은 적이 있는데 그 구간은 타이밍 대충 잡고 유에프오를 3번 클릭하면 되는 구간이었다. 그 타이밍을 잘못 잡아 죽은게 아닌 그냥 말 그대로 클릭도 못 해보고 뚝 떨어져 죽었다.[106] BlassCFB, Aviila RX2X, MaxiS9, Slypp, Skullo, GD Kapinapi, SoulsTRK, TheJaco9, Epsilonic, AmStr0ng PWR, SrGuillester, Mullsy, TheRealZephal, Pablohh, TastyToast, Sungsu Kim, MetaManZ, TomPP & Luqualize, Tipp7, EVW[107] For Matilda 시리즈의 세번째 맵이기도 한다. 맵의 설명창에 For Matilda 시리즈 3과 Machine 시리즈 3을 합쳤다고 적혀있다.[108] HelpegasuS, kDarko, Sequex, Zero, Enlex, Voltex, Bianox, Jenkins GD, Zipixbox, Sxap, Arceus4[109] 현재는 Dorami가 버프를 해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갔다. 이 버프 업데이트로 인해 게임플레이가 끔찍해져서 혹평이 쏟아지고 있다.[110] bloodbath, cataclysm, aftermath를 이은 'Aftercatabath'라는 맵과는 상관없는 맵이다. [111] Boyofthecones, TheRealDemonic, SuperMarioBro, Broham, Zynos, Tex02, Gsml3o99, ItsDope, Redd Cat, Groose22, Gusearth, Cyan[그러나] 이 맵이 인세인 데몬으로 올라가면서 이제 포럼에 남아있는 하드데몬은 없다[112] 후에 그의 '''최악의 레벨 Buff This가 별이 붙음'''으로써 논란이 가속되었다.[113] 너프 이전, 이후 비교 영상. 보면 알 듯 '''정말 심각할 정도로 너프를 먹였다. '''그 중에서도 암전 이전 웨이브는 다방면적으로 너프를 했는데, '''시야 방해 제거는 물론, 가시까지 제거'''하면서 난이도가 급하락했다! 이후 나비모드의 경우도 1칸 간격에서 2~3칸으로 늘리는 등의 대대적이 너프가 있었다.[114] 롭탑을 대신해 별을 책정하는 걸 도와주는 사람[115] 현재 포럼 6위로 블러보다 더 높은 순위에 있다[116] 맵의 루트가 바뀌는 연출[117] 그러나 그는 이미 Carnage Mode라는 유명 포럼 합작맵에 참여한 전적이 있기에 완전한 신인이라 보기는 어렵다.[118] Epsilonic, Ryder, Liebz, Lipz, Eggnog, Sminx, JaoDay, Nico99, Franx6, Masu, Zafkiel, Temp, Voltex, PokeChatt, HelpegasuS, Mezzo, Golden, Pennutoh, Makaron, Burrito, Marwec[119] 버그픽스 이전 버전이다.[120] 당장 맨 처음의 비행조차 넘어가는 것이 정말 힘들다.[121] 물론 듀얼이 Novalis급이기는 하다. 웨이브도 어려운 편.[122] 그 만큼 이 맵의 비행 구간은 정말로 압도적인 난이도를 자랑한다. 포럼 전체에 있는 맵을 통틀어서도 비행 구간은 손 꼽을 정도로 어렵다.[123] 이 양반 당시 핵 사용도 문제였지만 예로부터 자신이 베리파이한 레벨들에 별을 붙이려고 '''대량의 어그로를 끈 것'''으로 악명이 높다.[124] 이름이 '''Sneezing Cats(재채기하는 고양이)(...)'''[125] 2개가 서로 붙어있는데, 연타로 2개 다 눌러서 비행해야 한다![126] 파란공점을 연타해서 1칸비행을 해야한다![127] 워낙 쉽다보니 4배속으로 클리어하는 사람도 있고 7번 연속으로 반복하는 챌린지도 깨는 사람도 있다...[128] 사실 별을 받은 것도 신기할정도로 디자인이 아예 없는 맵이고 게임 플레이도 상당히 좋지 않다...[129] 모바일은 미묘한 차이 때문에 컨트롤이 까다롭다.[130] Doodloo, Muzik Bike, Cinereal, QJrocks, 6359_, WillFlame, Fimatic, MisterM, Speed, CheeseGuy, Lumpy, Shocksidian, TheDevon, AbstractDark, Skybound, Nasgubb, JustJoking, Supore, Krazyman50, Rustam, Viceroy[131] Krazyman50 왈 자신이 이 합작에 참여함과 동시에 그가 자동으로 베리파이어가 되었다고 한다.(...)[132] 그리고 SrGuillester는 그 파트를 하향했다.[133] Pulse 트리거를 이용해 아이콘을 중심으로 정신나간 백그라운드 디자인을 사용했다.[134] 4위였던 Future Circles를 이겼으나 6위였던 Catastrophic이 4위가 되는 바람에 제자리가 되었다. 그러나 Future Circles과 Catastrophic의 재평가로 현 5위.[135] Hero, RelayX, Scratch, Dozean, Wintter, Astyx, ClockBite, Luxi, MlRugene, Bubl9sh, Darova, Blayck, Nerfis, SinDuKate, SiesTer, PiramidkalTZ, NormDanchik, Kse, Nin, Staps, Hoku, Keketoy, Dolnerz, ItzSeen, Vinty, Siwez, Sssamel, Denipol[136] 제작자 영상이 없기 때문에 최초 클리어자의 영상을 사용했지만 화질이 안좋아서 핵으로 올린 영상으로 올림.[137] 다만 극악 업데이트 덕분에 포럼에 올라간 거나 마찬가지.[138] SrGuillester가 깼을 때도 제작자 영상에 비해 1회 상향된 상태였다.[139] 게다가 맵이 1차 버프때로 하향된것도 아니다.[140] 버그다, 해킹이다, 업데이트 이전 난이도로 평가된거다 등등..[포럼이] 익데들의 난이도를 알기위해 생성된건데 블베보다 어려운맵을 레거시 최하위에다 넣으니까 욕을 먹는거다.[141] 레거시 특성상 기록 등재가 불가능하기에 대부분이 해커일지라도 일부분은 깬 유저들도 있다. 또한 한국에서 ysj1005라는 유저도 깼다.[142] 2-player 맵중 '''가장 어려운''' 맵은 아니다. 가장 어려운 2-player 맵은 Elite Z Rebirth, 다만 Elite Z Rebirth는 중반 비행구간에만 2플레이어 듀얼을 썼으므로 실질적으론 이게 1위.[143] 물론 두 명의 팀워크가 잘 맞아야 한다.[144] 당시, 그리고 지금까지도, 2플레이어 모드가 상위권 데몬에서, 특히 이 레벨 정도 수준으로 집중적으로 쓴 적이 없다.[145] CastriX, NeoGamer, Delta, Zoomks, Zafkiel, CrazyFusion, Zeithex, Mulpan, Extrox, Lordelta, Dirmag[146] 대부분의 유저들은 이 맵을 인데/익데의 경계선으로 삼는다. 인데<->익데로의 전환만 '''4번''' 일어났다.[147] 클릭하면 중력이 바뀌는 형식.[148] 웨이브가 갑자기 돌연사 한다던가, 클릭하고 한참 뒤에 중력이 바뀐다던가....[149] WOOGI, dhk2725, Motu, Reple, MemoR2eD, Koreaqwer, Ryan LC, Gelt, Luneth, Xnail, KSWgeo, LyoNa[150] Explorers의 작곡가가 맞다.[151] Koreaqwer, Tutti, ple5, Vortiz, Hades, Gigas, ATHG, Theta, Dark Boshy, Dorami[152] 공점마다 박자가 다르므로 수준급의 컨트롤이 필요하다[153] 플레이 시에 영문도 모른 채 죽게 되는데 곳곳에 가시가 있기 때문. 암기와 엄청난 칼타이밍을 요구한다[154] Stormfly 왈 Black Blizzard의 듀얼 뺨치는 최악의 발암 듀얼(...)이라고 한다.[155] 순간난이도로 치자면 Bloodbath을 그냥 뛰어넘는다.[156] 대표적인 예가 Stormfly. 아예 본명이 아닌 '''Galatic Sh*t'''이라고 부르며, 그 마의 '''97%'''에서 죽고 난 후 더 이상 손도 안 대고 있다.[157] EndLevel은 핵을 썼다는 사실이 밝혀져서 기록이 지워져 있다.[158] Moge, Xtreme732, DiamondSplash, Nosavo, Kiantheboss, Slypp, Mactanow, iNeo, SrGuillester, Wooshi999, MullsY, Arquas.[159] stardust1971, ViPriN, GDSpeed, Tundra, Orion, Darwin, Shocksidian, TurtleBro, Andro3d, Asonicmen, Drakaglin, GironDavid[160] 현재 포럼 '''제일 밑'''이다.[161] 곡의 원작자인 lia;quo가 뉴그에 원곡과 함께 정식으로 올린 상태이나 인증이 되지 않아 사용불가능하다.[162] 정확하게는 50%의 확률로 갓이터가 튕긴다고 한다.[163] 그리고 이 배경은 후에 또 다시 검들이 가운데로 모여드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164] 그래도 Final Preview 버전보다는 확실히 어렵다.[165] 그런데 이 영상에서는 맵의 56% 부분부터의 배경에서 엄청난 퀄리티를 내던 오브젝트들이 '''사라졌다.''' 그 이유는 ultra low detail mode를 발동시켰기 때문이다. 이 uldm은 트위치생방에서 추가된것이므로 유튜브만 보는 사람들은 잘 모를것이다. Ldm을 먹어도 갓이터 스트리밍이 렉이 걸리기 때문에 uldm을 추가했다고 한다.[166] 한국기준.[167] 댓글에서도 해커들 영정먹이느라 힘들다고 본인인증했다...[168] 이전에도 꾸준히 '''플레이하지 않고 평가를 했던 유저들'''이 있었다. 이번에 그들을 보는 비판적인 시선이 형성된 것. 물론 어느 정도 진행을 하고 난이도 문제를 언급하는 유저들한테까지 비판하는 사람은 없다.[169] '''Sparkle''', Stroiter, Sammaxx, Sparksomega, Zaiss, Subverse, '''CFteamgd''', Dyron, Gwbocajuniors, ElastoGD, ZenThriX24[170] Luisluigi, Nusoan, N4th4n, Volen, Speirmint, Redapple, Scopio, Mlb, Cosmic, Chaotic, Stalemate, Tomorrow[171] Dudex, Serponge, Vlacc, Rustam, nasgubb, ZenthicAlpha, ViPriN, Panman, Evasium, Etzer, Terron, Manix648[172] BOJ와 정반대 상태이다. 90등대도 과대평가라고 평받았었는데 포럼에서 cataclysm보다 순위가 높아지고 익스트림 데몬으로 상향되어 논란이 크다. [173] F-777의 곡이 아닌 Colbreakz-10000을 사용 한 것, 기존 크리에이터들의 부재, 전작들의 1.9 디자인들과 다른 2.1 디자인. [174] 그 댓글에는 "기존 크리에이터들은 다음 소닉 시리즈에 참여 할 것입니다." 라고도 언급 했는데 이게 반영된 맵이 '''Subsonic'''이다.[175] 그런데 정직 Panasonic 베리파이어인 GuitarHeroStyles는 이 맵이 Red World Rebirth과 비슷한 난이도라고...[176] 이 영상을 올린 이후 AncientAnubis와 합작을 할때 '''자신은 이미 그의 맵을 많이 뺏었다며...''' 그에게 업로드를 하라고 말했다.[177] 다만 유의할 점은, Viprin이 "뺏은" 합작맵들은 합작 주최자가 게임을 접었거나 주최자가 모종의 사유로 레벨 권한을 Viprin에게 넘겨줬을 경우라고 한다. 해당 영상의 Viprin의 댓글 참고.[178] TheGamerPiggy, Geocrafterz, cTRL, Doodloo, Mactanow, Arclight, Aqueous, Yendis, Plexidit, TheRealIgno, omegaGMD, Albertalberto, Hunter5202, Erm4ck, CheeseSlayer, RpgRaketti[179] 현재 닉네임은 Xnail[180] TheChile, Krugger, TheKris, Vicetrex, Ksegeap, xC4R, Jx2501, Wandy, StarGazer, LolenGames, Smokes[181] 이론적으로는 소형 포탈을 타도 통과가 되나, 속도가 상당히 빠른 탓에 이 포탈을 타면 사실상 비밀길을 타는데 실패한다.[182] 애초에 쉬웠으면 여기 올라올 이유도 없다..[18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진행속도를 느리게 한 다음 이를 악용하는 것[184] 이 '스타트포스'를 맵 어디든지 설치하면 죽어도 스타트포스를 설치한 곳부터 시작한다. 당연히 이것을 이용하여 맵을 Verified하는 것은 불가능[185] 참고로 이 죽은 데가, 마지막 UFO의 "NECROPOLIS"라고 블록으로 장식된 구간의 I와 S 사이의 1칸짜리 구덩이의 벽에 정확히 박아서(...) 죽은 것이다. 이후 클리어했다. 클리어 영상에서 해당 최후반 구간을 매우 조심조심(...) 가는 걸 볼 수 있다.[186] RLOL, Jakerz, PotatoPlayer, LazerBlitz, Samifying, f3lixsram, Dudex, Stubbypinata, Tronzeki, Nahuel2998, Skitten, iZinaDash, Ilrell, Bianox, Loogiah, Twoots, SirHadoken, knobbelboy, Darwin, ThorMode, RapidBlaze, Funnygame, TiTi26, Drift, SlimJim, YunHaSeu14, Thomartin, Rustam[187] https://youtu.be/bPOHEFKLY_c. Start Pos를 설치하고 실수로 저장 버튼을 누르는 바람에 올리지 못하게 됨.[188] 해석하면 귤레스터 멍청이(...)[189] Sunnet, Tundra, Anthrax, Manix648, IAres, Rob Buck, Chipzz, MaxiS9, LazerBlitz, HaoN, ASonicMen, Skipnotz, Willy5000, GDSpeed, Fabman650, Mazl[190] Ezel142, ViralDl, Ylliee, MichciachGD, Texic, Supris, RicoMeister, Zgredek Władca Kredek, Anime Animator, Lazyer, blazer2[191] Quiken, YakobNugget, Tex02, ShowtimeVonParty, Alfred, Amidon, JonathanGD, xStar7, Mazl, Axils, Witby, GuitarHeroStyles, FrancaDash, Rocketeer, CastriX, Pikappa, MrPPs, Xylph, Pix3lest[192] 현재는 Temple of Destiny이 4번째, Spectral tentation이 3번째, Hate War이 2번째, Theory of Alchemy가 가장 쉬운 익데 타이틀을 차지했다.[193] 참고로 그 전에도 85~90% 사이에서 열 번 정도 죽었다고 한다(...).[194] Anime Animator, RicoMeister, ZWK, Milos482, Mobi, BlastFurnace, LaysMan, Prisma, Corrox, Craf, Viral DL[195] 여담으로 이 부분을 디자인한 Hinds는 후에 Yatagarasu에 엄청나게 극악한 나비모드를 만들었다.[196] DiscJoker, Zanna83, LaxHDz, Poccottini, Corksrew, Avakai, Nico99(Final Art)[197] 가장 쉬운 익데는 Theory of Alchemy이다.[198] Aquatias, JacobRoso, Zak, Snowbally, Dudex, Speed, Hinds, Darwin, knobbelboy, Vlacc, Rustam[199] Disp, Disappear, UltimateGuy, Vird, Sl@v.ik, Sightorld, XCore, RespectVG, MUFF1N, Namtar, Snowr33de, ChaSe[200] 2.0때 찍은 거라서 그렇다. 2.0은 배모드로 바뀔 때 가끔씩 배가 한 바퀴 정도 도는 버그가 있었다. 물론 플레이에 지장은 없다. 이후 2.1버전때 수정되었다.[201] 1배속일 때는 최대 '''3.75'''칸 가시까지 넘을 수 있다고 한다..[202] 원래는 파란공점 7개를 눌러야 하는데, 이 업데이트로 2번만 눌러야 한다. 7번 누르면 98%에서 죽는다.[203] Andromeda, Usermatt, Creepy Dash, GuitarHeroStyles, Viprin, GironDavid, Tygrysek, Woogi1411, Zobros, Findexi, Crack, Loogiah, MaJackO, Cyclic, ZenthicAlpha[204] 최초 한국인 클리어자이다.[205] Hinds, Xaro, Alter, Mazl, Hideo, Minesap, Dz3ser, Megaman, Toxic, Viprin[206] Infrared는 적외선, Ultraviolet은 자외선을 가리킨다.[207] 공식 후속작은 Rlol이 베리파이한 Gammaray라는 맵이다.[208] ElFranz, TheJaco9.[209] 동영상 시청 불가로 Boldstep 영상 사용[210] InversionGD MrSleepy TheDevon Mosertron Pizzafire Dysfunctional Benjamaster7 Krazyman50 Uzendayo Asriel96 Alter Hexhammer Jdfr03[211] 늑대 아트

분류